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공략집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9.11 00:06:28
조회 11737 추천 29 댓글 21
														


3caad437f2d629b16aaec1b107c6202ca3dd983c900ebb83af8c98ee0cd1c94f42



0. 시작하며

본인은 일반기계기사 베이스로 시작했고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준비해서 합격했다.

소방기계 이거 가성비 안나온다. 정말로 고민해봐라.. 다시말하지만 진짜 가성비 안나온다.

이거 말고 다른 쓸 데 많은 기사자격증 많다. 심사숙고 해보자.

이 자격증은 이걸 왜 따는지 항상 의구심이 드는 자격증이란걸 알고 있어야 하며 정말로 이게 본인에게 필요한 자격증인지 고민 한 번 더 해봤으면 좋겠다.

그럼에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방 쌍기사, 기계기사 마스터, 소방설계 희망자 등 본인의 목적에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가 맞다면 바로 준비 하면 된다.


1. 난이도

1.1. 필기

필기는 솔직히 유체 과락만 면하면 나머지는 여타 다른 기사필기처럼 기출딸로 충분하다.

실기로 곧장 연계되는 내용은 [필기2과목]소방유체역학과 [필기4과목]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두 개 단원이다.

그러므로 필기는 어떻게든 평균 60을 넘기고 2과목 과락을 조심해야 한다.

유체를 잘한다 하더라도 설령 일반기계기사가 있다 하더라도 2과목에서 35점이 나오는 불상사가 발생할수있다.

그러므로 [필기2과목]을 경시하면 안되고 실기로 연계되기 때문에라도 집중해서 보기바란다.


1.2. 실기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자격증이 어렵다, 빡세다, 이런 평가를 받는건 사실이고 공부량이 있다는걸 인지하자.

난이도가 어떤지 줄세우기식으로 따지면 항상 맞고다니긴 하지만 어려운 순위권에는 어찌저찌 있다. 물론 말석이지만.

사용되는 베이스의 수준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수학 - 미적분 미만이고 로그 루트 이정돈 계산기가 알아서 해준다. 오히려 계산기를 잘 쓰는 능력이 중요하다.

유체 - 기본 유체역학, 유량식, 파스칼원리, 이상기체식, 베르누이식 정도만 이해하고 들어가면된다. 또한 단위가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중요하다.

(추가로 레이놀즈수, 관마찰계수, 달바공식, 동력계산식 등등은 풀면서 외우면된다. 이건 무조건 정해진거만 나온다.)


그래서 실기가 왜 어렵냐, 이유가 중요하다.

첫째로 유체의 다양한 단위변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한다.

둘째로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을 완벽하게 이항하고 단위변환을 할 수 있어야 문제가 풀리는 부분이 있다.

셋째로 계산식을 완벽하게 작성해야하며 더럽다. 생략해도 되는지의 유무를 판단해야하고 단원별 대표문제의 답안작성법을 각각 알아야한다.

넷째로 계산기를 어쩌면 일반기계기사보다 많이 눌러야 할수도 있다. 어렵다는게 아님. (단순계산식이 길고 솔브또한 사용해야함)

마지막으로 법규와 설계조건에 따른 식을 각각 암기해야한다. 이건 너무너무 중요하다.

(몇 가지 기본식을 두고 14가지 다른 설비의 수치와 유형이 다른 계산식)

이 다섯 가지는 꼭 이겨내야 한다. 한 가지씩 포기할때 마다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2. 필기

필기의 경우 2, 4과목만 집중하자. 실기에 그대로 이어지므로 수치도 외워놓는것이 좋다.

1, 3과목의 경우 법규문제이며 단순 암기라 공부법이 너무나 다양하므로 본인의 방식대로 해보자. 이어서 쓴 필기공부 방법은 내 방식이다.


2.1. 강의

1, 3, 4단원의 경우 필요성이 떨어진다. 4단원의 경우 시간이 있다면 듣고 없다면 실기때 해도 된다

[필기1과목], [필기3과목] 얘네는 강의로 듣게된다면 배속 걸고 빠르게 용어,명칭 정리를 따라가자.


