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항상 세상은 "시끄러운" 바보들이 선동하고 다닌다앱에서 작성

ㅇㅇ(78.141) 2025.06.17 10:19:55
조회 125 추천 2 댓글 0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1f0cd6b83e6b423bd3a6736005df66c52a407b08d4885673c048c






"소음과 실력: 진짜와 가짜를 가르는 경계에 대하여"





항상 그랬다. 실력 없는 이들이 더 시끄럽다. 눈에 띄고 싶어서, 뭔가 있어 보이고 싶어서, 혹은 자기 자신을 속이기 위해. 시끄러움이 실력의 대체재가 되어선 안 되지만, 요즘 세상은 그런 착각에 빠지기 쉬운 구조다. 무대는 넓어졌고, 마이크는 모두에게 주어졌다. 문제는, 가장 먼저 그 마이크를 붙잡는 이들이 대개는 가장 실력 없는 사람이라는 점이다.

나는 오래 전부터 이 패턴을 봐왔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도, 대학 시절에도, 그리고 지금 자본 시장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다. 실력 없는 자가 시끄럽고, 진짜를 아는 자는 조용히 제 길을 간다. 이건 인류 보편의 진실이다.



반에서 80점, 항상 시끄러웠던 애들



중고등학교 시절을 떠올려보자. 반에서 항상 시험 전에 가장 시끄러웠던 애들이 있다. 평균 80점대. 어느 정도 아는 건 있지만, 결코 탑이 될 수는 없는 애들. 이들은 시험 전날엔 불안에 떨며 펜을 돌리고, 시험이 끝나고 나면 교실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채점지를 휘두른다. 마치 자기가 무언가 대단한 분석가라도 되는 듯이.

그들의 행동은 언제나 ‘실력 없는 자의 초조함’에서 비롯된다. 그 초조함을 감추기 위해 오히려 더 시끄럽고, 더 과장된 표현을 쓴다. 나처럼 조용히 책상에 앉아 있던 이들은 그들이 교실을 떠들썩하게 만들 때도 묵묵히 다음 시험 과목을 준비했다. 100점을 맞기 위해선 그렇게 해야 한다. 시험 범위만 안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역산하고, 주변 지식을 엮어내야 한다.



눈으로 책 읽고 “공부 다 했다”는 애들



한 번은 반에서 30등 정도 하던 친구와 같이 공부한 적이 있다. 불과 2시간 만에 “공부 다 했다”는 말이 튀어나왔다. 나는 그 말이 너무 신기했다. 어떻게 이걸 다 했다고 할 수 있지? 그래서 곧장 물어봤다. 이건 어떻게 외웠냐? 저건 이해됐냐? 그런데 하나같이 대답을 못했다. 그 친구는 그냥 책을 읽고 온 것이지, 공부를 한 것이 아니었다. 그냥 그림책 보듯이 넘겨본 것이다. 그걸로 자기 위안을 삼고, 자기기만을 했다.

결과는 명확하다. 그 친구는 여전히 30등이고, 항상 70점대다.

공부라는 건 눈으로 글자를 읽는 게 아니라, 그 내용을 자기 안에 구조화하는 것이다. 핵심은 단기 기억이 아니라 중장기적 응용력에 있다. 그런데 눈으로 훑기만 한 사람들은 이걸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대학에서도 똑같았다. 시험 전날, 나를 비웃던 그 친구



대학교에 와서도 마찬가지였다. 시험 전날 아침, 나는 밤새 정리한 것을 달달 외우고 있었다. 내 옆자리에 앉은 친구가 그걸 보고는 한심하다는 듯 비웃었다. “그걸 뭘 아침까지 보고 있냐, 나는 어제 저녁에 다 끝냈다. 공부는 평소에 하는 거다.”

그 말이 얼마나 웃겼는지 모른다. 나는 그를 조용히 쳐다보며 이렇게 생각했다. 아, 이 친구는 정말 공부를 해본 적이 없는구나. 그 친구는 늘 그렇듯, 현실에 맞지 않는 자기신념 속에 살고 있었다.

결과는? 나는 과에서 1등. 그 친구는 입력조차 제대로 못 해서 교수한테 0점 처리당했다. 기본적인 개념조차 없었고, 오히려 자기가 무언가 대단한 전략이라도 쓴 듯한 태도로 일관했다.

공부를 안 한 게 문제가 아니다. 공부를 안 했으면서도 자기가 뭔가 있다고 착각하는 그 허세, 그 자의식이 문제다. 이건 지능의 문제라기보단, 인식능력의 결함이다.



현실: 코스피와 “돈복사”라는 신기루



요즘 주식판을 보면 마치 그 시절 친구들이 커서 다시 나타난 것 같다. 여기저기서 “돈복사”가 된다느니, “시장은 미쳤다느니”, “코인 다음은 주식이다”라는 말들이 떠돈다. 그런데 정작 수익 인증은 없다.

