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비티 라그나로크 시리즈의 최신작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가 베일을 벗었다. 그라비티가 선보이는 이번 신작은 원작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바일 MMORPG로, 방치형 성장 요소와 자유로운 거래 시스템을 도입하며 기존과는 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그라비티 IP의 확장을 진행중인 그라비티가 이번 작품을 통해 그 영광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지 탐방해 봤다.
◇ 원작의 감성을 계승한 그래픽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는 3D 방치형 MMORPG지만, 그 그래픽은 여전히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원작의 감성을 살렸다. 기존 2D 도트 그래픽이 가진 매력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표현 방식으로 부드럽고 세련된 비주얼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필드와 마을 역시 익숙하면서도 세련되게 재탄생했으며 몬스터와 캐릭터 디자인도 원작의 특징을 가져와 향수를 자극한다.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특히 스토리를 밀면서 등장하는 웹툰 형식의 컷신은 아기자기하면서도 향수를 자극하는 모양새로 잘 꾸며졌다. 완성도 역시 높은 편으로, 플레이 타임이 강제되는 애니메이션보다는 눈으로 빠르게 훑고 지나갈 수 있는 만화를 선호하는 이용자에게 더욱 좋을 콘텐츠다.
◇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방치형 성장 시스템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라그나로크 시리즈 하면 떠오르는 전반적인 이미지와 기존에 존재했던 MMORPG의 특징은 꾸준한 플레이에 사냥을 곁들인 모습이다. 하지만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는 방치형 성장 요소를 추가해 보다 캐주얼한 접근이 가능하게 됐다.
게임을 종료한 상태에서도 캐릭터가 경험치와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어, 바쁜 일상을 보내는 유저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순한 방치형 게임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보스 레이드나 PvP, 길드전 등 기타 콘텐츠도 풍부하게 마련돼 있다.
특히 방치형 요소는 초보 유저들에게 큰 장점으로 다가온다. 레벨업과 장비 파밍이 부담스러운 이용자에게 이번 게임은 꾸준하고 편안한 캐릭터 성장이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스위칭 인터페이스와 간단한 전투 시스템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기존 라그나로크 시리즈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인터페이스의 스위칭 시스템이 추가됐다. 가로, 세로 모드가 모두 인터페이스로 구현됐으며 현실적인 환경 상황과 게임 콘텐츠의 집중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버튼 하나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화면 전환시 로딩은 없다.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중일 때는 한 손에 들어오는 세로형 디스플레이로 전환하면 간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전투 시스템의 경우 여느 게임과 같이 자동과 수동의 변경이 가능하지만 자동과 반자동, 직접 조작 등으로 세부적으로 나뉘어 있다.
이는 게임을 종료해도 얻을 수 있는 경험치와 재화 등 방치형의 메리트와 시너지를 발휘해 이용자의 피로도를 대폭 낮춰준다. MMORPG는 필연적으로 숙제형 콘텐츠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간단한 플레이 방식으로도 다양한 재화를 얻는 데 부족함이 없다는 느낌이다.
◇ 자유로운 거래 시스템, 경제적 재미까지
이번 작품에서 눈에 띄는 요소 중 하나는 글로벌 통합 거래소다. 공식 상점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이 게임의 '킥'이라고 볼 수 있다. 유저들은 게임 내에서 획득한 아이템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적 선순환을 경험할 수 있다. 기존 MMORPG에서는 필수 아이템을 얻기 위해 긴 시간을 투자해야 했지만, 이 시스템을 통해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특히, 거래소에서는 일반적인 장비뿐만 아니라 희귀 아이템과 코스튬 아이템도 사고팔 수 있어 단순히 몬스터를 사냥하는 것 외에도 경제적 재미를 느낄 수 있다. 가격 변동에 따라 전략적인 거래를 시도하는 것도 하나의 플레이 방식이 될 수 있다.
자유 경제 시스템 역시 눈에 띄는 부분인데, 게임 내 존재하는 상점을 통해 직접적으로 패키지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들의 자유 거래를 토대로 시장 경제가 돌아간다. 다만 자유 경제 시스템을 표방하는 만큼 본인의 역량에 따라 거래소를 전략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인 게임 경제 시스템 자체가 거래소와 경매장을 기반으로 한다. 동남아 및 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의 플레이어들과도 자유 거래가 가능하다. 말 그대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지 않는 '자유 시장 경제 체제'다.
◇ 결론
향수를 자극하면서도 현대적인 변화로 다가온 작품이다. 다만 이 게임의 특징은 이러한 향수와 세련된 각색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방치형 성장 시스템'과 '스위칭 인터페이스', '간단한 전투 시스템', '자유로운 거래 시스템' 등의 강력한 장점은 이용자의 게임 플레이 피로도를 대폭 낮춰줌과 동시에 MMRPG를 플레이함에 있어 다가올 수 있는 불쾌함을 씻어준다.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 / 게임와이 촬영
'라그나로크: Back to Glory'는 과거의 감성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시스템을 접목해 MMORPG의 재미를 극대화했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방치형 성장, 자유 거래 시스템, 낮은 피로도의 전투 요소가 조화를 이루며 새로운 라그나로크를 만들어냈다. 원작 팬들에게는 반가운 작품이 될 것이고, 신규 유저들에게도 충분히 매력적인 MMORPG로 다가갈 것으로 보인다.
방치형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현재 가장 유행하는 장르의 게임들과 비교했을 때 조금 더 기존 MMORPG에 가까운 모습이다. 하지만 이런 적절한 조화가 게임의 완성도를 더욱 올려놨다고 봐도 무방하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