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BIT 인사이트저널] 2022년이 기대되는 택시합승 서비스 '반반택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1.10 19:43:39
조회 1548 추천 1 댓글 5
[IT동아]

[편집자주] 본 연재는 '연세대학교 경영혁신학회(BIT, Business Innovation Track)'에서 활동하는 재학생들이 [2022년 '위드코로나' 시대, 급부상할 '이것']를 주제로 각자 면밀히 조사, 취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근미래를 이끌 대학생의 시선으로 예상, 분석한 기업/산업 트렌드와 성장 전략 등을 제시합니다. 본문의 흐름과 내용은 IT동아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집에 가야 하는데...'

밤 9시(또는 10시)면 소리 없는 사이렌과 함께 모두 흩어지는 요즘에는 그리 와닿지 않는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내딛는 걸음 뒤로 매장의 하루도 함께 닫히고 어느덧 시간은 자정과 새벽 사이. 버스도 지하철도 모두 끊긴 이 시간, 서울 밤거리에 서 있을 때면 걸어갈까 하는 허무맹랑한 생각도 스친다. 결국 어렵게 택시를 잡아타고 귀가했던 때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정해진 셈법에 맞춰 무심하게 올라가는 택시요금을 멀뚱히 보고 있자면, 얼마간이라도 좋으니 저 숫자를 'N분의 1'할 사람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든다. 택시 잡기가 어려운 장소거나 시간대라면, 택시 탄 것만 해도 그저 다행이다.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상황이지만, 이 글을 읽는 독자에게는 더 이상 걱정거리가 아닐 수도 있겠다.


출처=반반택시 홈페이지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반반택시'는 2018년 설립돼 현재 국내 유일의 택시합승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반반택시 앱에 접속하여 '반반호출' 서비스를 선택하면, 이동구간이 70% 이상 겹치는 승객과 자동으로 매칭되어 택시에 동승 후 요금을 나누어 낼 수 있다.

합승으로 인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은 금전으로 상쇄된다 하더라도, 일단 택시합승 모델에서 가장 염려되는 것은 역시 '안전'이다. 반반택시는 안전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같은 성별의 승객에 한해 합승을 허용하고 합승 승객 중 한 명은 앞좌석에, 다른 한 명은 뒷좌석에 앉도록 한다. 이러한 반반택시의 사업 모델은 분명히 소비자들에게 충분한 매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반반택시 서비스에 참여할 택시 기사가 없다면 이런 구상은 공상에 불과하다. 즉 모든 플랫폼 사업자가 그렇듯, 반반택시 역시 서비스 공급자(택시)에게 마땅한 참여의 유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반반택시 모델은 택시 기사에게도 매력적일까?

정답은 '그렇다'이다. 승객이 요금을 나눠서 최대 40% 정도 택시비를 줄였다면, 택시 기사의 부가 수익은 호출료로부터 창출된다. 3,000원 수준에서 형성된 호출료를 2명의 승객에게서 모두 받아 추가 운임을 수령하는 방식이다. 반반택시에 따르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던 2019년 12월 기준, 반반호출을 이용한 승객들은 한 달 평균 1만 2,093원의 요금을 절약했고, 택시 기사 중 상위 10%는 한 달 동안 7만 8,912원의 추가 수입을 올렸다.


출처=반반택시 홈페이지



이 때문에 사업 초반 8,000명에 불과했던 반반택시 가입 기사 수는 현재 전국 택시 기사의 절반 수준인 13만 명까지 증가했다. 또한 배차성공률, 평균 배차거리 등의 지표 역시 업계의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지난 두 차례의 시리즈 A 라운드를 통해 본엔젤파트너스, 휴맥스 등으로부터 7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도 성공했다.
승차공유 서비스의 비극

반반택시의 사업 영역은 넓게 보면 승차공유 시장에 해당한다. 'TNC(Transportation Network Company)' 혹은 '라이드헤일링(Ride-Hailing)'이라고도 부르는 승차공유 서비스는 해외에서는 이미 모빌리티 시장의 혁신을 이끄는 트렌드로 자리잡았지만, 유독 국내에서는 그 사업 방식을 불문하고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엄격한 규제가 존재하는데, 2014년 서울시가 시범운영한 '우버 X(Uber X)'는 정책 당국과의 마찰을 이유로 1년 만에 국내 시장에서 철수했다. 쏘카의 자회사로도 유명한 '타다' 역시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의 개정('타다금지법')으로 인해 실질적인 영업을 포기한 상황이다.

