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거래소 이해상충, 이용자 보호 위해 적절한 규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24 15:53:37
조회 781 추천 0 댓글 0
[IT동아 한만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과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3월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디지털자산 거래소 이해상충 해소 방안’을 주제로 제3차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을 개최했다. 행사에 참여한 업계 전문가들은 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 규제에 대해 논의했다.


제3차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 / 출처=IT동아


거래소 이해상충 위한 규제 방안 제안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류경은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가상자산 거래소 이해상충 규제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류경은 교수는 “거래소 이해상충 문제는 거래 중개 플랫폼, 상장, 예탁, 매매, 결제 등 여러 기능이 거래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라며 “가상자산 이용자 피해나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류경은 교수는 이와 함께 5가지 규제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는 가상자산업을 제대로 분류하고 겸업을 제한하는 것이다. 류경은 교수는 “자본시장법을 기반으로 가상자산 특성을 반영한 분류 체계가 필요하다”라며 3단계 업 분류를 제안했다. ▲거래 플랫폼 운영 등 가상자산 거래와 직접 관련된 업 ▲위탁보관관리업, 중개업 등 가상자산 거래와 관련되나 구분이 되는 업 ▲자문, 일임, 평가 등 이용자 투자 판단 관련 업 등이다. 이를 통해 이해상충 정도가 큰 업부터 겸업을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두 번째는 진입 규제다. 현재 가상자산 시장 진입 규제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아닌 ‘특정 금융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 명시되어 있다. 문제는 기능별 분류 없이 모든 가상자산사업자에게 동일한 규제를 적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자금세탁방지(AML) 등을 위한 조치일 뿐 시장 건전성 확보와 관련된 규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류경은 교수는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진입 규제를 가상자산 기본법으로 이관하고 업 분류에 맞춰 차등 적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거래소 이해상충 규제 방안을 제안한 류경은 교수 / 출처=IT동아



세 번째는 보관 자산 규제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가상자산을 별도의 관리기관에 보관하도록 규정하지 않는다. 거래소의 임직원 횡령, 배임, 파산, 해킹 사고가 발생했을 때 고객 자산 보호가 어렵다. 류경은 교수는 “가상자산을 제3자에게 위탁하고 일본처럼 이행보증가상자산보관 의무화 및 분별관리감사를 적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가상자산 분실 시 거래소에 대한 책임을 명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 번째는 상장 관련 규제다. 류경은 교수는 일본 사례를 소개하며 거래소나 자율규제 기구에 권한을 부여해 구체적인 상장 기준을 마련하고 부실 상장에 대한 책임을 부과할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 규제 방안은 이상거래 감시 관련 규제로, 류경은 교수는 “이미 여러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다”라며 “각종 행정 제재 방안을 마련하고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해킹, 분실 등을 방어할 시스템 확보 의무를 진입 규제에 포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거래소 이해상충의 주요 쟁점


이어 주제 발표를 진행한 권오훈 차앤권법률사무소 변호사는 ‘가상자산 서비스의 이해상충과 글로벌 규제 동향’을 주제로 글로벌 거래소 이해상충에 대한 주요 쟁점 6가지를 설명했다.

첫째는 수탁과 거래 기능 병행이다. 기존의 거래소는 고객 자산을 보관하면서 임의로 운용하기도 한다. 이는 고객 자산 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각국은 고객 자산 분리를 의무화하거나 독립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둘째는 거래소 시장 조성 및 자체 거래다. 거래소가 직접 주문을 내거나 시장 유동성 공급 역할을 겸하면 고객보다 유리한 정보로 거래할 위험이 있다. 이에 홍콩은 라이선스 거래소의 자체 거래를 전면 금지하고 있으며, 미국은 거래소가 스스로 거래하는 행위를 제한한다.


글로벌 거래소 이해상충 주요 쟁점을 발표한 권오훈 변호사 / 출처=IT동아



셋째는 자체 발행한 가상자산을 자사 플랫폼에 상장 및 홍보하는 행위다. 거래소가 특정 가상자산의 가격 상승을 유도할 수 있고, 고객은 해당 가상자산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없다. 이에 EU는 가상자산 발행을 허락하는 대신 상장 및 홍보 시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정했다. 홍콩은 일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소매 투자자 대상 판매를 제한한다.

넷째는 계열사 간 거래다. 다수의 업체가 동일 오너십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계열사 편의 봐주기, 내부자금 도용 등의 위험 요소가 있다. 이에 EU는 공시 의무, 내부통제, 감사 제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본 및 홍콩은 사업자 인가 심사 시 그룹 구조, 자금흐름을 소명하도록 한다.

