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직관적 외관과 신속한 반응성이 일품, 맥 스튜디오·스튜디오 디스플레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24 18:11:52
조회 98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컴퓨터의 핵심 연산을 담당하는 중앙 처리 장치의 성능은 공정의 미세도와 동작 속도, 소비 전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연산 처리를 담당하는 코어의 숫자다. 동일 공정 등의 조건이라면 반드시 코어 수가 높을수록 성능이 뛰어나다. 같은 라인업 내에서 듀얼 코어보다 쿼드 코어가 좋고, 쿼드보다 옥타 코어의 성능이 훨씬 좋은 이유가 바로 코어의 숫자 때문이다. 따라서 코어 수를 무조건 늘리면 그만큼 성능도 늘어나지만 여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한 CPU에 탑재할 수 있는 코어의 수는 다이의 면적을 초과할 수 없다. 다이 면적을 넓히면 코어를 더 넣을 수 있게 되긴 하지만 그만큼 발열과 소비전력이 늘어나고, 분리된 다이 간의 통신 성능도 확보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CPU 소켓이나 발열 구조를 변경해야 한다. 새 프로세서가 출시되더라도 최대 코어 수가 획기적으로 늘어나기 어려운 이유다. 그래서 초고성능 및 서버용 제품의 경우 CPU 2개를 메인보드 하나에 직결하는 방식도 활용한다.


애플 스튜디오 디스플레이와 맥 스튜디오. 출처=IT동아



하지만 애플은 달랐다. 애플이 자체 개발한 애플 M1은 4개의 성능 코어 및 4개의 효율 코어, 그리고 8개의 GPU로 구성된 프로세서다. 원래라면 성능의 한계를 넘어서기 어려운 구조지만, 애플은 다이를 근접 배치하고 `울트라 퓨전’ 기술로 한데 엮어 성능을 배수로 끌어올렸다. 두 개를 붙인 M1 프로는 8개의 성능 코어와 2개의 효율 코어, 16개의 GPU를 갖추며 또다시 배수로 다이를 키운 M1 맥스는 8개의 성능 코어와 2개의 효율 코어, 32개의 GPU가 적용된다. 여기서 또 두배로 다이를 키운 M1 울트라는 16개의 성능 코어와 4개의 효율 코어, 그리고 64개의 GPU를 장착한다. 다른 제조사는 폼팩터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렵지만 애플은 하드웨어까지 직접 제조하기 때문에 가능했다.

애플 M1 시리즈 기반의 고사양 데스크톱, 맥 스튜디오


애플의 컴퓨터 라인업은 M1 및 M2가 탑재된 애플 맥북과 애플 맥북 프로 13, M1이 탑재된 맥 미니, 아이맥 24를 기본으로 둔다. 그 위로 M1 프로 및 맥스 탑재한 맥북 14, 16, 데스크톱 형태의 맥 스튜디오가 있다. 특히 맥 스튜디오는 최고 사양인 M1 울트라까지 적용되는 고사양 제품이다. 라인업상 최고 사양인 맥 프로 아래의 제품이지만, 현재 출시된 애플 실리콘 기반 컴퓨터 중에서는 가장 최고 사양에 해당한다.


맥 스튜디오는 케이스 전체가 알루미늄으로 돼있다. 출처=IT동아



맥 스튜디오는 스튜디오라는 이름답게 영상 편집이나 음향 작업 등 고사양 컴퓨팅이 필요한 작업 환경을 위한 제품이다. 디자이너들의 취향을 저격이라도 한 듯한 깔끔한 알루미늄 아노다이징 보디를 갖추고 있으며, 전면 및 후면도 데스크톱다운 수준의 인터페이스가 적용돼있다. 또한 고품질의 작업 환경에 걸맞은 화상을 제공하는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도 연결할 수 있지만,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면 여러 작업자가 동일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비교적 일관된 영상 품질로 작업할 수 있다.