진짜 버는 사람들은 조용하다.
진짜 큰돈을 굴리는 사람들은 트위터에 줄글을 쓰지 않는다.
그들은 HTS창을 닫고, 다음 리스크를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실력 없는 사람들은 항상 앞서 있다. 말부터, 주장부터, 의심 없는 확신부터. 자기확신이 곧 실력이라는 착각은 수많은 이들을 망하게 만든다.

요즘 코스피는 불장이 아니다. 똑똑한 사람은 지금 시장을 거품기로 본다. 미국발 금리 사이클, 엔저 지속, 중국 리스크, 한국 내수 약화



실력은 소음이 아니다. 결과다



사람들은 자기가 바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래서 더욱 시끄럽다. 자기의 무지를 덮기 위해, 허세와 포장을 통해 실력인 양 위장한다.

그러나 실력은 소음이 아니다. 실력은 결과다.
100점을 맞는다는 건,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그건 수십 번 반복한 복습의 결과다.
단 하나의 실수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정밀한 사고의 훈련이다.
그건 ‘노력’이라는 단어로 포장하기엔 너무나 체계적이고, 전략적이며, 철저한 과정이다.

그래서 나는 항상 조용히 공부했다. 항상 조용히 분석했다.
그리고 항상 1등을 했다.



바보는 왜 바보인 줄 모를까



사람은 한 번 바보면, 대개 죽을 때까지 바보다. 왜냐하면, 바보는 자기 자신이 바보라는 걸 모른다.
자기 객관화는 가장 고차원적인 지능의 산물이다. IQ 130 이상에서도 흔치 않다.

그래서 실력 없는 자는 공부 안 하면서 공부했다고 말하고, 투자에 실패하면서도 자기가 안목이 있다고 착각한다.

가장 어이없는 것은, 그들이 실력 있는 사람에게 ‘너무 열심히 한다’고 핀잔을 줄 때다. 마치 성실이 죄라도 되는 양.

하지만 진짜 위험한 건, 그런 바보들이 세상에서 점점 더 목소리를 크게 낼 수 있는 시대가 됐다는 것이다. SNS, 유튜브, 커뮤니티—이젠 누구나 방송국장이 됐다.



결론: 조용한 실력자들이 세상을 바꾼다



나는 오늘도 조용히 분석한다. 주식이든, 공부든, 데이터든.
내가 떠들지 않는 이유는, 이미 실력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나는 하루에 수백만 원을 벌 때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건 나의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스템은 소음이 아니라, 침묵 속에서 작동한다.

시끄러운 사람들은 언젠가 사라진다. 공부 못하던 그 친구처럼, 결국엔 결과로 말하게 된다.
역사는 항상 조용한 실력자들이 바꿨다. 시끄러운 바보들은 구경만 했다.

그러니 오늘도, 나는 내 자리에서 조용히 공부하고, 조용히 투자한다.
그리고 그 모든 시끄러운 목소리들엔, 단 하나의 감정만 든다.



"연민도, 분노도 아니다. 그냥 가소로움이다."









