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니가 보는 "쓰레기가" 누군가한텐 소중한 것일수도 있다앱에서 작성

ㅇㅇ(209.38) 2025.05.28 12:22:01
조회 161 추천 1 댓글 1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1f0cd6b83e6b423bd3a6736005df66c52a407b08d4885673c048c






"당신의 기준은 당신의 세계에만 유효하다 – 쓰레기, 인간, 그리고 상대성의 윤리학"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을 평가한다. 말투, 옷차림, 직업, 이력, 인맥, 신념, 실수, 태도, 과거, 소문. 이 모든 것이 평가의 근거가 된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구분하고 분류하며 선호와 혐오를 드러낸다. 하지만 여기서 놓쳐서는 안 될 진실이 있다. 당신이 혐오하는 사람이 누군가에겐 생의 전부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우리가 흔히 ‘쓰레기’라고 부르는 사람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다.


I. 쓰레기란 무엇인가: 정의되지 않은 멸칭


“저 인간은 진짜 쓰레기야.”


그 말은 쉽게 나온다. 다툼이 끝난 후, 관계가 파탄난 후, 배신을 경험한 후, 혹은 단순히 내 기준에서 이해할 수 없거나 불편한 인간을 바라볼 때 우리는 ‘쓰레기’라는 단어를 툭 던진다. 이 멸칭은 정의되지 않았고, 법적으로 규정되지도 않았으며, 사회적 합의조차 희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어는 그 어떤 욕설보다도 강력한 배제를 뜻한다. ‘그 사람은 인간으로서 기본이 안 되어 있다’는 암묵적 선언이자, 존재 자체를 정리해버리는 단두대의 칼날과도 같다.

그러나 중요한 질문이 남는다.
누가, 어떤 기준으로, 타인을 쓰레기로 판정할 권리를 갖는가?


II. 상대적 존재의 가치


어떤 이가 당신에게 상처를 주었고, 당신의 삶을 파괴했으며, 당신을 철저히 무너뜨렸다고 하자. 당신은 그를 증오할 수 있다. 저주할 수도 있다. 심지어 ‘이 인간은 사람도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똑같은 그 사람이, 다른 누군가에겐 삶의 동반자이자 부모이자, 친구이자, 멘토이자, 사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보자.


한 남자가 아내를 속이고 외도를 했다. 그 사실을 알게 된 아내는 남편을 쓰레기라고 부른다. 주변 친구들도 동조한다. 그의 명성은 추락하고, 커뮤니티에서 도덕적 매장 대상이 된다. 그러나 그 남자는 자식에겐 따뜻하고 헌신적인 아버지일 수 있다. 오래된 친구에겐 인생의 구원자이며, 동료들에겐 믿을 수 있는 파트너일 수 있다.


이 경우, 그 남자는 쓰레기인가, 인간인가?


답은 단순하지 않다. 그는 어떤 면에서는 분명히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했다. 하지만 그것이 그의 존재 전체를 ‘쓰레기’라는 단어로 환원할 수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 세상에 온전히 ‘쓰레기가 아닌 인간’은 얼마나 남을까?


III. 평판은 진실이 아니다


사람은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그 정보는 대부분 간접적이며 왜곡되어 있다. 평판이라는 것은 인간의 기억과 감정, 편견과 관점을 거친 결과물이다. 즉, 평판은 진실이 아니다. 그것은 누군가의 주관적 감정과 제한된 맥락 속에서 생성된 서사일 뿐이다.

더욱이, 인간은 본능적으로 한 번 각인된 이미지를 쉽게 바꾸지 못한다. 예전에 비열한 짓을 했던 사람은 이후에 어떤 선한 행동을 해도 ‘본성은 안 바뀐다’는 말로 그 변화를 무시당한다. 반대로, 처음 인상이 좋았던 사람은 여러 번의 실수를 ‘그럴 수도 있지’라며 넘어간다.

그러므로 평판이 나쁜 사람 = 쓰레기라는 등식은 위험하다.
그는 그저 타인의 서사 속에서 악역을 맡았을 뿐, 절대적인 악인이 아닐 수 있다.


IV. "그 쓰레기를 왜 좋아하냐고?" 라는 폭력


어떤 사람이 당신이 혐오하는 사람을 사랑한다면, 사람들은 이렇게 묻는다.


“그 쓰레기를 왜 좋아해?”


이 말은 사랑의 자유에 대한 부정이자, 타인의 선택을 무시하는 오만이다. 사랑이란 이성과 감정, 시간과 경험, 가치관의 복합적 작용이다. 어떤 인격의 특정 단면만 보고 “사랑할 수 없다”고 단정하는 것은, 그 사람의 복잡한 경험과 서사를 무시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런 말은 종종 가스라이팅처럼 작용한다.