반반택시와 좀더 비슷한 사례를 찾아보면, 2018년 베타 서비스를 제공한 '카카오카풀'이 있는데, 이 또한 각종 법령의 규제와 기존 산업과의 마찰로 출시 한 달 만에 사업을 잠정 중단했다.
모빌리티 분야 1호 규제 샌드박스 사업자

시계를 2년 전으로 돌려보면 사정은 반반택시에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사업이 구체화되던 2019년 당시의 택시발전법이 택시합승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심야시간 택시 공급 부족의 해결과 택시 기사 수입 증대를 근거로 관계 부처를 집중적으로 설득한 결과, 반반택시는 모빌리티 분야 최초의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었다. 무분별한 호객행위와 안전 문제로 택시 합승이 금지된 1982년 이후 무려 40년만이었다. 2019년 7월 서울시 12개 구에서 오후 10시부터 새벽 4시까지 영업이 허가됐고, 이후 2020년 7월 서비스의 범위와 시간을 각각 서울 전역과 오후 10시부터 오전 10시까지로 확장했다.


출처=



참고로, '규제 샌드박스'는 관련 법령이 모호하거나 불합리해 사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울 때, 제한된 환경에서 규제를 유예하여 새로운 사업의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제도를 말한다. 즉 아이들이 모래놀이터(sandbox)에서 자유롭게 뛰어 놀듯, 사업가들에게 재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2018년 '정보통신융합법'과 '산업융합촉진법'이 시행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각각 정보통신기술(ICT) 규제 샌드박스와 산업 융합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하고 있다. 규제 샌드박스 제도 하에 관계 부처들은 사업자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업과 관련된 규제가 있는 지를 30일 이내에 회신해야 한다. 이때 관련 규제가 확인되더라도 그 규제의 성격을 가늠해 임시허가 또는 실증특례 제도를 활용해 볼 수 있다.

규제가 모호하고 불합리할 경우 임시허가를 통해 관련 법령이 정비될 때까지 사업을 진행할 수 있고, 규제에 명시적으로 충돌하는 사업의 경우 그 목적과 효용을 따져 '실증특례사업자' 허가를 받을 수 있다. 반반택시의 경우 실증특례 제도를 활용하여 기존 법령에 저촉될 소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난 2년 간 영업을 진행한 것이다.
지금부터가 진짜 싸움

실증특례제도의 유효기간은 기본적으로 2년이다. 지난 2019년 7월 인증을 받은 반반택시는 지난 해 7월로 그 기간을 다했다. 그렇다면 이제 반반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일까? 다행히도 그렇지 않다.

지난 2년 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영업에 어느 정도 타격을 입었긴 했지만, 반반택시는 실증특례 기간 동안 사업의 안전성과 성장 가능성을 증명해냈다. 그 결과 지난 해 6월 28일 택시 합승 서비스 허용을 골자로 하는 택시발전법 개정안이 의결됐다. 개정안이 시행되는 올해 1월 28일부터는 누구나 플랫폼을 통한 택시 합승 서비스를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우버나 카카오 같은 빅테크 기업들조차 허물지 못했던 규제의 벽을 창업 3년 차의 스타트업이 파훼한 것이다. 필자의 생각을 조금 덧붙이자면, 반반택시의 성공 뒤에는 '상생의 정신'이 존재한다고 말하고 싶다. 우버나 카카오, 그리고 쏘카까지 이전의 모빌리티 사업자들은 혁신에 지나치게 매몰되어 기존의 산업과 정면으로 충돌했다. 고객의 편익을 높이는 것에만 몰두하여 택시 기사들에게 돌아가는 피해를 깊이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출처=셔터스톡



반면, 반반택시는 기존 산업과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 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반반택시의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 지난 2년 간 코나투스가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위해 노력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나, 규제의 울타리가 풀린 이상 그 편익은 시장 논리에 의해 분배된다. 올해 초를 기점으로 모빌리티 시장의 선두 기업들은 일제히 합승 서비스를 개시할 것이다. 우버와 SKT가 합작한 '우티'는 이미 올해 초 합승 서비스를 개시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규제샌드박스라는 그늘에서 벗어나 반반택시의 진짜 경쟁력을 시험해볼 때가 된 것이다. 그러나 '고기도 먹어본 자가 잘 먹는다'고 했던가. 반반택시는 어느새 또 다른 혁신을 준비하고 있다. 바로 '택시 기반 운송 서비스'다. 이번에도 역시 택시 업계와 상생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채택하였다는 점은 눈 여겨 볼만 하겠다. 혁신과 상생의 정신으로 무장한 반반택시의 올 한해의 활동을 묵묵히 응원한다.