리뷰에 사용된 맥 스튜디오는 10코어 CPU 및 24코어 GPU, 16코어 뉴럴 엔진이 적용된 M1 맥스 사양이며, 400GB/s의 메모리 대역폭과 32GB 메모리가 적용돼있다. 저장 장치는 기본 512GB에 추가 옵션을 통해 1~8TB까지 늘릴 수 있다. M1 맥스의 경우 1개의 동영상 디코딩 엔진과 2개의 인코딩 엔진, 프로레스(ProRes) 인코딩 및 디코딩 엔진이 2개 탑재돼있다. 상위 버전인 M1 울트라는 CPU와 GPU 코어, 메모리, 미디어 엔진과 메모리 대역폭이 전부 두 배다.


맥 스튜디오 전면과 후면, 상단 및 하단. 하단에는 흡기 구조가 적용돼있다. 출처=IT동아



크기는 세로 및 가로 19.7cm에 두께가 9.5mm의 직사각형 형태다. 무게는 M1 맥스가 2.7kg, M1 울트라가 3.6kg인데, 방열 성능을 위한 구조로 인한 차이로 보인다. 전면의 인터페이스는 10Gbps 속도의 USB-C 단자와 2개와 UHS-II 등급의 SD 슬롯이 적용돼있다. M1 울트라 모델의 경우 전면 단자까지 썬더볼트 4다. 후면에는 4개의 썬더볼트 4 단자와 10Gb 이더넷 단자, 전원 단자, 최대 5Gbs를 지원하는 USB-A 단자 2개, HDMI 단자, 오디오 단자 및 전원 버튼으로 구성된다. 이는 맥북 프로 16과 비교해 훨씬 단자가 많고, 현행 맥 프로의 기본 단자와 비교해도 더 알찬 구성이다.

전문가용 디스플레이의 새 표준, 스튜디오 디스플레이



27형 스튜디오 디스플레이, 스탠드는 기본 제공이 아닌 기울기 및 높이 조절을 지원하는 상위 버전 스탠드다. 출처=IT동아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는 600니트 및 P3 색역을 갖춘 5K(5120x2880) 해상도 5K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27형 디스플레이다. 전문가용 디스플레이인 만큼 600니트 P3 모드는 물론 Rec. 709 대응 HDTV 모드와 NTSC 기반 SMPTE-C 모드, PAL 및 SECAM모드같은 방송규격과 함께 영상 편집용 P3-DCI 및 P3-D65, 인쇄 대응용 P3-D50와 사진 대응용 P3-D65, 웹 디자인용 sRGB 색상이 레퍼런스로 제공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특성상 장기 사용 시에는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거쳐야 정밀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XDR 디스플레이에 적용됐던 비반사 처리 기술인 나노 텍스처 글라스, 기울기 및 높이 조절 스탠드를 별도로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단에 스피커가 배치돼있다. 출처=IT동아



디자인은 전면 강화유리가 인상적이며, 측면과 후면은 애플 제품 특유의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이 덮고 있다. 디스플레이 두께가 측면과 중앙이 일관적이며, 포스캔슬링 우퍼를 탑재한 하이파이 6 스피커 시스템이 와이드 스테레오 사운드로 적용돼 일반 모니터보다 한 차원 높은 음장감 및 음향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스튜디오급 3 마이크 어레이를 갖춰 화상회의는 물론 음원 녹음도 시도해볼 정도다. 카메라 역시 센터 스테이지를 지원하는 1천200만 화소 카메라가 장착돼 작동 시 사용자를 자동으로 줌인, 추적한다.


인터페이스는 후면에 있으며, 안쪽 방향 하나가 썬더볼트 3 단자다. 출처=IT동아



인터페이스는 1개의 썬더볼트 3 포트와 3개의 USB-C형 단자가 후면에 제공된다. 썬더볼트 규격으로만 디스플레이가 전송되기 때문에 맥OS 몬터레이 12.3 이상, 2016년 이후 출시된 맥북 프로부터 활용할 수 있으며, 아이패드OS 15.4 버전이 설치된 아이패드 프로 12.9 및 11,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제품도 쓸 수 있다. 장치와 연결되면 측면에 있는 세 개의 USB-C 단자가 자동으로 활성화돼 허브로 쓸 수 있다.

