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미 대한민국 소아과는 무너졌다, 더 많은 아이들이 죽어갈 것"[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17 15:10:00
조회 1615 추천 14 댓글 32

아동병원 원장·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2人 인터뷰


[파이낸셜뉴스] "이미 대한민국의 소아청소년과는 무너졌다. 앞으로 더 많은 아이들이 죽을 수 있다."
충청권에서 아동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A 원장은 '오픈런'까지 벌어지고 있는 소아청소년과의 상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A 원장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 대학병원에서 10년, 병원을 개업한지는 10년이 넘어간다. 도합 20년이 넘게 아이들을 진료했지만 이제는 붕괴된 소아청소년과가 사라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봤다.

장성급 의사만 남은 아동병원
일단 더 이상 아이들을 볼 의사가 없다고 한다. A 원장은 "우리 병원 의사 정원이 9명인데 4명이 나가고 전문의를 못 구한지 2년이 넘었다"고 말했다. 그는 "소아과 병원을 군대에 비유하면 장성들만 남은 상황"이라며 "사람이 수혈돼야 조직이 돌아가는데, 지금은 장성들이 당직은 물론 현장에서 가장 허드렛일까지 해야 한다"고 했다.

실제 많은 상급병원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지원자가 미달인 상황. A 원장은 "이제 대학 교수들마저 번아웃에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며 "나가서 새로운 소아과를 개업하는 것도 아니고, '놀겠다'는 사람도 허다하다"고 했다. 그는 "이제 의사들에게 소아청소년과는 지킬 가치가 하나도 남지 않았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A 원장은 소아과 지원 기피의 원인을 '하이 리스크 로우 리턴(높은 위험부담에 낮은 보상)' 구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소아과 전문의 수련 내용은 난이도가 높고 사망자도 많아 리스크가 높은 과"라며 "그런데도 정부는 소아과를 단순히 감기나 치료하는 과로 접근해 의료 수가를 책정했고, 의사들은 소송 등 온갖 위험 부담은 다 떠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동료도 떠나고, 가족들을 건사해야 하는 의사들이 그런 리스크를 지고 굳이 소아과에 남아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소아과 전공했지만 일반의원 개업
서울 지역에서 근무하는 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김모씨(37)는 성인 진료로 돌아섰다. 김씨는 "동료 의사도 부족한데 간호사 인력도 충원하기 힘들어 휴일도 없이 항상 번아웃에 허덕였다"며 "내가 진료하고 있던 아이를 상급 병원으로 전원시키기도 힘들어진 환경에서 소송 위험도 커서 이대로는 살아남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토로했다.

부모들의 비수 같은 말들에 상처받는 일도 많았다고 한다. 환자 수는 제어할 수 없었고, 수입은 보장되지 않았다. 그는 "아직 누구보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좋아한다고 자부하지만, 이제 다시 그 복잡한 대기실 안을 비집고 진료할 염두가 나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김씨의 소아과 선배 의사들은 잇따라 일반의원으로 개업했다. 그가 지원할 때만 해도 소아청소년과는 경쟁이 치열했지만, 이 과에 남아 있는 동기들도 몇 안 남은 상황. 대학교수들도 전공의가 들어오지 않아 많이 힘들고 지친 상태라고 한다.

김씨는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사건'을 소아과 붕괴의 신호탄으로 봤다. 지난 2017년 12월 이대목동병원에서 신생아 4명이 균 감염으로 숨지자 의료진 7명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됐다. 의료진들은 대법원까지 간 끝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내가 선배 전공의로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근무하고 있을 당시였다"며 "리스크가 너무 커지다 보니 그 이후로 지원자가 많이 줄어들었다"고 회상했다.

후배들만 부족한게 아니다. 김씨는 교수들 마저 떠나는 현 상황에 "배울 환경이 안 될 것 같아 걱정이 든다"고 했다. 가르쳐 줄 교수도 떠나고 전문적 지식을 쌓기 어려워 제대로 된 전공의가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는 "정부에서 정말 아이들을 생각하고 있다면 이 시그널을 잘 읽어야 한다"며 "낙수과로 찍혀 훈련된 의사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무너지고, 정말 복구할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를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wongood@fnnews.com 주원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박명수 "3억 5000만원 롤스로이스 샀는데" 논란 이유▶ 수술 받고 사망한 여대생의 유족 "3명의 마취의가..."▶ "박수홍만 법인카드 못 쓰게 하고 PC방서..." 씁쓸▶ '불륜' 물의 김제시의원, 또 어느 마트 기혼 여주인과...▶ "이선균 협박녀, 20살 때 월세 480만원 아파트에..."



