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타트업-ing] 리뉴어블스 플러스 “산불로 탄 나무, 활용을 넘어 지역 상생까지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4.28 04:02:55
조회 538 추천 1 댓글 1
[IT동아 강형석 기자] 2025년 3월, 경북 북동부 지역에 발생한 대형 산불은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줬다. 정부 및 지자체, 산림 당국 등이 모든 자원을 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여의도 156개 면적에 달하는 국토는 잿더미가 되었다. 산불이 확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인명, 재산, 시설 피해도 상당하다. 산불 진화 이후 피해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나무를 다시 심고 시설을 다시 세우는 단순 산불 피해 복구가 이뤄진다면 비극은 다시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달라진 환경에 따른 체계적인 복구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균형을 맞춘 조림 계획 외에도 산불 진화와 복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해목(불탄 나무) 및 기타 부산물 재활용 방안 등이 예다.


김영준 리뉴어블스 플러스 한국 대표 / 출처=리뉴어블스 플러스



탄소 네거티브 에너지 전문 기업 리뉴어블스 플러스(Renewables Plus)는 산불 피해 복구와 자원 활용을 넘어 지역 선순환 구조를 제안했다. 불에 탄 나무와 기타 부산물을 활용해 바이오차, 재생 가능 에너지 등을 생산하고, 그 수익으로 지역 상생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생소한 개념이지만, 이미 계분 바이오차 발전소(터키), 나피어그라스 바이차발전소(태국), 대나무 바이오차 발전소(말레이시아) 등을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실력을 갖췄다. 리뉴어블스 플러스가 제안한 내용은 무엇인지 김영준 리뉴어블스 플러스 한국 대표와 이야기를 나눴다.

피해목과 농업부산물, 태우지만 말고 ‘활용’하자


대형 산불은 진화부터 복구 과정, 방향 등이 중요하다. 피폐해진 산에 나무를 다시 심고 불에 탄 피해목과 기타 부산물을 정리해야 된다. 소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와 참나무, 굴참나무 등 활엽수를 혼조림하는 방법이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심은 나무를 잘 자라도록 유도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바이오차(BioChar)가 언급되는 건 이 때문이다.

바이오차는 유기성 물질인 바이오매스를 숯처럼 무산소 혹은 저산소 환경에서 태워 만든 소재를 말한다.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을 의미하는 ‘차콜(Charcoal)’의 합성어다.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바이오차를 지역에 따라 도포 또는 식혈 처리해 조림할 경우, 생육 성분이 20% 이상 증가했다. 바이오차를 활용해 피해 지역을 복구한다면 최대한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바이오차 생산과 활용 방법은 제한적이다. 우리나라는 피해목과 관련 부산물로 우드펠릿을 생산하는 게 관행이다. 우드펠릿은 피해목과 관련 부산물을 파쇄, 건조, 압축해 만든 목재 연료다. 타 목재 연료와 비교해 안정성과 친환경성, 운송, 보관 등에 유리해 지방 주택이나 열병합발전시설 등에 많이 쓰인다.


우드펠릿 생산 및 활용 과정 / 출처=산림청



국제기후변화협역(UNFCCC)와 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IPCC)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우드펠릿은 목재를 탄소중립 연료로 인정하고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드펠릿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는데, 아무리 산림이 탄소와 온실가스를 흡수해도 절대 면적이 축소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미래 자연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처하려면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야 할 시기다. 산불 피해복구와 기후위기 대응을 별개의 사안이 아닌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접근해야 한다.

김영준 대표는 “피해목을 단순 연료로 태우는 것은 온실가스 배출을 유발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선택입니다. 오히려 고온 가스화 기술을 통해 바이오차로 전환한다면 토양개량제, 탄소저장소, 수처리용 활성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피해목 활용으로 탄소저감 효과(CDR: Carbon Dioxide Removal)까지 달성 가능합니다”라고 말했다.