‘스튜디오’ 수준의 작업에 최적, 두 장치 조합은?


맥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는 맥 미니보다 높은 성능이 필요하면서, 일관된 디스플레이 성능이 필요한 컴퓨팅 환경에 적합하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스튜디오 환경이며, 사진이나 영상, 음원 편집 등의 환경에 적절한 성능이다. 기존에 맥 프로와 XDR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매킨토시의 활용도가 높은 작업에 추천된다.


시네마 4D 뷰포트 벤치마크 결과, 1629.6점을 획득했다. 편집 시 시각화 및 반응 속도는 최신 고성능 데스크톱 수준이다. 출처=IT동아



전문가용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및 렌더링 소프트웨어 시네마 4D 기반의 뷰포트 벤치마크를 먼저 실행했다. 해당 벤치마크는 렌더링 작업 시 활성화되는 장면의 초당 프레임을 측정하며, 속도가 빠를수록 안정적인 실시간 화상을 볼 수 있다. 이때 애플 M1 맥스가 획득한 점수는 1629.6점으로, 1382점인 AMD 라이젠 9 5950X보다 훨씬 쾌적하고 1587점인 11세대 인텔 코어 i9-11900K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뷰포트 성능은 얼마나 쾌적하게 편집을 진행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편집 성능 자체가 높다고 볼 대목은 아니다.


실질적인 CPU 연산 성능은 최신 메인스트림 급 데스크톱과 비슷한 수준이다. 출처=IT동아



시네마 4D를 기반으로 특정 화상을 10분간 반복 렌더링해 프로세서 성능을 측정하는 벤치마크 프로그램, 시네벤치 R23을 통해 M1 맥스의 성능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때 M1 맥스가 획득한 점수는 다중 코어 기준 1만2345점, 단일 코어 기준 1537점으로 확인된다. 처리 속도 자체는 12세대 인텔 코어 i5-12400F나 AMD 라이젠 7 3800X와 비슷한 수준이다. 물론 코어 수가 두 배인 M1 울트라는 다중 코어 점수가 두배에 가까워서 인텔 코어 i9-12900F나 AMD 라이젠 9 3950X와 맞먹는 처리 속도를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M1 맥스는 렌더링 성능은 경쟁사 데스크톱과 비교해 특출 나게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통합 메모리의 영향으로 실시간 보기 등의 반응성은 우수하다.


옥테인 X 상에서 애플 M1 맥스의 비디오 메모리가 32GB로 인식되고 있다.



시스템 메모리와 그래픽 메모리가 통합돼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일반적인 컴퓨터는 메인보드의 시스템 메모리와 그래픽 카드의 VRAM가 따로 구분된다. 따라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고, 또 해당 소프트웨어가 어떤 메모리 자원을 활용하는지 따져서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애플 실리콘은 두 메모리가 통합돼있어서 비디오 메모리의 용량이 넉넉하다. 예시는 3D 렌더링 프로그램인 옥테인 X의 동작 화면인데, 이때 M1 맥스의 메모리가 1GB 사용 중이며 32GB가 가용 메모리로 잡힌다. 만약 32GB DDR5에 RTX 3080 12GB인 시스템이라면, 시스템 메모리가 32GB더라도 해당 프로그램에서는 12GB 메모리밖에 쓸 수 없다. 이처럼 자유로운 메모리 안배가 가능하다는 점이 애플 실리콘 기반 맥의 장점이다.


렌더링 성능을 확인하는 블랜더 3.1 벤치마크를 활용해 CPU 및 GPU의 성능을 각각 측정했다. 출처=IT동아



GPU의 실질적인 작업 속도는 어느 정도일까. 분당 프레임 생성 속도를 통해 프로세서 성능을 확인하는 블렌더 3.1 벤치마크를 활용해 CPU 렌더링과 GPU 렌더링을 각각 실행했다. 이때 CPU 렌더링은 각 벤치마크 총합 193.85점을 획득했다. AMD 라이젠 7 5800과 비슷한 정도다. 반면 GPU는 617.4점으로 엔비디아 GTX 1080과 비슷한 정도다. 프로그램 최적화에 따라 이보다 더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실질적인 성능은 출시 2~3년 차에 접어든 하이엔드 데스크톱과 비슷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노트북과 비교하면 우수한 편이고, 또 통합 메모리가 높아서 체감 작업 속도가 빠르다는 점은 추가로 고려할만한 사안이다.