글 / 연세대학교 경영혁신학회 30기 박준형 (jhp9346@yonsei.ac.kr)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모빌리티 인사이트] 알아서 나를 따라다니는 '쇼핑카트'가 있다?▶ [CES2022] '모바일 넘어 모빌리티로' 자동차에 방점 찍은 퀄컴▶ [CES2022] LG전자가 제시한 비전은? '스마트홈', 'ESG', '모빌리티'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5585 전기 먹는 하마 'AI 데이터센터' 식힐 냉각 솔루션 각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3 16 0
5584 민생회복 소비쿠폰 조회ㆍ신청 시작, 사칭 문자에 주의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22 16 0
5583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 “5대 문화강국 지름길, 문화기술로 닦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6 15 0
5582 [뉴스줌인]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등록 앱 중에도 악성코드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5 1014 0
5581 "우리 동네 안전할까" 산사태 정보 시스템, 위험도부터 대피소 위치까지 실시간 확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3 18 0
5580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떻게 신청하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1 523 0
5579 시각적 어려움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어렵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8 28 0
5578 서울경제진흥원 “AI 활용해 5만 시간 이상 업무시간 절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2173 0
5577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 보행자 안전 위협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8523 3
5576 [투자를IT다] 2025년 7월 3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99 0
5575 [생성 AI 길라잡이] 소상공인을 위한 홍보물 제작 서비스 '비즈하우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84 0
5574 [스타트업人] IoT 기기 보안 취약점 찾아내는 지엔 ‘화이트 해커’ 이야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8316 0
5573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2 써보니··· '독보적인 OCR 인식률· API 확장성 인상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207 0
5572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상 지원금 사전 확인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2669 0
5571 건강검진·과태료 납부 정보 미리 알려준다…국민비서 사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85 0
5570 [스케일업] 아틀로 [1] 매드해터 “가장 중요한 건 브랜딩, 초반 타겟은 넓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95 0
5569 '아이디어를 시제품제작과 현실 창업으로'··· 서울과기대 학생창업 여정 취재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62 0
5568 [농업이 IT(잇)다] 파미레세 “유전자 기술로 품종 개발 기간 단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8 149 0
5567 자동차 디자인과 성능 두 마리 토끼 잡는 ‘샤이테크’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8269 0
5566 게이밍 모니터에 TN 패널이 많은 이유는?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7986 6
5565 [IT하는 법] 기상청 날씨알리미로 실시간 날씨 구독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169 1
5564 [SBA x IT동아] “누구나 건강하게” 매치워크, 요즘 세대 취업 준비에 최적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7957 1
5563 서울시·KIST “퀀텀캠퍼스 2기, 세계 양자기술 사업화 인재 요람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7 160 0
5562 중고차 구매 시 알아야 할 ‘연식’과 ‘연형’ 차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2262 0
5561 [주간스타트업동향] 김의정 위플로 대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70 0
5560 에릭슨 “6G 도입하려면 5G SA 거쳐야…韓 주파수 규제 유연성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78 0
5559 빅웨이브 “딥테크·바이오 헬스케어 스타트업 유니콘 등용문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83 0
5558 서울창업허브 성수 “스타트업 성장지원 세미나, 투자·특허 전략 전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83 0
5557 서울시·SBA, SM유니버스 손잡고 "청년취업사관학교서 AI와 K-팝 융합 인재 육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6 184 0
5556 2025 강한 소상공인 밸류업 데이 개최··· '지역 성공브랜드로의 성장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213 0
5555 ‘데이터가 경쟁력’ 무결성 확보를 위한 큐냅의 저장ㆍ백업 솔루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191 0
5554 [뉴스줌인] 에이수스의 전문가용 모니터 2종, 일반 모니터와 뭐가 다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2258 0
5553 [자동차와 法] 특허로 보는 자동차 기술 발전에 대한 고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179 0
5552 카카오벤처스 “식약처 인허가 후 의료 현장에 투입, 이모코그·알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173 0
5551 SKT 유심해킹 최종 조사결과 발표 “5년간 7000억 원 투자 약속”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7023 1
5550 [주간투자동향] 에이치티비욘드, 7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5 169 0
5549 인포플라 VLAgent 기반 ‘셀토’, V2 업데이트로 더 똑똑해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224 0
5548 전국 해수욕장 수질과 토양정보 확인은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225 0
5547 [기고] 아파트의 '공간'적 가치를 재정의 하는 시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4 5884 1
5546 [IT애정남] 구형 노트북인데 모니터 2대 이상 연결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8467 4
5545 “경찰청·금융사 공동대응” 시티즌코난 앱, 보이스피싱 범죄 해결책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407 0
5544 [농업이IT(잇)다] 초롱팜바이오 “식물ㆍ종균 조직 배양, 미래 위한 녹색 기술에 집중하겠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62 0
5543 구글의 식탁 빼앗기나··· 오픈AI·퍼플렉시티도 뛰어드는 '브라우저 사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80 0
5542 [생활 속 IT] AI로 간편해진 맛집 검색, 카카오맵 ‘AI메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32 0
5541 [투자를IT다] 2025년 7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406 0
5540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17 0
5539 [기술영업人] 소비재 산업의 든든한 바탕, AWS코리아 '리테일·소비재' 조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16 0
5538 [월간자동차] 25년 6월, 기아 쏘렌토·테슬라 모델 Y 판매 1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07 0
5537 지스케일러 “제로 트러스트와 AI 결합해 강력한 보안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377 0
5536 [스케일업] 프론트웍스 [1] 페인터즈앤벤처스 “사업 방향성 명확히 하고 매력 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1 285 0
뉴스 ‘하트시그널3’ 서은우, 임신 근황 공개…“아기 크고 있어요, 친부는 연락두절”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