[필기2과목]소방유체역학

베이스가 없다면 강의가 필요하다.

전공자거나 다른 기계과목 기사가 있다면 충분히 쉽게 넘어갈수 있으나,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를 취득하고 유체역학을 처음 맞이한다면 어려운게 당연하다.

개설된 다양한 소방강의를 수강하던지, 유튜브 무료공개강의 또한 많으니 그걸 보던지 하면 된다.

강의를 보던중에 설명을 들어도 모르겠으면 유튜브 검색하자. ㅇㅇ공식을 유튜브에 검색 - 보다가 그 영상 안에서 이해안가는걸 또 검색 - 반복

나는 abc 소방 유튜브 추천한다. (해당 단원은 abc소방유튜브 소방설비기사기계 실기 강의의 소방유체역학 단원)


[필기4과목]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이 단원은 강의보단 단순 검색을 추천하는데, 강의를 들어도 된다.

왜냐하면 소형소화기, 대형소화기가 뭔지, 드렌처설비가 뭔지, 물분무와 미분무와 스프링클러의 차이는 뭔지,

소방 관련 학과가 아니면 처음 듣거나 단어만 알것이다.

강의, 검색 등 편한 방법으로 모르는 단어를 검색해서 이게 이거구나를 알아야한다.

용어가 의미하는게 무엇인지만 알면 된다.


2.2. 교재

소방은? 성안당. 사실 아무거나 봐도 된다 필기는, 실기는 다르다.

노베이스의 경우 소방유체 이론식이 포함된 7개년 기출문제면 충분하다.

베이스가 있고 기사시험 경험이 있다면 교재도 필요없고 cbt 5개년정도 돌려보고 가면 된다. 불안하면 더 보는거고.


2.3. 공부법

소방 용어와 명칭이 매우 많이 나오는데 처음 1개년때는 쭉쭉 읽고 단어에 익숙해져라 절대 모른다. 뭐가뭔지.

2개년때 단어에 익숙해진 이후 검색을 통해 시각화를 해야한다. 단어가 의미하는게 뭔지 알아야한다.

이 시각화를 하고 무슨 설비인지 이해하는 과정이 필기에선 가장 중요하다.

3개년때 또한 누락된 용어와 명칭을 모르는것 없이 시각화해야한다. 실기로 이어진다.

이후 4개년때 용어와 명칭을 문제에서 보고 이게 뭔지 안다면 그때부터 기출딸을 돌려라.

솔직히 다른 기사 취득자들은 1주일컷, 유체가 부족하다면 2~3주일컷 가능하다.

첫 기사로 이 자격증을 선택하지 마라.

단지 본인이 여유가 있거나, 실기에 도움이 되고 싶다면 2, 4과목은 시간을 조금 더 들여서 꼼꼼히 봐라.

(수치는 어차피 까먹으니 필기용 암기만 하고 실기때 다시 세분화해서 외우자.)


[필기1과목]소방원론

각자의 방식으로 외우자. 두문자를 적극 활용하고, 꼼꼼히 보지말고 다회독을 하자.

상한계 하한계 설계농도 증기비중 등 이런것에 시간 뺏기지 말고 적당히 찍기만 잘할정도로 하면된다.

6류 위험물 일반사항은 공대생 기초 교양이니 모른다면 이번기회에 외우자.

단, CO2, H2O 두 가지의 경우 엮어서 나오는 수치들은 유심히 봐둬라 이건 실기에도 나온다.


[필기2과목]소방유체역학

베이스가 있다면 문제 많이 보고 시험장에서 풀 수 있게끔 연습하자 컴퓨터로 시험보기때문에

연습장에 풀면서 답만 클릭하는걸 생각하고 연습장에 푸는 연습 해야한다.

노베이스의 경우가 문제인데 필기는 과락만 피하는 식으로 하고, 시간투자 많이 해야한다.

그리고 버릴 문제 버려야한다. 피토관, 시차액주계 이런 계통 문제 풀다가 시험 자체를 포기하지 않게 주의하자.