높은 품질과 완성도, 하지만 궁극의 ‘편집머신’은 아냐



M1 맥스 버전 맥 스튜디오는 메인스트림 급, M1 울트라 버전 맥 스튜디오는 하이엔드 급 PC와 비슷한 수준이다. 출처=IT동아



맥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는 성능적 특성이 분명한 장치다. 애플 실리콘의 경우 전력 소모 대비 성능비가 뛰어난 것이지, 최대 성능이 극적인 건 아니다. 따라서 강력한 데스크톱이 필요한 조건보다는 활용도와 반응성이 뛰어나면서도, 인터페이스나 확장성이 좋은 제품을 찾는 경우에 적합하다. 스튜디오 디스플레이의 경우 일관된 품질과 안정적인 디스플레이 성능을 찾는 사진 및 영상 전문가 등이 두루 활용하기 좋다. 대신 썬더볼트 4 기반이어서 HDMI나 DP 연결 시 별도 케이블이 필요하고, 윈도우 기반과 PC와 연결할 때 센터스테이지나 공간음향 기능 등을 쓸 수 없다.

맥 스튜디오의 가격은 M1 맥스 모델이 269만 원부터 시작하며, M1 울트라 모델이 539만 원부터 시작한다. 64코어 GPU에 128GB 통합메모리까지 탑재하면 782만 원을 넘어간다. 스튜디오 디스플레이는 기본 스탠드 기준 209만 원부터 시작하고, 나노 텍스처에 다기능 스탠드를 포함하면 303만 원대로 높아진다. 물론 어도비 RGB나 DCI-P3 99% 수준의 전문가용 모니터도 이 정도 가격대이므로 비싸다고 볼 순 없다. 맥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디스플레이 조합은 강력한 성능보다는 안정적인 성능과 활용도가 우선인 작업 환경에 적합하다. 이름에 ‘스튜디오’가 붙은 이유도 딱 그런 환경에 잘 맞기 때문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IT하는법] 아이폰 메모 앱, 윈도에서 이용하는 방법은?▶ 부품 공급난·러 침공 직격, 유럽 스마트폰 출하량 10년만에 최저▶ 애플 카플레이·구글 안드로이드 오토로 엿보는 미래 자동차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867 페라리 DNA 담은 12기통 2인승 '12 칠린드리'…아시아 최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 0
3866 블랙웰에 FOPLP 조기 도입 고려 중인 엔비디아, 미세공정 넘어 생산 경쟁 유도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 0
3865 북블라 “창업의 꿈, 가천대 코코네스쿨에서 이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0 0
3864 스페이스앤빈 “뉴스페이스로의 전환, 상용 부품 적용 물꼬부터 터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 0
3863 [리뷰] AFMF로 가성비 게이밍 환경 구축, AMD 라데온 RX 7700 XT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655 4
3862 [스타트업 첫걸음]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는 어떻게 시작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 0
3861 KT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기반 학습 서비스 'AI Train'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5 0
3860 캐딜락, 브랜드 최초 순수 전기 SUV ‘리릭’ 출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03 1
3859 SBA 유망 스타트업의 면모 확인, ‘2024 연합 데모데이’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29 0
3858 AI 구심점으로 떠오른 '컴퓨텍스', 올해 주목할만한 기업 별 소식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317 0
3857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고를 때 고려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805 0
3856 두루·무의 “모두의1층이니셔티브로 장애 인식·접근성 개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9 44 0
3855 [자동차와 法] 음주운전 시 위드마크 공식 적용의 문제점에 대하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805 0
3854 [신차공개] 기아 'EV3'·벤틀리 '더 뉴 컨티넨탈 GT' 론칭 예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7 0
3853 [뉴스줌인] 내연기관차 이어 전기차 찍은 LG전자 웹OS, 다음 목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134 0
3852 글로벌 가상자산 정책 동향 ‘제도 틀 안에서 규제 공백 보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0 0
3851 샥즈, 오픈스윔 프로·오픈핏 에어 출시···오픈형 이어폰 1위 입지 굳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75 0
3850 서울과기대의 제조창업 지원, '밀도있는 심화 과정'으로 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62 0
3849 아직도 안 찾고 쌓이는 숨은 보험금, 이 기회에 찾아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870 0
3848 자동차 에어컨 필터 고를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777 0