다섯째는 내부자 거래 및 데이터 남용이다. 내부 직원이 신규 상장 정보나 대규모 매매 정보를 미리 알고 사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이를 사기 및 시장 조작으로 간주한다. 영국, EU도 전통 금융의 불공정거래를 적용해 처벌한다.

여섯째는 고객 자산 미분리 및 부실 보관이다. 거래소 자금과 고개 자산을 분리하지 않아 파산 시 우선 변제가 어렵다. 또한 유동성 위기 발생 시 고객 동의 없이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일본은 자산의 95% 이상을 콜드월렛에 보관하고 신탁 은행에 예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싱가포르 역시 고객 자산을 별도 신탁 계정에 보관할 것을 의무화했다.

이와 함께 권오훈 변호사는 미국, 일본, EU, 홍콩, 싱가포르의 가상자산 규제를 소개하며 “고객자산 분리 보관에 대한 규제는 엄격해지고, 내부자 거래 및 시세 조작, 계열사 간 자금 유용 금지 등의 규제는 점차 확산되는 추세”라며 “엄격한 공시, 내부 통제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별 규제 차이가 있지만 그 간극은 줄어들고 있으며, 전통 금융 수준의 투명성과 신뢰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주제 발표에 이어 진행된 패널 토론 / 출처=IT동아



패널 토론으로 참여한 정석문 프레스토리서치 센터장은 “전통 금융 시장을 보면 공시, 내부 통제 및 감사를 통해 이해상충을 해소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위험 요소는 투자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한다”라며 “규제의 목적은 공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성진 금융위원회 가상자산과 과장은 “시장 자율 공시를 통한 규제라는 기본 방향에 공감한다”라며 “그 외에 오늘 언급된 내용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입법을 논의할 때 참고하겠다”라고 전했다. 또한 “2단계 입법의 경우 글로벌 적합성을 염두에 두고 효율성, 이용자 보호 등 여러 측면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논의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거래소 투명성·공정성 강화하는 기본법 제정 위해 노력할 것