바이오차는 수백 년간 탄소 고정이 가능하다. 단순한 탄소중립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 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활용도 또한 뛰어나다. 산림, 농업에 사용 가능한 것 외에도 활성탄 역할을 해 정수 및 하수처리에도 쓰인다.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가스화(Gasification) 기술로 피해목과 농업부산물을 열분해·산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합성가스(Syngas) 및 바이오차가 동시에 생산된다. 가스화 시스템은 야적 없이 바로 투입 가능하며, 탄소배출권 창출까지 이어진다. 우리나라는 산림을 포함한 바이오매스(생물 유기체) 자원이 풍부하고, 자원 확보 기반도 탄탄하다. 김영준 대표는 “국내 바이오매스 자원을 적극 활용하면 지속 가능한 탄소저감 사업 모델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리뉴어블스 플러스가 제안하는 자연과 지역 선순환 시스템


탄소중립은 선언이 아니라 구조의 전환이다. 이제 피해목을 태우는 게 아니라, 땅에 저장하고 순환시키고 지역경제로 환원하는 길을 선택해야 한다. 이에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한국형 탄소배출권 순환 경제 모델을 제안했다. 농가나 지자체 등이 수거한 피해목(불탄 나무) 또는 농업부산물을 리뉴어블스 플러스가 수거(매입)하면 바이오차, 재생 가능 에너지, 수소 등을 생산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한다. 확보한 탄소배출권은 판매함으로써 농업부산물 매입과 지역 시설 관리 투자 등에 활용한다.

김영준 대표는 리뉴어블스 플러스의 가스화 기술을 활용하면 에너지 회수와 탄소격리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탄소감축,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에너지 안보가 선순환 구조 내에서 이뤄진다는 얘기다.