[필기3과목]소방관계법규

단순 암기 과목이고 휘발성이 매우 강해서 이걸 어떻게 맞추냐고 하지만 그냥 많이보면된다.

용어자체는 이해하되 이 과목은 꼼꼼히 보지말고 무조건 많이 보자. 다회독만 하면 걱정할것 없다.


[필기4과목]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이 단원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용어, 명칭, 수치는 실기에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우는게 좋다.

두문자로 대표적으로 외우는것들이 몇몇 있는데 무조건 암기내용과 어떤설비에서 적용하는지 대치를 해서 외우자.

뭔소리냐면


전 케 1.3

전 1.6 10

서박목전 2.0

석면고모집 2.7


이런식으로 두문자를 외웠다 치자.

이 암기의 주제는 CO2소화설비(심부화재)의 방호대상물 별 약제량과 개구부 가산량 ㅁ 이다.

그런데 정작 외울때 '전케 전 서박목전 석면고모집 3607 10' 이런식으로 외우고 주제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왜 중요하냐면 이런 결의 비슷한 숫자, 표 모양의 암기사항이 여럿 있기 때문이다. 대충 외우면 나중에 '석면고모집' 이 어느 단원인지 모른다.

그러므로 꼭 암기내용과 적용설비를 함께 외워야한다.

하지만, 당장 필기가 급하면 실기때 집중해서 해도 괜찮은 암기사항이다.

본인이 판단해서 먼저 정리해 놓고 실기때 살을 붙이던지, 아니면 기출딸로 당장 필기만 통과하고 실기때 처음부터 암기사항을 정리해도 괜찮다.

어차피 외우지 못하면 실기 문제를 못푼다.




3. 실기

서술형부터 미리 설명하고 이 뒤로는 계산문제에 집중해서 설명하겠다.

서술형으로는 설비, 장치, 장비, 증상, 도시기호, 법규 등의 빈칸뚫기, 설명하기, 숫자넣기, 그래프작성 등등 총합 10~20점 이며

계산문제는 당연히 80~90 점이고 계산문제에서도 서술형이 포함된 경우가 있지만 어쨋든 비율은 15:85 정도이다.

서술형은 대표문제가 존재하고 반복해서 내는 경향이 강하다. 만약 처음보는 문제가 나오면 남들도 모르니 안심하자.

신출이거나 법규작성이 나와도 보통 계산문제의 공식에 관한 법규문장이기 때문에 작성하는데 어려움은 대부분 없다.

그러므로 대표적인 문제만 필기때 처럼 쭉쭉 읽고 넘기고 계산문제의 공식을 처음으로 한 번 정리한 이후에 서술형 문제를 쭉 보고 대표문제를 암기하자.

이에 관해 실기때 새로 나오거나 필기보다 구체적인 배관설비의 부속이 등장하는데, 이 역시 한번 검색 해보면 외울 필요 없이 알게된다.


계산문제의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 알고 가야할 사항이 있다.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의 내용은 어떤 종류의 화재 발생시 발동하는 소방설비에 관한 기계장치의 기계적 이론과 장치 설계시의 반영사항을 시험으로서 풀어놓은것이다.

소방설비는 A, B, C, D, K 등의 화재를 인명, 건물, 설비, 문화재 등의 방호대상에 따라 분류하여 적용시키는 수계, 포, 가스계, 피난, 제연 등의 기구를 말한다.

그렇기에 각각 상황에 적용되는 설비, 조건, 시간, 주안점 등이 다르다.

그것을 우리는 분류하여 공부하고 '소방설비를 설계하는 과정' 의 중간과정을 문제로 맞이하게 된다.

실무라면 법규를 띄워놓고 참고하면서 소방설계를 해야하는데 시험이기 때문에 법규가 없으므로 그걸 외워야한다.

(물론 실무라면 이미 모듈화 되어있고 현장에 맞춰서 수정하고 추가한다.)


3.1. 강의

강의가 필수는 아니지만 듣는걸 매우 추천한다.

