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창간] 게임의 질병코드화, 정신병 진단받은 아이들은 과연 괜찮을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6.12 14:49:40
조회 68 추천 0 댓글 0
지난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게임이용장애'가 포함된 ICD-11(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판)를 발표하면서 '게임의 질병화'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 ICD-11 개정안은 현재 국내에 바로 적용되지 않고 유예 기간을 거치는 중이지만, 빠르면 오는 2026년에 이를 반영한 개편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지고 있다. 만약 2026년에 정부에서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화를 공식화하면, 게임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질병으로 정의되게 된다.

백주선 법무법인 대율 대표변호사는 민주당 게임특위 간담회에서 "만약 그렇게 되면 의료 보건 체계, 교육 및 가정환경, 법 제도적 측면 등에서도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진단했다.


백주선 법무법인 대율 대표변호사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게임 질병화에 따른 '낙인효과'로 불이익 예고


문제는 국내 환경이다. 국내는 정서상 '정신병' 이력에 대해서 굉장히 각박한 시선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정신 질환을 뇌의 기질적인 변화로 판단하여 치료되는 형태가 아니라, 치료 불가능한 영역으로 분류하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비단 정서상의 이슈뿐만이 아니다. 한국 사회 자체가 정신 질환을 겪었다는 이력이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섣불리 '정신 치료'를 받으러 갈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신병 F코드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화에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군은 나이 어린 학생들이다. 만약 학생들이 게임으로 인해 정신질환자로 등록되면, 취업이나 해외 비자 발급 때에도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 공공기관이나 군대, 일부 대기업에서는 건강검진 시 정신질환 이력을 기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만약 아이가 정신질환 치료 이력이나 F코드 진단 이력이 있다면 취업에서 서류 탈락 등으로 불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만약 입사를 했더라도 사후 해고 사유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학생 비자 발급 과정에서도 불이익이 예상된다. 현재 일부 국가의 비자 심사에서는, 중대한 정신질환에 대해서 '공공 의료 부담 요인'으로 판단해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만약 게임이용장애가 정식 정신질환(F코드)으로 등록되면 중증으로 진단될 경우 이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함께 특정 학과 진학도 제한될 수 있다. 의료, 항공, 법학 계열 학과의 경우, 정신건강 이력을 사전에 확인하거나 면접에서 관련 질문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 간호학이나 항공 조종, 공공안전 계열 등에서는 '충동조절, 약물 치료 여부' 등을 검토하는 경우가 있다.

비단 학생이 아니라도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화는 군대나 보험, 양육권 분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민간보험 가입이나 보험금 청구 시에도 불이익이 예상된다. 보험료 인상, 가입 거절, 면책 사유 확대 등의 가능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자녀 양육권 분쟁이나 입양, 교직 임용 등 특정 분야에서도 불리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현재에도 이혼 시 양육권 분쟁에서 '정신질환 병력'은 불리한 사유로 작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외에 병역 관련으로도 징병검사 시 정신질환 진단 이력을 통해 병역 등급에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형사 사건 시에도 피의자나 피고인이 되는 경우, 정신건강 진단 이력이 재범 위험 판단, 보호처분, 소년법 적용 여부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진단 기록이 형사사법적 판단 과정에서 부정적 요소로 해석될 우려가 많다는 뜻이다.

게임 질병화, 일부 긍정적 효과보다 부정적 효과 '압도적' 높아


게임이용장애의 질병코드화에 대한 긍정적 기대 효과도 없는 것은 아니다. 과도한 게임 이용으로 일상 기능에 장애를 겪는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있으며, 조기 개입과 치료를 통해 중증으로 변하는 것을 막는 예방 효과도 있을 수 있다.

또 공공정책 차원의 예방 교육 확대로 디지털 웰빙 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 등 건강한 게임 이용 문화를 형성할 계기가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그러한 작은 장점에 비해, 게임 질병화의 부정적 효과는 압도적으로 커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ICD-11 게임 이용 장애 소개



가장 우려가 높은 것은 의료계의 과잉 진단 가능성이다. 질병코드가 등재되면 의료기관에서는 게임 질병으로 건강보험 청구가 가능해지는데, 객관적인 기준 없이 게임이용장애 진단을 남용할 개연성이 충분히 높은 상황이다.