리뉴어블스 플러스가 구축한 플랜트의 모습 / 출처=리뉴어블스 플러스



말레이시아에서 2024년 11월부터 운영 중인 리뉴어블스 플러스의 플랜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전기 사용이 어려운 지역 주민이 대나무를 수거해 제공하면, 플랜트에서 바이오차와 에너지, 탄소배출권을 만든다.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지역에 전력 공급 인프라를 구축, 지역 주민에게 전기를 제공하고 있다.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과 협력 가능성을 논의 중이다. 산불복구, 산림자원 활용,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 고도화 등 범위가 다양하다. 산림청, 환경부, 농림부와 연계된 지자체들은 ‘탄소중립 이행계획’에 따라 탄소 제거 인프라 구축을 검토 중이다.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각 지역에 최적화된 가스화 기반 시스템과 함께 탄소배출권 수익 모델, 측정ㆍ보고ㆍ검증(MRV – Measuring, Reporting, Verification) 체계 구축 등 포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경쟁력은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김영준 대표는 “산불은 단순 자연재해가 아니라, 기후위기의 현실입니다. 리뉴어블스 플러스는 복구를 넘어 기술과 지역, 그리고 경제가 연결되는 순환 모델을 제안합니다. 책임 있는 국내 기업들과 함께 더 많은 산림을 복원하고, 바이오차와 탄소배출권이 지방의 경제와 생태를 동시에 살리는 구조로 작동하길 희망합니다”라고 말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그린트레이더 “오프라인 중심 조경수 시장의 디지털 전환 이끌 것”▶ [스타트업-ing] 크립토랩 “해킹 무의미한 동형암호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 웝스 “섬유 폐기물 업사이클링 건축 자재로 산업 혁신 이끌 것”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5212 다이슨, 에어랩 코안다 2x 출시...“전작보다 2배 강한 모터…이제 스트레이트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552 1
5211 [뉴스줌인] ‘개살구’였던 HBM, ‘게임 체인저’ 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76 0
5210 [KESIA 프리팁스] AI 항만 탄소 배출 모니터링·예측 플랫폼 개발 ‘데이터플레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96 0
5209 [기술영업人] LLM 검증과 데이터 구축 분야로 떠오른 '셀렉트스타'의 도전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85 0
5208 ‘해킹사고’ SKT, 유심 무료 교체 결정…“이심으로 바꿔도 될까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323 1
5207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확인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38 0
[스타트업-ing] 리뉴어블스 플러스 “산불로 탄 나무, 활용을 넘어 지역 상생까지 꿈꾼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538 1
5205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그린트레이더 “오프라인 중심 조경수 시장의 디지털 전환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60 0
5204 [투자를IT다] 2025년 4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1 0
5203 [신차공개] 현대차 ‘2025 코나’·’2026 아반떼’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1 0
5202 [KESIA 프리팁스] 시각장애인 위한 글로벌 통합 포털 꿈꾸는 ‘루트파인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49 0
5201 커지는 AI CCTV 시장, 딥엑스 엣지 AI NPU로 주도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4 0
5200 [생성 AI 길라잡이] 지브리 다음은 피규어, 챗GPT로 ‘피규어 패키지’ 만들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113 1
5199 GPT-4o 기본 탑재한 HP 비즈니스 제품군, 'AI PC 확산'에 마중물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792 0
5198 어도비, 파이어플라이 모델 4 및 새 파트너 지원책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74 0
5197 [민원제로] 2. "필요한 사람한테 도움을 줘야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69 1
5196 [기고] 2025년 글로벌 테크기업의 오피스 인테리어 트렌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5 1
5195 다음 세대의 검색 꿈꾸는 퍼플렉시티, 모리타 준 APAC 대표에게 듣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05 0
5194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이퓨월드 “XR 무인 촬영 솔루션으로 XR 대중화 선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99 0
5193 “확장성·비용 효율성 좋은 스테이블코인, 명확한 규제 필요한 시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199 0
5192 [스타트업-ing] 크립토랩 “해킹 무의미한 동형암호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242 0
5191 네이버클라우드, 무료로 쓸 수 있는 상업용 생성 AI 모델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4 5907 5
5190 [KESIA 프리팁스] 슈가디 베이커리 “저당ㆍ저탄 식음료로 모두에게 먹는 즐거움을 주고 싶어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11 0
5189 “디지털 시대, 미래 금융 보안 길잡이 될 것” 금융보안원 창립 10주년 세미나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03 0
5188 F5, 앱 전송부터 보안 아우르는 ADC 3.0 플랫폼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62 0
5187 [주간스타트업동향] 롯데벤처스, 한국 유망 스타트업 미국 진출 지원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260 0
5186 [스타트업 리뷰] 찾아가는 자동차 검사 예약 픽업 서비스로 번거로움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73 0
5185 TI, 자율주행차 성능 높이는 칩 제품군 대거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51 0
5184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버블클라우드 “개인화 온보딩 빌더 ‘스텝바이’, 초기 고객 이탈 막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3 157 0
5183 [시승기] PHEV 효율에 스파이더 개방감 더한 슈퍼카…‘페라리 296 GTS’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2189 1
5182 눈높이 높아진 AI 사용자들에겐 2% 부족한 '애플 인텔리전스'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6087 1
5181 “게임 기반 SW교육, 확산 넘어 수업 혁신으로” ATC·넥슨코리아·넥슨재단, 헬로메이플 선도연구회 발대식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12 0
5180 [뉴스줌인] 영사기 없는 영화관 시대? LG전자, 메가박스에 시네마 LED 공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98 2
5179 자신에게 맞는 중고차 고를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851 0
5178 [주간투자동향] 리얼월드, 210억 원 규모 시드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82 0
5177 [생성 AI 길라잡이] '인공지능으로 더 멋진 문서를 만든다' 캔바 비주얼 스위트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93 0
5176 모양이 비슷한 도로표지판 의미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7560 2
5175 [리뷰] 게이밍 노트북∙태블릿이 하나로, 에이수스 ROG 플로우 Z13(GZ30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87 0
5174 [IT하는법] 스마트폰 속의 민증, '모바일 신분증' 만드는 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323 0
5173 [KESIA 프리팁스] 레졸루션, 'AI 기반 PCB 비전 검사'로 제조혁신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66 0
5172 [크립토퀵서치] 미국 관세 정책에 가상자산 시장이 요동치는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51 0
5171 “청년 창업 허브 넘어 메카로 성장시킬 것” 손문규 강동구 청년해냄센터 센터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45 0
5170 SBA·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기술 융복합 및 산업 거점 활성화에 맞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46 0
5169 SBA 서울창업허브 “초격차 개방형 혁신, 스타트업 세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8 258 0
5168 이용자 편의성 강화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60 0
5167 [월간자동차] 25년 3월, 신차 등록 증가세…기아 쏘렌토 5개월 연속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5427 0
5166 “인공지능으로 창작 방식 재정의할 것” 로버트 카왈스키 캔바 제품 총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45 0
5165 [서평] 인생 선배가 전하는 현실적인 조언과 격려 - [동 트기 전 새벽이 가장 어둡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39 0
5164 AI 벤치마크, 온전히 신뢰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270 0
5163 [주간스타트업동향] 넥스트페이먼츠, 모네리스와 파트너십 체결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307 0
뉴스 '아이쇼핑' 원진아, 염정아 향한 복수의 반격 시작 “왜 우리가 도망쳐야 돼”...메인 예고편 공개! 디시트렌드 07.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