3847 차트분석 도구 ‘트레이딩뷰’ 파고들기 -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6 136 0
3846 [자동차 디자人] 英 오프로더 SUV ‘그레나디어’ 디자이너 ‘토비 이큐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0 0
3845 가상자산 시장 ‘거래량·수익 상승, 원화·코인 마켓 격차 뚜렷’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0 0
3844 [농업이 IT(잇)다] 전통주로 과거ㆍ현재ㆍ미래를 잇는 나루 되겠다, 한강주조 고성용 대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72 1
3843 [IT하는법] 잘 사용하지 않는 MS 원드라이브, 사용 해제하는 방법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122 1
3842 ‘천비디아’ 달성한 엔비디아, 독주할까? 반도체주와 함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55 0
3841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증권거래법 요건 충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5 0
3840 벤처 투자 80%가 수도권 편중··· '투자 해결사'로 나선 부산창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181 0
3839 국내 통신3사 모두 "이제 우리는 AI 기업"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89 1
3838 [IT애정남] 갤럭시 '생성형 편집', 어떻게 해야 잘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37 0
3837 즉석 카메라로 이런 ‘손맛’이? ‘인스탁스 미니 99’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5 0
3836 스타트업 해외 진출 시 알아야 할 정보 공유 ‘라이징 스타트업 콘서트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211 0
3835 [IT애정남] 해외 구매폰에 국내 유심 쓰는데 음성 통화 안되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046 3
3834 퀄컴, 코파일럿+ PC 등장에 'AI 허브 및 개발 도구'로 지원 사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93 0
3833 네카오, 글로벌 공략 갈 길 바쁜데…일단 멈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51 0
3832 2025년 상반기 탄생할 주식 대체거래소(ATS), 이렇게 달라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168 0
3831 AMD, 에픽·MI300X 투트랙으로 AI 산업 주도권 확보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63 0
3830 '직장인 3명 중 1명, 데이터 도출 어려워'··· AI 기반 자동화가 해답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183 0
3829 산행 보조부터 산불 진화까지...'입는 로봇' 활용처 확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5079 1
3828 대거 출시 예고한 Arm CPU 기반 윈도우 PC, 뭐가 다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243 0
3827 비트코인 피자데이, 업비트·빗썸 “피자 2024판 쏜다”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2 7190 4
3826 [생성 AI 길라잡이] 음성과 이미지만 있으면 영상을 만든다 ‘런웨이ML’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869 0
3825 가속 페달 밟은 검색광고 시장 경쟁, 보라웨어 ‘AI 검색광고 관리 솔루션에 주목해야 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66 0
3824 부르면 달려오는 '이동형 전기차 충전기' 시장 기지개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061 0
3823 MS, '코파일럿 플러스 PC' 발표…AI 시대의 새로운 PC 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234 0
3822 업비트·빗썸, 1분기 실적 개선···투자자 보호·서비스 개선에 주력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55 0
3821 GPT4o와 GPT4 비교해 보니··· '사람 대 AI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 바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1 1441 3
3820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에센셜 화이트 색상 출시…색상 라인업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214 0
3819 채팅창 넘어 일상으로…'만능 AI 비서' 시대 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588 0
3818 오늘부터 시끄러운 불법 튜닝 오토바이 집중 단속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0 730 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