특히 경미한 과몰입 수준조차도 '장애'로 지정하는 현상이 만연할 경우 이는 환자 수 확대를 통한 의료기관의 수익 창출 수단으로 오용될 우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정상 범주의 게임 사용자 조차도 정신과 치료나 약물 처방 대상이 될 가능성이 생기며, 이는 의료 자원 낭비와 건강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국내의 정신의학과 모임에서는 이러한 게임의 질병화를 '숙원사업'이라고 표현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은 전례가 있다.


아시안 게임 국가 대표 선수들도 유력한 정신 질환 후보자로 인식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게임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낙인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게임은 아시안 게임에 정식 종목으로 도입되어 국가 위상과 관련된 스포츠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질병화 도입 이후 프로게이머나 게임 스트리머 등도 정신질환자로 낙인이 찍힐 수 있다.

해외에서는 국가 최고 인사가 게임 캐릭터 분장을 하고 세계를 맞이하지만, 한국에서는 사회 부적응자로 낙인을 찍는 것도 현실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표현의 자유와 자기 결정권의 침해도 큰 우려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에서 성인 이용자는 여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자기 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데, 게임이 질병화될 경우 개인의 선택이 '비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에 의한 사적 영역 침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게임업계에서는 게임이용장애가 질병으로 분류되면 담배나 주류처럼 '게임세'나 '게임부담금'이 신설될 것을 경계하고 있다. 과거 '인터넷 게임중독 치유 지원에 대한 법률안'에서 매출액의 1%를 부담금으로 부과했던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또 게임이 질병화가 되면 현재의 자율 규제에서 정부 규제로 회귀하고, 중독성 경고 문구의 삽입, 게임 등급분류 심사 기준 강화 등 새로운 형태의 규제가 대거 등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업계의 고민과 불안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백주선 법무법인 대율 대표변호사는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은 제한적 효용에 비해 개인적-사회적-산업적-법적 차원에서 과도한 권익 침해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라며 "긍정적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은 보이지 않으므로 이를 도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동영상] "해킹에 탈취에 결사대까지?" 게임계를 술렁이게 한 유출 사건▶ “라오어가 반 값~ 레포데가 90% 할인~”, 스팀 좀비 대 뱀파이어 축제 개최!▶ 한국 영화 시장에도 침투한 게임의 영향력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16925 넷마블, '리니지2 레볼루션' 개발진 신작 MMORPG '뱀피르' 사전 등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95 0
16924 컴투스홀딩스 장종철 상무 “누구나 쉽게 웹3 즐기는 플레이쓰리(PLAY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1 0
16923 마브렉스 홍진표 대표, 치열한 블록체인 게임 시장…전문 퍼블리셔 능력 필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7 0
16922 ‘퍼디’, 출시 1주년 쇼케이스 ‘디센던트 페스트’ 7월 개최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1 0
16921 ‘3on3 프리스타일’, 신규 캐릭터 ‘마리솔’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0 0
[창간] 게임의 질병코드화, 정신병 진단받은 아이들은 과연 괜찮을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8 0
16919 바이낸스 스티브 영 김 “가상자산매도 허용 기업 범위 늘어나면 한국 시장 월등히 커질 것”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2 0
16918 ‘사무라이 쇼다운 R’ NFT 패키지 완판...2차 판매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8 0
16917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이강석 실장, “득템 재미와 가치보존, 블록체인과 게임이 잘 결합된 메이플스토리N의 핵심”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7 0
16916 크래프톤 플라이웨이게임즈 신작 '어센드투제로' 성우 키토 아카리와 협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78 0
16915 배틀그라운드, 최상위 티어 ‘서바이버’ 추가 경쟁전 시스템 개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84 0
16914 블록체인 게임 인사이트가 한자리에 '제4회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 개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59 0
16913 씰M, '시공의 틈새 던전' 콘텐츠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55 0
16912 네오위즈, 'P의 거짓' 한글판 아트북 대박 행보…펀딩 목표액 2,000% 초과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59 0
16911 오픈 블록체인 게임 크로쓰 NFT 마켓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6 0
16910 김형태 시프트업 대표 "'스텔라 블레이드'와 '니케' 콜라보에 회사의 모든 역량 총집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64 0