추천 비추천

14

고정닉 0

5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8654 3일간 영아 방치해 숨지게 한 20대 여성 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50 0
8653 경복궁 이어 이번엔 지하철 '낙서 테러’...경찰 용의자 3명 추적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58 0
8652 교통위반 통고서, 13%가 스마트폰으로 발부받았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57 0
8651 대검, 법무부에 이성윤 중징계 청구...조국 출판기념회서 부적절 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87 0
8650 아이브 장원영, 유튜버 '탈덕수용소' 상대 1억 손배소 승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81 0
8649 '호화 해외이사회' 최정우 포스코 회장 추가고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7 0
8648 '말 학대 논란'... KBS '태종 이방원' 제작진에 벌금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74 0
8647 이원석 검찰총장 "소방·구급대원 폭행, 강경대응 약속 지킬 것"...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2 0
8646 '3억 보험사기 혐의' 주범 2명 구속영장 발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2 0
8645 검찰, '尹명예훼손 혐의' 당사자 김만배·신학림 피의자 동시 소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2 0
8644 '선거법 위반' 이정근, 1심 유죄…징역 1년·집행유예 2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4 0
8643 미제로 남을 뻔한 아동 강제추행 사건... DNA로 덜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7 0
8642 실화 논란된 불륜 소설 '본업과 주유'...명예훼손 처벌 가능성은[최 [5]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808 1
8641 법관인사 앞두고 또 가열되는 '재판 지연'논란, '조희대'식 해법 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1 0
"이미 대한민국 소아과는 무너졌다, 더 많은 아이들이 죽어갈 것"[필 [3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615 14
8639 최첨단 과학치안…스마트폰 지문 식별 치안현장 도입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4 0
8638 '불법 촬영 혐의' 황의조 3번째 소환조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8 0
8637 공수처 "김진욱 처장, 자비로 영국 학회 참석"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9 0
8636 "짜증 나서 폭행"…60대 환자 머리채 잡고 흔든 간병인 입건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9 0
8635 '故 이선균 연루 사건' 강남 유흥업소 실장에 마약류 지급한 의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65 0
8634 '오세훈 부인 강의실 무단침입' 강진구 더탐사 전 대표 징역 1년 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82 0
8633 술 취해 행인 때려죽인 40대 남성...검찰 징역 15년 구형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3 0
8632 최강욱, '기자 명예훼손' 2심 벌금 1000만원…"비방 목적 있었다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2 0
8631 교통사고 내고 옥상으로 도망...음주운전 덜미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5 0
8630 지적장애 허위 진단 받아 현역 입대 기피한 아이돌...집행유예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7 0
8629 [속보]'채널A 전 기자 명예훼손' 최강욱 항소심서 유죄…1심 뒤집혀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44 0
8628 미아동 주택에 원인미상 화재…새장 안 앵무새 20마리 죽어 [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417 0
8627 '대마 흡연 혐의' 김예원 전 녹색당 대표, 집행유예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0 0
8626 "文 4·3 추념사로 명예훼손"…이승만사업회 2심도 패소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6 1
8625 소방대원·응급의료인 폭행에 '칼 빼든' 검찰 "엄정 대응"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49 0
8624 보이스피싱 합수단 "대포통장 관련 38개 유령회사 해산명령"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1 0
8623 '46억원 횡령' 필리핀 도주 건보공단 팀장, 조기 송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0 0
8622 '서민 내집마련 꿈' 송두리째 앗아간 전세사기범..낮은 처벌수위에 '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61 0
8621 국내투자자 1400억원 손해 '옵션 쇼크' 13년여만에 결론...'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50 0
8620 검찰, '文정부 통계 조작 의혹' 김현미 전 국토부 장관 소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72 0
8619 '반도체 기술 中 유출' 前 삼성 연구원 영장 기각…"다툼 여지 있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91 0
8618 남현희 “전청조 공범 아님 입증하겠다...기다려달라"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77 0
8617 대검찰청 "설 명절 상습적·악의적 임금체불 사업주 엄정 대응" 지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7 0
8616 김태희·김서영·최민혁 검사, '2023년 하반기 형사부 우수검사'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9 0
8615 '마약 투약하고 운전' 혐의 30대…"도주 우려 없어"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4 0
8614 검찰 '재판 중 또 성범죄' B.A.P 힘찬 징역 7년 구형 [2]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105 0
8613 "학생들 죽일 것" 연세대 소동…작성자 "소설쓰기 과제"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6 0
8612 법무법인 화우, AI 스페라와 업무협약…불법 디지털 콘텐츠 대응[로펌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48 0
8611 '대북송금' 의혹 재판, 2월 정기 인사 앞두고 이화영-검찰 신경전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0 0
8610 박서준 비방 게시물 작성자 검찰 송치 예정…"무관용 원칙"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3 0
8609 '시민 덕희'와 바쁜 경찰[기자수첩]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0 0
8608 마약 투약하면 왜 이상한 행동할까[김동규의 마약이야기]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7 0
8607 경찰 '한동훈 딸 스펙 의혹' 혐의 없음 불송치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9 0
8606 3년 임기 마친 김진욱 공수처장 "기반 마련했다...역사의 평가 받을 [1]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71 0
8605 이태원 유가족, "특별법 즉각 공포하라...檢 수심위 결정 환영" [13] 파이낸셜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2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