“너는 눈이 없니?” “너도 이상한 사람이다.”


이런 언어들은 사랑의 대상을 향한 비난을 넘어서, 그 사람을 사랑하는 나 자신마저도 쓰레기로 전락시키려는 사회적 린치다.


V. 나 또한 누군가에겐 쓰레기일 수 있다


가장 깊은 성찰은 여기서 시작된다.
당신이 지금까지 살아오며 누군가를 아프게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가?
누군가를 실망시키고, 오해하게 만들고, 때론 함부로 대하고, 침묵함으로 상처 주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당신 역시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는 ‘쓰레기’일 수 있다.
아무리 당신이 스스로를 도덕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람이라 생각하더라도, 타인의 관점과 맥락에서는 당신이 파괴자, 배신자, 가면을 쓴 이중인격일 수도 있다. 이 사실을 인정할 때, 우리는 진정한 겸손에 도달한다. 그리고 그 겸손은 타인을 평가하는 손가락을 멈추게 한다.


VI. 윤리의 새로운 출발점: 이해와 거리두기


이 글은 모든 악행을 용서하자거나, 모든 사람을 긍정하자는 말이 아니다. 잘못된 행동은 분명히 규탄받아야 한다. 하지만 그 규탄은 ‘행위’에 대한 것이어야지, 존재 전체에 대한 부정이어서는 안 된다. 도덕적 분노와 인간적 존엄은 구분되어야 한다.


우리는 누군가를 미워할 수 있다. 그와 거리를 둘 수도 있고, 다시는 관계를 맺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를 ‘쓰레기’라 규정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사랑까지 공격하지는 말아야 한다. 어떤 인격이 복잡하고 다면적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윤리의 새로운 출발점이다.


VII. 말의 칼날을 거두라


말은 무기다. “쓰레기”라는 단어는 그 무엇보다도 강력한 폭력이다. 그 말에는 삶을 짓밟고, 인격을 파괴하고, 관계를 단절시키는 힘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가 그 칼날을 거두고, 맥락을 보고, 다양성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우리는 인간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한 걸음 더 가까이 나아갈 수 있다.



"누군가를 쓰레기라 부르기 전에, 기억하라"


"당신도 누군가의 인생에선, 반드시 악역이었을 것이다"









