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순정남] 이게 게임 공식 명칭? 누가 그렇게 불러 TOP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01 15:57:11
조회 9205 추천 16 댓글 46
※ [순정남]은 매주 이색적인 테마를 정하고, 이에 맞는 게임이나 캐릭터, 사건 등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게임메카=류종화 기자] 한때 국립국어원에서 짜장면의 표준어가 자장면이라며 올바르게 표기하자는 주장을 펼쳤다. 반발은 굉장했다. 사람들은 오기에서라도 짜장면이라는 표기를 사용했다. 그 와중 '그럼 짬뽕은 잠봉이냐'라는 명언도 나왔다. 정식 명칭이 어찌됐든 널리 통용되는 단어를 쓰고 싶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국립국어원에서 2011년 짜장면도 표준어로 인정하며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통용되는 명칭의 위력을 잘 알려준 사건이었다.

게임계에도 이러한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분명 정식 명칭이나 약어가 있음에도, 세간에서 통용되는 단어가 훨씬 널리 쓰이는 경우 말이다. 정식 명칭을 알면서도 더 편한 단어를 쓰는 경우도 있고, 아예 정식 명칭 자체를 들어보지 못 한 경우도 부지기수다. 오늘은 정식 명칭보다 통칭이 훨씬 익숙한 것들을 한데 모아 보았다.

TOP 5. 플스 컨트롤러 X(엑스) 버튼, 사실 '크로스' 버튼입니다

소니의 콘솔용 컨트롤러 듀얼쇼크(듀얼센스) 시리즈의 버튼 구조는 🌕□△X다. ABXY를 쓰는 MS 컨트롤러는 전 세계 누구든 에이, 비, 엑스, 와이로 읽지만, 소니 컨트롤러는 기호다 보니 읽는 방법이 국가마다 다르다. 한국의 경우 조금 길긴 하지만 동그라미, 네모, 세모, 엑스 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엑스만 영어인데, 곱하기나 가위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엑스라고 읽는다.

그러나, 소니 측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바에 의하면 해당 컨트롤러의 X 버튼 명칭은 '엑스'가 아니라 '크로스'다. 직역하자면 '십자'나 '교차' 정도가 된다. 서구권에서는 저런 표시를 크로스라고도 읽는다고는 하지만, 아무래도 한국에선 십자 하면 十이 떠오르기에 옆으로 45도 기운 저 표시를 크로스라고 하자니 영 거슬릴 수밖에 없다. 결국 소니의 공식 명칭이 어떻든 간에, 우리는 저 버튼을 '엑스'라고 읽을 것이다.

X 버튼의 명칭이 엑스가 아니고 크로스였다니... (사진출처: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사이트)
🔼 X 버튼의 명칭이 엑스가 아니고 크로스였다니... (사진출처: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사이트)

TOP 4. 위닝 일레븐은 이제 없습니다. e풋볼 입니다

한때 축구게임계에서 EA의 피파 시리즈와 쌍벽을 이뤘던 위닝 일레븐 시리즈. 국내에 '플스방'이라는 산업을 만들어 낼 정도로 인기를 끌던 이 시리즈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는 위닝 일레븐이라는 제목을 썼지만, 서구권에서는 Pro Evolution Soccer, 줄여서 PES라는 명칭을 썼다. 그렇게 2개의 이름을 동시에 쓰던 코나미는 이윽고 동양권에서도 위닝 일레븐이라는 이름 대신 PES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급기야 2021년 신작부터는 PES라는 이름까지 버리고 e풋볼이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갈아탔다.

그러나, 여전히 축구 게이머들은 해당 게임을 위닝 일레븐, 줄여서 위닝이라고 부른다. 검색해 보니 일본에서도 아직 위일레라는 약어를 사용하는 듯하다. 실제로 포탈 사이트에 '위닝 일레븐'으로 검색하면 수두룩한 e풋볼 관련 최신 포스팅과 기사가 나올 정도다. 사실 게임 제목부터가 바뀌었으니 유저들도 정식 명칭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입에 잘 붙지도 않고 부르기도 힘들다는 이유로 위닝이라 부르는 이들이 더 많다. 참고로 피파 시리즈 역시 내년부터는 피파라는 이름을 버리고 EA 스포츠 FC라 이름을 변경하게 되는데, 아마 이것도 한동안 피파라 불릴 것으로 예상된다.