이날 포럼에는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회 위원이 참여해 개최사 및 축사를 전했다. 각 위원은 거래소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강화하는 실효성 있는 기본법 제정으로 건전한 가상자산 시장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자산 기본법 제정을 위한 국회 포럼 참석자 / 출처=IT동아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개인 투자로 제한되고 거래소에 권한이 집중된 기형적 구조”라며 “거래소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함으로써 안정적인 시장이 조성되도록 가상자산 규제에 속도를 내겠다”라고 전했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법을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여러 측면을 고려해 조화롭고 유용하면서 가상자산 생태계 활력을 높이는 법률이 나오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가상자산은 새로운 흐름이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을 명확하게 잡아두지 않으면 오히려 시장은 위축된다”라며 “다양한 가상자산 사업자가 조화를 이루면서 이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방향과 속도 모두 중요하다”라며 “빠르게 성과를 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주 한국핀테크산업협회장은 “거래소는 투명한 운영, 엄격한 내부 통제 및 감시 체계 구축, 법규 준수 및 윤리적 경영 등을 통해 신뢰성을 강화해야 한다”라며 “오늘 살펴본 해외 거래소 이해상충 방안을 기반으로 학계, 정부, 산업의 다양한 관점이 모여 실효성 있는 방안이 나오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상자산 폰지사기 주의보, 투자자 유의사항은?▶ 금융위·업계, 법인 가상자산 시장 참여 ‘가이드라인’ 논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금융 안정 고려해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모태 솔로도 구제해 줄 것 같은 연애 고수 스타는? 운영자 25/07/21 - -
5150 [뉴스줌인] 카톡에 사진/문서 올려 프린터 출력, '엡손 프린톡'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49 0
5149 [투자를IT다] 2025년 4월 2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30 0
5148 [기고] 인테리어와 IT기술의 융합 - '잇테리어'의 시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5306 2
5147 퓨리오사AI 찾은 이재명 전 당대표, "AI 현장에서 새로운 희망이 보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31 0
5146 [생성 AI 길라잡이] 해커인 척 LLM 취약점 찾아낸다, AI 레드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7933 0
5145 [리뷰] 눈까지 즐거운 야외용 블루투스 스피커, 브리츠 BZ-MG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60 0
5144 [KESIA 프리팁스] 바이브에이아이 “SaaS 기반 개인화 AI 서비스로 글로벌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324 0
5143 [생활 속 IT] 동네 전문가, 카카오맵으로 찾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85 0
5142 [민원제로] 1. "제가 그 유명한 진상 민원인입니다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87 0
5141 씨너렉스 “확장성 뛰어난 ‘초정밀 위성항법 장치’로 자율주행 시대 맞이할 것”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4988 1
5140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융복합 창업 활성화' 사업으로 가치 혁신 나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86 0
5139 세종미래경제포럼 “지산학연 고도화, 지역 상생 산업계 구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1 224 0
5138 [생활 속 IT] 라인에서 실시간 통역 기능 사용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482 1
5137 AI로 무장한 이통3사,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 강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46 0
5136 자동차 보험 비교 2.0 써보니··· '실결제 가격 오차범위 내로 줄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40 0
5135 [IT애정남] 파일이 열려 있어 작업을 완료하지 못할 때 해결법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1308 1
5134 무선 게이밍 기어로 게임 즐기려면 ‘지연 시간’이 중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25 0
5133 [생활 속 IT] 직접 만들어 본 카카오톡 펑, 쓸모 있는 기능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0 2032 0
5132 델, ‘AI 레디’ 서버 및 스토리지 신제품 다수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995 0
5131 [신차공개] BMW ‘뉴 i4 eDrive40’·KGM ‘토레스 EVX ALPHA’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079 1
5130 업비트·빗썸, 가상자산 시장 회복으로 2024년 실적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06 0
5129 [주간스타트업동향] 팜스태프, 농산물 부가가치 높인 ‘하토마 잼’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15 0
5128 [IT하는법] 일회성으로 전화번호 저장할 땐, '태그 추가'로 해결하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81 0
5127 미국의 상호 관세가 우리나라 PC 시장에 미칠 영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102 3
5126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 전망 엇갈리는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00 0
5125 GM “SDV 시대 준비 박차·슈퍼크루즈 20개 모델 이상 적용 완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16 0
5124 [생활 속 IT] 아이폰 '나의 찾기'로 실시간 위치 공유·제품 찾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778 0
5123 [IT신상공개] 수면 추적·제어 기능 더한 무선 이어폰, 디비비츠 포미버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4955 1
5122 [IT’s 가성비] 원래는 전광판용? 기능 덜어 가격 낮춘 ‘삼성 비즈니스 TV’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23 0
51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동아닷컴+아이티동아, 스타트업 글로벌 홍보 증진 프로그램 MOU 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206 0
5120 안성~구리 고속도로'에 적용된 첨단 기술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88 0
5119 귀찮게 뜨는 광고 팝업 없애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2449 2
5118 연구기관의 디지털 전환, KETI는 ‘NHN두레이’에서 해답 찾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83 0
5117 [주간투자동향] BHSN, 100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76 0
5116 [투자를IT다] 2025년 4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93 0
5115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AI 쇼핑 앱 판도 바꿀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72 0
5114 신차 출시의 장으로 꾸려진 '2025 서울모빌리티쇼'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79 0
5113 [리뷰] 음량/배터리 빵빵한 아웃도어용 스피커, 브리츠 BZ-WK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40 0
5112 [생성 AI 길라잡이] GPT-4o 이미지 생성은 왜 새삼스레 주목받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34 0
5111 디스프레드 “비트코인 ETF·트럼프 당선으로 신규 투자자 증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233 0
5110 목재로 은은한 멋 살린 PC 케이스, 써도 될까?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5699 2
5109 시스코 “AI 디펜스, 기업용 AI 보안 우려 해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4 1788 1
5108 HP, 비즈니스용 AI PC 4종 공개··· '온디바이스 AI로 오프라인 AI 구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319 0
5107 [크립토퀵서치] CBDC 실거래 테스트, 개인 정보는 안전한가요?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963 0
5106 [기고] 화물차 불법주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현실과 해결책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201 3
5105 [칼럼] 사이버 복원력에 대한 핵심 교훈, 美 사이버 안보 전략에서 배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93 0
5104 디지털 금융 소외층을 위해 은행대리업 제도ㆍATM기 활성화 추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92 0
5103 첫 해외 법인 설립한 리벨리온, 일본의 '높은 벽' 넘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89 0
5102 “가상자산 산업, 규제 명확성 필요한 시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2176 0
5101 키사이트, AI 데이터센터 효율 잡는 ‘KAI 아키텍처’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206 0
뉴스 안선영, 연예인 등급별 홈쇼핑 출연료 솔직 공개...1시간에 1500만원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