전공이 아닌이상 본인이 교재를 읽고 해석하는것보다 강사가 해석해주는게 훨씬 피로도가 덜하다.

본인은 ABC 소방 유튜브 무료강의를 들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강의의 길이가 상당히 긴편인데 교재를 카페에서 구매한 이후에 강의에 따라 쭉 따라가면 된다.

몇몇 단원의 이론을 깊게 설명하는데 학생들을 납득 시키는걸 위주로 하기 때문이다 그마저도 많이 생략한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너무 깊은 내용을 설명한다 싶으면 흘려듣거나 너무 집중하진 말고 체크 해놓은 뒤에 나중에 필요하면 듣자.


다른 강의의 경우 비슷한 결이다. 본인에게 완벽히 맞는 강의는 찾기 힘드니 몇몇 강좌의 초반 몇 회차를 보고 결정하자.

강의를 듣지않는다면 교재편으로 넘어가자.


3.2. 교재

이것이진짜해설이다 (이하 검은책)

성안당 과년도 (이하 성안당)

두 가지 책만 사용했는데

ABC소방 카페판매 교재도 좋다고한다.

그 외의 교재는 좋다 나쁘다 할수가 없는게 본적이 없다.


교재선택은 강의를 듣는다면 본인이 듣는 강의의 교재를, 듣지 않는다면 검은책이나 ABC소방, 모아소방 등을 한 권,

성안당 과년도 교재를 한 권 총 두 권을 사용하자.

왜냐하면 답안작성 방식에 있어서 성안당 교재가 아주 필수적인것만 들어가 있고 간략하다, 시험장에서 작성할때 그대로 따라하면 좋게끔 정리되어있다.

그리고 각 교재마다 같은 문제라도 해석을 달리하거나 공식을 달리 적용하는 경우가 있어서 회독을 할경우 두 교재를 교차로 보는것이 좋다.

즉, 본인이 선택한 교재 + 성안당 과년도 조합을 추천한다.


개인적으로는 검은책을 추천한다. 과년도를 재분류해서 각 설비별로 문제를 모아놓았기 때문에 과목별로 집중해서 공부하기 매우 좋다.

ABC교재도 이렇게 재분류 되어있는 것으로 안다. 다만, 검은책은 설명이 굉장히 길고 첨부된 자료도 양질이나 그에 따른 교재의 볼륨도 상당하다.

결론은 검은책이나 본인이 선택한책을 어느정도 공부하고 성안당 교재의 답안작성 방법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 필수필수 필수필수 ------------------

소방 법규는 언제 바뀔지 모르고 어느 시점의 개정법규가 시험에 반영될지 모른다.

최신 발행 교재라 할지라도 법규가 바뀐다면 문제 풀이 또한 변경되기때문에

해당 교재의 정오표를 꼭 확인해야하고, 본인이 보는 시험회차에 반영되는 법규가 있는지 해당 회차 시험준비 전에 확인해야 한다.

-------------- 필수필수 필수필수 ------------------


3.3.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시험의 특성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는 전기처럼 30년 전 문제가 나온다거나, 신출이 무한으로 나오거나 그러지 않는다.

나오던게 나올 뿐이다. 그런데 왜 합격률이 낮은지 말해보겠다.


점수배분을 알아보자.

이제 계산문제에서 85점이 나뉘어 지며, 공부해야하는 내용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소방유체 + 14가지 케이스로 나눌수있다.

평균적으로 총 16문제에서 서술형 제외 13문제이고 85점을 골고루 계단식 점수배분으로 나눠갖는다.

그러므로 13문제에서 소방유체+14가지 케이스를 나누면?

전체 범위에서 버리는 단원 없이 문제가 나온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단원을 버릴수가 없다.

물론 그중에서도 빈출과 비빈출이 있는데... 이게 안나온다는 뜻이 아니다.. 비빈출단원이 많다..


비빈출단원의 경우.

결론은 단원별로 기본 암기사항이 있으므로 빈출단원의 암기사항과 비빈출단원의 암기사항을 모두 외워야한다.