아무래도 위닝이라는 이름에서는 전성기 시절 포스가 느껴지는데, e풋볼은 이게 뭔가 싶다 (사진출처: e풋볼 공식 홈페이지)
🔼 아무래도 위닝이라는 이름에서는 전성기 시절 포스가 느껴지는데, e풋볼은 이게 뭔가 싶다 (사진출처: e풋볼 공식 홈페이지)

TOP 3. 게등위? 게관위? 사실 게임위였습니다

2006년 바다이야기 사태의 여파로 게임물 등급만을 전문적으로 매기기 위한 기관인 게임물등급위원회가 신설됐다. 이후 2013년에는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겠다며 이름을 게임물관리위원회로 바꿨다. 풀네임이 여덟 글자나 되다 보니 보통 줄임말로 부르는데, 게임물/등급or관리/위원회 로 나눈 후 앞글자를 따서 과거엔 게등위, 현재는 게관위라고 칭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러나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칭하는 공식 줄임말은 '게임위'다. 실제로 위원회에서 보내는 공식 자료들에는 게임위라는 표기는 있더라도, 게관위나 게등위 등의 줄임말은 없다. 이렇게 줄여 부르는 이유에 대해 명백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아무래도 '게관위'의 경우 얼핏 앞 글자가 '개'로 읽히는 반면 '게임위'의 경우 앞 글자를 '께'로 발음하기에 덜 욕스럽다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어쨌든 구글에서 '게관위' 검색결과는 712만 개인 반면, '게임위'는 220만 개에 불과하니 일단은 게관위가 훨씬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게임위라는 약어 표기를 고수해 오고 있지만, 게관위가 훨씬 많이 쓰인다 (사진출처: 게임위 공식 홈페이지)
🔼 게임위라는 약어 표기를 고수해 오고 있지만, 게관위가 훨씬 많이 쓰인다 (사진출처: 게임위 공식 홈페이지)

TOP 2. 야생의 숨결? 그런 게임명은 존재치 않습니다

초록 옷의 젤다를 주인공으로 한 젤다의 전설 시리즈 최신작이자, 제대로 된 오픈월드 게임의 교과서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들으며 대 스위치 시대를 연 야생의 숨결. 줄여서 '야숨'이라는 명칭은 상당히 널리 쓰이고 있다. 같은 세계관을 그리는 젤다무쌍 대재앙의 시대의 경우 '야숨무쌍'이라는 별명을 받았고, 비슷한 오픈월드 장르를 들고 나온 원신의 경우 지금은 그 이미지를 상당수 씻어냈지만 초반 별명이 '짝숨(짝퉁+야숨)'일 정도였다. 야생의 숨결과 야숨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널리 쓰이는지를 알려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다만, 공식적으로 '야생의 숨결'이라는 단어는 국내에서 한 번도 쓰인 적이 없다. 이 게임의 국내판 정식 명칭은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로, 영문판 부제를 그대로 음차했다. 야생의 숨결이라는 단어는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일본어판의 번역인데, 발표 후 국내판 명칭이 정해지기 전까지 계속 쓰인데다 입에 찰싹 달라붙는 '야숨'이라는 단어가 워낙 지배적으로 쓰이다 보니 정식 명칭처럼 굳어진 것. 게임메카에서도 기사 내에선 공식 명칭을 쓰려고 하지만, 줄임말이나 비유 표현 시에는 '야숨'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곤 한다.

한국닌텐도는 야생의 숨결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 (사진출처: 한국닌텐도 공식 홈페이지)
🔼 한국닌텐도는 야생의 숨결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없다 (사진출처: 한국닌텐도 공식 홈페이지)

TOP 1. 히오스가 아니고 히어로즈... 이제 그냥 히오스 합시다

영예의 1위는 단연 히오스에게 돌아갔다. 히오스는 블리자드의 AOS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줄임말로, 관용사인 '더'를 빼고 단어들의 앞글자만 빼서 부르는 약어다. 비록 흥행적으로는 실패해 사실상 방치관리 상태지만, 블리자드 게임 캐릭터들이 시공의 폭풍에 빠져 한 곳에 모인다는 설정만큼은 아직도 종종 회자되고 있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게임이다.

사실, 이 게임의 공식 줄임말은 히오스가 아니다. 블리자드는 게임 출시 당시부터 일관되게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줄임말은 히어로즈 입니다' 라고 주장해 오고 있다. 그러나 그 누구도 이 게임을 히어로즈라고 부르진 않는다. 게이머는 물론, 업계 관계자와 기자, 심지어 블리자드 관계자들까지도 간혹 히오스라 부르기도 한다. 일단 단어 길이도 한 글자 짧은데다, 히어로즈라는 단어 자체의 구분성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야구단 이름과도 겹치고,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같이 같은 단어로 시작하는 게임이 많다 보니 발생한 일이다. 이제 슬슬 공식 줄임말을 히오스로 바꿔 주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슬슬 팬들을 위해 공식 약어를 히오스라고 바꿔 줬으면 좋겠다 (사진출처: 블리자드 공식 홈페이지)
🔼 슬슬 팬들을 위해 공식 약어를 히오스라고 바꿔 줬으면 좋겠다 (사진출처: 블리자드 공식 홈페이지)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4