- dc official App -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현역으로 군대 안 간게 의아한 스타는? 운영자 25/06/30 - -
AD 해커스 군무원 합격컷 확인시 100% 선물 증정 운영자 25/07/05 - -
항상 세상은 "시끄러운" 바보들이 선동하고 다닌다 ㅇㅇ(78.141) 06.17 125 2
1442151 정시결과 및 취업현황  [1] ㅇㅇ(58.142) 06.16 391 0
1442150 채팅 안 친다고 "방종하는" 스트리머에게 보내는 공개 편지 ㅇㅇ(209.38) 06.16 116 0
1442149 부산 서면 여성1인실 독서실 busan(58.226) 06.16 161 0
1442148 조언하는 자의 심리 "그리고" 숟가락 얹기의 철학 ㅇㅇ(45.55) 06.16 80 1
1442147 미시경제 이윤극대화 질문 ㅜ [1] 행갤러(211.217) 06.16 154 0
1442146 1순환 김진욱 vs 손정민 조언 부탁드립니다! [1] 행갤러(112.171) 06.16 148 0
1442145 모르기 "때문에" 부러워하지 마라 ㅇㅇ(140.82) 06.15 112 1
1442144 왜 사람들은 "이기지도" 못할 경기에 감정을 거는가 ㅇㅇ(159.203) 06.15 93 0
1442143 강의팔이들의 "위선과" 꿈팔이 산업의 허위 ㅇㅇ(209.38) 06.15 114 1
1442141 랍비의 고민상담) "고시생한테" 왜 고기반찬이 중요한가 [2] ㅇㅇ(209.97) 06.14 230 1
1442140 비슷한 처지만 보면서 "3개월" 메타인지를 오해하지 마라 ㅇㅇ(209.38) 06.14 124 1
1442138 니가 삭제하고 "부정한다고" 진실이 묻히는게 아니란다 ㅇㅇ(140.82) 06.13 104 2
1442131 니 인생의 "진짜" 스폰서는 누구냐 ㅇㅇ(159.203) 06.12 124 1
1442130 선택받지 못한 자 "결과만을" 욕망하는 인간의 유일한 전략 [1] ㅇㅇ(78.141) 06.12 207 1
1442127 요즘 유튜브에서 "벌어지는" 고전철학 난장판 ㅇㅇ(140.82) 06.08 149 0
1442126 인성과 실력 없는 "젊은" 엘리트 환상에 대한 조롱문 ㅇㅇ(144.202) 06.08 195 2
1442125 사람들이 행정고시 "왜" 준비해 물어보는건 당연한거다 ㅇㅇ(78.141) 06.08 234 1
1442124 결혼정보업체를 보면 "왜" 한국사회가 출산율 박았는지 알 수 있다 ㅇㅇ(45.55) 06.07 230 1
1442123 공짜로 "부려" 처먹지 마라 ㅇㅇ(78.141) 06.07 117 0
1442122 하버드, 서울대, "그리고" 하루 300만 원 ㅇㅇ(159.203) 06.07 194 1
1442118 챗GPT 가 분석 판단한 문이과 전문직 순위 ㅇㅇ(218.52) 06.06 224 2
1442117 행정고시는 "절대" 폐지되지 않는다 [1] ㅇㅇ(209.38) 06.06 535 2
1442116 물과 공기 "같은" 직업을 선택하라 ㅇㅇ(140.82) 06.06 192 1
1442115 미국 패권주의와 "한국의" 자주성 ㅇㅇ(45.55) 06.06 141 1
1442113 여기 도배하는 정신이상자 무섭지 않나요? [8] 행갤러(59.0) 06.06 227 3
1442112 부정성과 "자기우월의" 덫에 갇힌 사람들 ㅇㅇ(209.97) 06.05 123 0
1442111 우현석 좌파라고 느낀 부분(강의들을 사람 참고) [3] ㅇㅇ(219.100) 06.05 393 13
1442110 인성의 귀환, "대한민국의" 전성기를 예고하며 ㅇㅇ(209.250) 06.05 121 0
1442109 인스타그램 사진에만 존재하는 "행복" 암퇘지 뇌병변 연기 시대 ㅇㅇ(159.203) 06.05 119 0
1442108 세상은 왜 "위선자들로" 가득 찼는가 ㅇㅇ(209.250) 06.04 132 1
1442107 대통령 "취임식을" 보며 ㅇㅇ(108.61) 06.04 170 1
1442106 독일 박사 "국내 교수" 그리고 위선의 철학 ㅇㅇ(209.38) 06.04 137 0
1442105 좀 행정고시 사무관같은 좆병신 중국직업 좀 꺼져라 개새끼야 ㅋㅋ ㅇㅇ(121.177) 06.04 130 0
1442104 대선이라는 "축제에서" 한 발 물러선 삶의 시선 ㅇㅇ(209.250) 06.03 122 0
1442102 고빈도 전략과 "확률함수" 위에 세운 나의 하루 200만 원” ㅇㅇ(209.97) 06.03 158 0
1442101 30대의 유아적 "언어와" 정체된 정서 ㅇㅇ(159.203) 06.03 117 1
1442100 세상이 바뀌어도 "나는" 여전히 방 안에 있다 ㅇㅇ(159.203) 06.03 176 1
1442099 속보 ㅇㅇ(211.108) 06.03 339 0
1442098 가난은 미덕이 "아니다" 현실을 직시하라 ㅇㅇ(209.250) 06.02 116 0
1442097 등재번호 행갤러(223.38) 06.02 304 0
1442096 왜 치지직 스트리머들은 "수년을" 해도 시청자 100명을 못 넘는가 [1] ㅇㅇ(144.202) 06.02 272 1
1442095 내일이면 드디어 내란세력 청산하는 날이다 행갤러(125.141) 06.02 85 1
1442094 인간은 왜 "이렇게" 인사를 무시하는가 ㅇㅇ(209.38) 06.01 127 1
1442093 공부 만능주의에 "빠진" 한국의 정신병자들 ㅇㅇ(45.55) 06.01 225 2
1442090 고딩인데 언어논리영역 매일 한문제씩 푸는거 어떻게 생각해? ㅇㅇ(112.162) 06.01 108 0
1442089 이런 자료해석 "3번" 선지 존나 빨리 푸는법 ㅇㅇ(209.97) 06.01 170 0
1442088 요즘 20대가 "4~50대한테" 개지랄하는 이유 ㅇㅇ(198.13) 06.01 138 0
1442087 내 방식대로 "사니깐" 이래라저래라 하지마라 ㅇㅇ(159.203) 05.31 114 1
1442086 조선일보=이재명 당선 기획기사 준비중 행갤러(125.141) 05.31 116 1
뉴스 배우 김소진 부친상, 향년 73세 연예계 잇단 부고에 애도 물결... 박기웅·김정난도 부친 별세 디시트렌드 07.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