비빈출단원의 암기사항을 버렸는데 7점 이상의 점수배점으로 나온다면 합격과 거리가 더욱 멀어진다.

또한 비빈출단원에서 나오는 문제는 틀리면 억울할정도로 쉽게 나오기 때문에 버릴수도 없다.

그러므로 비빈출단원의 암기사항, 문제해석, 문제풀이, 답안작성, 특이사항을 각각 모두 알아야한다. (이 볼륨이 상당하다.)

비빈출단원이 많기때문에 그중에서 무조건 몇 문제는 나온다.


빈출단원의 경우.

빈출단원의 경우 문제케이스가 또 잘게 나뉘어진다.

대표적으로 스프링클러 문제는

- 스프링클러 암기사항

- 스프링클러 양정, 토출량, 수원의 양, 동력

- 스프링클러 헤드수, 관경

- 스프링클러 계통도

- 스프링클러 유체역학, 수리계산

- 스프링클러 배관부속의 상당수두

- 스프링클러 하젠-윌리엄스 마찰손실압력식

위 조건들을 암기사항, 문제해석, 문제풀이, 답안작성, 특이사항을 알고

2~3가지의 케이스를 섞어서 나온다.

섞어서 나올수록 SP 문제를 많이 풀어본 사람에겐 이득이지만 그만큼 다른 과목에 소홀해질 확률이 높아진다.


10점대의 고득점 문제일 경우.

계단식 문제가 자주 나오는데

(가)의 소문제 답을

(나)에 적용시킨 (나)의 소문제 답을

(다)에 적용시킨 (다)의 소문제 답을

(라)에 적용시킨 (라)의 소문제 답을

(마)에 적용시켜 (마)의 답을 얻어내야 하는 문제다.

(가)가 틀리면 아래도 틀린다. 검산을 꼭 하자 문제풀이 최적화가 된다면 시간이 부족한 시험이 아니다.

그리고 종종 10점 후반대, 20점대 문제도 가끔 있는데 빈출단원에서 나오는 경우

그 단원의 케이스를 대부분 물어보기 때문에 기출문제에서 이 문제들을 보면 읽고 넘기고 다른 케이스가 익숙해지는 시점에

종합문제라 생각하고 풀어보자. 의외로 쉽다.

하지만, 비빈출단원의 10점 이상 문제가 시험장에서 나온다면 기출에 나온만큼만 하고 그 이상은 버리자.


긍정적인 말을 하자면.

난이도 조절을 잘하는편이라 생각한다. 신출이거나 16점 이상 문제가 있거나 신출+10점이상 문제가 나오는 경우라면

보통 그 외 문제의 난이도를 낮추어서 해당 회차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느낌이 있다.

그러므로 포기하지 말고 전 단원을 고루 공부하면 충분히 합격 가능하다.


그리고 다른 시험에선 버리거나 버려도 되는 단원이 있는데 소방은 버릴게 별로 없다.

그럼에도 버린다면 소방관계법규 신출이나 소방점검과목인데 이건 기출에도 없기때문에 볼 일도 없고 나와도 모른다.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것은 포 소화설비의 경유+휘발유탱크 방유제 문제, 거실제연의 급배기팬 덕트크기, 댐퍼개폐 이부분은 나중에 시간 남으면 하는게 낫다.


3.4. 여기부터가 공부법이다.

위 사항을 모두 인지하고 문제를 풀어 보자.

어쨋던 말만 저렇게 풀어놨던것이고 실상은 기출이다. 유형수가 많을 뿐이지 나오던 유형은 거의 정해져있다.

기출문제 교재로 단원, 문제유형별로 뜯어보면된다.


계산문제의 공부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강의시청 + (이론교재 정리 or 본인만의 노트작성)

2. [기출문제풀이] 1회차 + 매 문제마다 암기 요약본 낱장 내용을 작성

   (a4용지를 여러장 분류해서 sp설비문제 끼리 작성, CO2설비문제 끼리 작성하는 식으로 15개 이상의 분류를 해야한다.)