- dc official App -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AD 해커스 공무원·경찰·소방·임용 인강 100% 무료 운영자 25/07/01 - -
1442083 설인종 고문치사사건의 양영준이란 사람 아시는 분? 행갤러(219.100) 05.30 225 6
1442082 기분이 모든 "삶의" 기준이 되는 여자는 피해야 한다 ㅇㅇ(209.97) 05.30 108 1
1442081 자녀들이 "잘되는" 아빠의 비밀 [2] ㅇㅇ(209.38) 05.30 289 0
1442080 이제는 은둔청년까지 "방송소재로" 돈벌어 처먹고 사네 ㅇㅇ(144.202) 05.30 116 0
1442079 돈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열쇠다 ㅇㅇ(144.202) 05.29 101 0
1442078 은둔중년을 "비아냥대고" 무시하며 우월감 느끼는 정신병자들 ㅇㅇ(209.38) 05.29 262 1
1442075 왜 나는 유튜브나 "치지직" 스트리머들에게 단 1원도 쓰지 않는가 ㅇㅇ(209.97) 05.29 122 2
1442074 개돼지들이 열광하고 "떠들땐" 반드시 그 이면을 봐야한다 ㅇㅇ(45.55) 05.28 85 1
니가 보는 "쓰레기가" 누군가한텐 소중한 것일수도 있다 [1] ㅇㅇ(209.38) 05.28 161 1
1442072 형들 금감원 다닌다면 별로 라고 생각해? [1] 행갤러(61.35) 05.27 206 0
1442071 윤석열 내란세력 6월3일 성공하면 어떤일 벌어질까 행갤러(125.141) 05.27 106 1
1442070 은행권부부 = 퇴직금만26억 / 생애소득 부부합 50억이상 의사이김 ㅇㅇ(175.200) 05.27 117 1
1442069 세상을 다르게 "보는" 시각에서 비롯된 기술이 천재를 만든다 ㅇㅇ(209.97) 05.27 125 2
1442068 늙어서 혼자 "살면" 존나 추하다 ㅇㅇ(144.202) 05.26 154 2
1442066 지루함을 "극복하는" 방법 ㅇㅇ(209.97) 05.26 121 2
1442064 남의 인생에 "참견하지" 말고 냅둬라 ㅇㅇ(209.38) 05.26 136 5
1442060 외모만 "아름다운" 여자는 매력이 없다 ㅇㅇ(209.38) 05.25 194 3
1442059 공채갤 관리자 한림법학원 직원임 [2] 행갤러(118.235) 05.25 212 0
1442058 언어의 "순서를" 바로잡는 경험에 대하여 ㅇㅇ(209.250) 05.25 125 5
1442057 왜 사람들은 "주식" 단타로 먹고사는 사람을 무시하는가 ㅇㅇ(167.99) 05.25 140 3
1442056 너는 왜 "엉뚱한" 방향으로 달리는가 ㅇㅇ(144.202) 05.24 115 2
1442053 주식 공부는 왜 "쳇GPT" 앞에서 무너지는가 ㅇㅇ(45.55) 05.24 143 2
1442052 쳇지피티 이후로 "행정고시" 행정법 2차공부는 끝났다 ㅇㅇ(159.203) 05.24 203 2
1442051 아는 사람중에 "내가" 2번째로 잘생겼다고하는 친구는 왜이런거임 ㅇㅇ(144.202) 05.24 88 0
1442050 삶이 힘들고 "괴로울때마다" 가족들의 말이 버팀목이 되었지 ㅇㅇ(45.55) 05.23 96 0
1442049 좃소에서 130만원만 "줬어도" 하루100만원 목표로 안살았다 ㅇㅇ(45.55) 05.23 95 0
1442047 토르ip 고소해서 불송치 났는데,변호사+추가증거로 유죄가능? [2] 글쓴이(59.29) 05.20 180 0
1442046 나도 똑똑한 "머리로" 태어났으면 주식단타치면서 살지 않았겠지 [3] ㅇㅇ(167.99) 05.20 167 2
1442045 행정고시 "사무관을" 하려는 구체적인 이유와 다짐 ㅇㅇ(209.250) 05.20 276 3
1442044 친구가 "합격하는" 것과 공부하는 것은 다르다는 명언을 남겼지 ㅇㅇ(209.38) 05.19 178 2
1442043 랍비는 호텔경제학의 "파훼법을" 잘 알고있으나 가만히 있을란다 ㅇㅇ(45.55) 05.19 151 1
1442042 오늘 대선토론은 "웬" 초등학생이 나와 떼를 쓰는 듯한 모습이었다 ㅇㅇ(159.203) 05.18 166 1
1442041 니가 인생망하고 "목표" 없고 할일 없으니 남까는데 인생 바치는거임 ㅇㅇ(45.55) 05.18 118 0
1442040 군대에서 1차 봐 본 사람 있어? 행갤러(211.235) 05.18 147 0
1442039 학교 다니면서 반 1등 해본 적 없고 공부 못했는데 행갤러(221.165) 05.17 221 0
1442038 학교공부랑 "돈버는" 공부랑 별개라서 돈을 못버는거다 ㅇㅇ(108.61) 05.17 151 0
1442033 금연하는법 좀 알려주세요 행갤러(106.102) 05.12 184 1
1442032 행시 몰락의 이유 행갤러(163.152) 05.12 856 5
1442029 MZ 공무원 이탈에... 전국 최초 '연결되지 않을 권리' 조례 ㅇㅇ(110.10) 05.10 672 0
1442028 고딩인데 행정고시 합격이 내 꿈임 행갤러(118.235) 05.10 221 1
1442027 니들이 믿거나 "말거나" 내 사촌이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 의사임 ㅇㅇ(167.99) 05.10 251 0
1442026 내친구들은 "서울대" 나는 지잡대 경영학도로 공인중개사 10년 공부중 ㅇㅇ(144.202) 05.10 321 0
1442025 공부는 100퍼 "재능이기에" 잘하고싶다고 잘해지는게 아니다 ㅇㅇ(144.202) 05.10 213 0
1442024 랍비) 피셋이 실무능력과 "하등" 상관없는 구체적인 이유를 알려줌 ㅇㅇ(159.203) 05.10 190 0
1442021 랍비가 오늘의 "아우성으로" 새로운 세상을 기다리고 있다 ㅇㅇ(209.38) 05.08 147 0
1442020 암걸렸는데 고시 공부 계속해도 되냐? 행갤러(220.89) 05.07 262 0
1442012 행정고시도 공부 머리가 있어야겠지? 슈퍼개미(221.165) 05.04 247 0
1442011 대법관들을 보니 공부 "오래하면" 사회와 괴리된 정신병자 된다 [1] ㅇㅇ(209.250) 05.04 381 2
1442009 사람의 성공은 "환경에" 지배된다는걸 깨달아야한다 [1] ㅇㅇ(209.97) 05.03 349 2
1442008 행시 1차만 붙고 2차 떨어지면 그래도 기본 머리는 있는 거임? [2] 슈퍼개미(221.165) 05.02 568 1
뉴스 어센트(ASC2NT), 8월 첫 아시아 투어 개최…7월 말 컴백 후 글로벌 행보 본격화 디시트렌드 06.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