16909 넥슨, 'eK리그 서포터즈컵 2025’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71 0
16908 웹젠, 오픈월드 액션 RPG '드래곤소드' CBT 성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82 0
16907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에픽게임즈 모바일 스토에서 만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85 0
16906 블랜비, ‘갈바테인 : 모험가 길드 사무소’로 스팀 넥스트 페스트 참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80 0
16905 [창간] 게임 질병코드 도입 e스포츠 산업은 무사할까? [13/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222 2
16904 서머 게임 페스트에서 공개된 '붉은사막' 신규 시연 빌드 호평 이어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64 0
16903 에픽게임즈 “포트나이트에는 분명히 나에게 맞는 게임이 있을 것”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5 0
16902 [동영상] 마블 요즘 게임에 맛 들였나? 마블 투혼에 데드풀 게임까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5 0
16901 [동영상] 벌써 유튜버들 곡소리 들린다! 항아리게임 개발자 신작 등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4 0
16900 포트나이트 확장 출시, 1인칭 5vs5 모드와 레고, BTS, 아일릿, 손흥민까지 가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61 0
16899 엔씨(NC) 리니지M, 'RISING STORM'이 온다.. 업데이트 상세정보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2 0
16898 테일즈런너, 총상금 4천만 원 걸고 20년 주년 맞이 'K-챔피언십 대회'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73 0
16897 소니 산하 벤드 스튜디오, 직원 30% 해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8 0
16896 인디게임사들이 닌텐도 스위치로 게임을 개발할 때 꼭 알아야 할 점은?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467 3
16895 그라비티, 턴제 슈팅 PC 게임 '건바운드' 동남아시아 및 남미 지역 정식 론칭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67 0
16894 멈추지 않는 '스텔라 블레이드' 광풍... 정식 출시전 PC 데모 버전 '엄청나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7 0
16893 크레더, 중동 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와 디지털 금융 생태계 논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7 0
16892 ‘창세기전 모바일’ , 스페셜 픽업 소환 이벤트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7 0
16891 ‘블루 아카’, 잠옷 콘셉트 신규 캐릭터 2종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4 0
16890 넷마블 '페이트/그랜드 오더', '완지나 월드 투어!' 이벤트 돌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15 0
16889 두 번째 테스트 진행한 '빈딕투스' 해외 반응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90 0
16888 컴퓨팅교사협회, ‘2025 디지털튜터양성센터’ 경기남부 운영 기관 선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2 0
16887 무게가 260g! 스틸 시리즈 초경량 헤드셋 ‘아크티스 노바 3P/3X 무선’ 국내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86 0
16886 웹젠 뮤 온라인, 신규 가디언 '타우로스' 선봬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8 0
16885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오버드라이브' 영상 공개하고 스팀 페이지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96 0
16884 [창간] 게임 이용 장애 질병 코드화, 의료 넘어 사회 전반 파급 우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2 0
16883 반다이남코, '토와와 신목에 선택받은 아이들' 9월 18일 발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4 0
16882 "PS비타를 먹여살린 명작의 귀환!" 세가, '페르소나4 리바이벌' 발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7 0
16881 하이브IM 기대작 '아키텍트', 애플 시장도 공략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4 0
16880 한빛소프트, '그라나도 에스파다M' 일본 직접 서비스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8 0
16879 미래에셋증권, 위메이드 "과도한 저평가는 기회" 목표가 상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3 0
16878 크리스 장 곰블게임즈 대표,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캐주얼 게임 개발 전략 알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6 0
16877 바이낸스 스티브 영 김,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에서 韓 가상자산 미래 방향성 짚는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2 0
16876 수렵피리와 더 강해진 차원변이몬스터까지. 시즌6 예고한 몬스터헌터 나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5 0
뉴스 페이블 재현, 백혈병 투병 중 사망…향년 23세 디시트렌드 07.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