4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7966 엑스컴X히어로 괜찮네, 마블 미드나잇 선즈 해외서 호평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913 1
7965 예수 시뮬, 아이 엠 지저스 크라이스트 체험판 1일 배포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408 3
7964 [오늘의 스팀] 타격감은 일품, 워해머 40K: 다크타이드 화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1127 2
7963 [매장탐방] 포켓몬에 수능 특수로 바빴지만 풍족했던 11월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676 0
7962 밸브 휴대용 게이밍 PC 스팀 덱, 17일 한국 배송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789 0
7961 출시 약 2년 만에, 엘리온 내년 3월에 서비스 접는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687 0
7960 구글플레이가 선정한 올해의 게임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426 0
[순정남] 이게 게임 공식 명칭? 누가 그렇게 불러 TOP 5 [46]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9205 16
7958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14일 한국어 더빙 추가된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707 1
7957 [순위분석] 만년 1위라 되려 조명되지 못했던 롤의 묵직함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782 0
7956 칼리스토 프로토콜·마블 미드나잇 선즈 등 기대작 몰린 12월 [1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4508 3
7955 [판례.zip] 게임의 선정성과 사행성 등급 논란, 법원 판단은? [10]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3609 34
7954 [오늘의 스팀] 4위로 레이스 시작한 니드 포 스피드 언바운드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2924 5
7953 파티원에 이속버프 제공, 리니지M 광전사가 강해졌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283 0
7952 전용 콘텐츠 추가, 고양이와 스프 넷플릭스 에디션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827 0
7951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사랑 표현에 서투른 아버지와 아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761 0
7950 RTX 40 시리즈 최적화, 포탈 위드 RTX DLC 8일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520 0
7949 포탈 닮은 VR 공간퍼즐 FPS, 워프랩 발표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921 0
7948 확률 논란 휩싸인 니케, 운영진 “설명 미흡으로 혼선” 해명 [9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15684 19
7947 GTA 시리즈 초기 기획은 공룡이 도시 부수는 게임이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1335 0
7946 네오위즈, 원작 이야기 보강하는 브라운더스트 스토리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303 0
7945 글로벌 엔씨·국내 넷마블·콘솔 넥슨, 3N의 판도변화 [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692 0
7944 확률형 아이템 포함하면 무조건 청불! 호주서 법안 발의 [39]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3327 51
7943 카카오게임즈 신작 '에버소울',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345 0
7942 이제 반려견도 게임하며 스트레스 푼다, 견용 게임기 등장 [76]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5345 26
7941 [오늘의 스팀] 출시 앞두고 순위권 노리는 칼리스토 프로토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713 0
7940 30대까지 함께한다, ‘페이커’ 이상혁 T1과 3년 재계약 [6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20245 18
7939 용과 같이 날아오르자, 와우 '용군단' 정식 출시 [4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3692 8
7938 위메이드, 위믹스 상폐 가처분 신청서 서울중앙지법 제출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1735 0
7937 [겜ㅊㅊ] 모르면 죽어야죠! 뉴비 강하게 키우는 생존게임 5선 [2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7314 10
7936 엔씨 IP 창작자 발굴 프로젝트 '선 넘는 공모전' 수상작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863 0
7935 컴투스 계열사 제작 '재벌집 막내아들' 동시간대 시청률 1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409 0
7934 배그의 겨울이 다시 돌아온다, 비켄디 리메이크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315 0
7933 스킨까지 상시 제공, 라이엇게임즈 새로운 PC방 혜택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2381 0
7932 닥사·업비트 “위믹스 소명 절차에 데이터 오류 있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1221 0
7931 [오늘의 스팀] 레포데 2가 1,100원, 90% 할인에 간만에 북적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739 0
7930 “서류 주세요” 페이퍼스 플리즈 9년 만에 한국어 공식 지원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578 0
7929 [롤짤] 우승 이루고 흩어져버린 DRX볼 [16]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7343 23
7928 배필 2042 풍자게임 개발사, 이번에는 콜옵 풍자게임 출시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288 0
7927 새 사령탑과 클래스 발표로 후끈 달아오른 던페 202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891 0
7926 마침내 선계의 비밀 열린다, 던파 2023년 로드맵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456 0
7925 체제 전환, 윤명진 뒤 이을 던파 새 디렉터 3인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394 0
7924 네 번째 버퍼, 던파 신규 캐릭터 아처-뮤즈 2월 나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284 0
7923 고전 플랫포머에 록맨 감성 한 스푼 ‘로봇 X’ 스팀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466 0
7922 젤리빈 고우키와 류, 폴가이즈에 스트리트 파이터 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401 0
7921 [인디言] 핀란드 군대 시뮬 개발자와의 '짬'내 나는 인터뷰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665 0
7920 오버워치 2, 2시즌 시작 앞두고 경험치 부스트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756 0
7919 이미지와 대사 수정된 블루 아카이브 틴 버전 29일 나온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407 0
7918 넥슨, 태극전사 응원위한 월드컵 뷰잉 파티 열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804 0
7917 [이구동성] 멈춰버린 위믹스 버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550 0
뉴스 [NP포토]섹시 매력적인 춤선의 '은하' 디시트렌드 05.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