3. 단원기준의 암기 요약본을 순서대로 나열한 전체 암기 요약본 완성 (본인은 종합하니 중복내용까지 50페이지로 난잡했다.)

4. 전체 암기 요약본의 단권화

( 단원 하고 단권화 하지 마라, 다른 단원과 연계된 수치들이 있어서 순서가 중요하다. 순서대로 모아놓고 전체 암기요약본을 한번에 단권화해야한다.)

(연계된 수치를 햇갈리지 않게 구분하며 단권화 해라. 10페이지 안쪽으로 줄여진다.)

5. 단원별 [기출문제풀이] 2회차

6. 암기 요약본을 더욱 단권화 (3~4페이지)

7. 실기시험


[기출문제풀이]를 할때는 순서를 정형화하자. 이는 다른 기사도 똑같은데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는 단원별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다.

1. 문제읽기

문제를 읽어도 뭔소린지 모른다. 본 문제 문장에서도 세부 조건이 자잘하게 계속 주어지며 표, 보기, 기타, 추가조건, 괄호 등을 모두 체크해야한다.


2. 문제가 어떤 단원의 어떤 요소를 말하는지 알기

예) SP단원의 // SP 암기사항 // SP 배관부속의 상당수두 //SP 마찰손실압력식 // SP토출량,토출압 // SP유체역학, 수리계산 (18년 2회차 3번문제)


3. 각각 암기사항, 문제해석, 문제풀이, 답안작성, 특이사항을 기억해내기

-[문제해석]을 할 수 있어야 다음 사항들을 연습란에 작성이 가능하다.

-[암기사항]을 시험지 밑 연습란에 모두 작성해놓아야한다. 펄럭거리며 1~16번까지 까먹기 전에 모두 작성해야한다.

또한 (가), (나), (다) ... 의 흐름에따라 [문제풀이]도 얼추 적어놔야 암기사항과 연계시켜

암기사항-문제풀이-암기사항-문제풀이 요소를 계속해서 기억해 낼 수 있고 미리 적어 놓을 수 있다.

-이제 [답안작성]을 해야하는데, 무작정 모든 과정을 쓰기엔 그 양이 너무 많고, 실수를 무조건 유발한다.

그래서 답안작성 방법을 미리 연습해놓고 풀이란에 깔끔하게 주된 식만 적을수 있게끔 연습하자.

-[특이사항]은 검산과 같은 결이지만, 법규에 있어서 '200m2 미만의 경우 ㅁㅁ한다.', 또는 'ㅂㅂ의 경우 ㅇㅇ한다' 같은

문제풀이와 별개인 암기요소가 있다. 특이사항으로 빼놓고 무조건 의식하여 외워야한다.

이것들은 시험지에 주어지지 않으며 긴장하거나, 까먹거나, 시간이 없거나 등의 이유로 적용시키지 않고 계산하는 경우가 생겨버린다.

또한 알아차리기도 힘들다. 왜냐하면 특이사항 'ㅁㅁ한다' 를 문제에 넣지 않고 풀어도 답이 나오기 때문이며 보통 (가)항이나 (나)항의 답이 그렇다.

만약 오답이라면 그 문제의 (다), (라), (마) 또한 답이 연계되기 때문에 한 문제가 오답이된다.


4. 검산

시간이 촉박한 시험은 아니다. 기억이 안나서 못푸는 문제가 더 많다.

실전연습을 할 때 1~16번까지 문제에 따라 풀이 순서를 미리 정하고 검산도 그 사이에 잘 넣자.


위 사항을 반복하면서 본인만의 암기 요약본을 완성해야한다.

이런점에 있어서 재분류 교재를 추천한다. 비슷한 문제끼리 엮어서 놓았기 때문에 연습하기 좋고 두 문제의 차이를 인지하기 좋다.

난 단권화작업으로 마지막에 A4용지 3페이지 나왔다.

암기 요약본을 완성하고 계속해서 외워야 한다. 요약본만 보면서 외우지 말고 기출문제도 보면서 암기본의 내용을 떠올리는것을 반복하자.

( 암기 팁 - 본인의 요약본을 완벽하게 만들고 그 암기 요약본의 모양을 기억하자, SP는 2페이지 오른쪽 위 이런식으로)

무작위 기출문제를 봤을때 암기 요약본이 떠오르고 문제해석, 문제풀이, 답안작성, 특이사항을 기억해낼때 까지 회독을 하던지 암기를 해야한다.



중요한 암기방법이라 다시한번 복붙한다.

두문자로 대표적으로 외우는것들이 몇몇 있는데 무조건 암기내용과 어떤설비에서 적용하는지 대치를 해서 외우자.

뭔소리냐면


전 케 1.3

전 1.6 10

서박목전 2.0

석면고모집 2.7


이런식으로 두문자를 외웠다 치자.

이 암기의 주제는 CO2소화설비(심부화재)의 방호대상물 별 약제량과 개구부 가산량 ㅁ 이다.

그런데 정작 외울때 '전케 전 서박목전 석면고모집 3607 10' 이런식으로 외우고 주제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왜 중요하냐면 이런 결의 비슷한 숫자, 표 모양의 암기사항이 여럿 있기 때문이다. 대충 외우면 나중에 '석면고모집' 이 어느 단원인지 모른다.

CO2소화설비(심부화재) 문제를 보면 위 두문자 암기표가 나오게끔 외워야한다.

그러므로 꼭 암기내용과 적용설비를 함께 외워야한다.


4. 마치며

사실 실기파트는 모든 문제풀이 기사시험의 공통 요소이기 때문에 오지랖처럼 보일수 있다.

그런데 오지랖으로 느껴진다면 읽는이가 공부를 잘하고 있는것이므로 나한테 뭐라하지 말도록.

작성자는 24년 1회차 필기 - 1회차 실기 47점 - 2회차 실기 86점 이렇게 받았다.

2회차때 랙식창고 헤드수 문제, CO2 저장용기 계통도작성 +a 틀린것같은데

1회차때 붙을줄 알고 안일하게 준비했다가 2회차때 100점 목표로 준비했다.

그래서 더욱 다른 사람들도 나같은 시행착오 거치지 않고 동회차 합격하길 바라는 마음에 작성한다.

솔직히 이대로만 해도 방황하는 시간을 매우 줄여주고 합격률 또한 10%는 올릴 수 있다고 자신한다.

내가 쓴 사항들이 무조건 정답이 아님을 알아주고 반박시 니 말이 다 틀리고 만약 소방기계 들고오면 니가 다 맞다.

뛰어 쓰기는 애교로 넘어가주면 감하사겠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나 보강했으면 좋겠는 부분이나 그 외 궁금한 사항은 댓글 달면 시간날때 보겠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비추천

29

고정닉 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6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2886 AD 메가로이어스 온앤오프 설명회 OPEN 운영자 25/04/14 - -
3003 AD [필독] 전기기사 1회 필기 미공개 복원문항 大공개 운영자 25/04/17 - -
60908 공지 자격증 정리본 [3] 빛당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7 2483 7
60910 공지 홍교수 일반기계기사 필기 개정 전 기출문제 해설 [5] 빛당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3.27 1910 11
45752 공지 공지 빛당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8 4290 0
53922 공지 기계기사 갤러리 신문고 기열황근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1 964 2
57846 공지 기계기사갤 열품타 링크 기열황근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2.12 723 0
56040 공지 2025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시행 계획안 [1] 기열황근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24 1927 3
공지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공략집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11 11737 29
43406 공지 공기업 전공 문제집 로드맵 만들어봄 [22] ㅇㅇ(1.243) 24.05.17 6172 28
61589 공지 공기업 기계직렬 필기시험 전공 커리큘럼 [8] 기열황근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4.09 1802 26
64357 일반 한국전력기술 서류 허접임? ㅇㅇ(116.32) 15:53 9 0
64356 일반 실기 결과발표까지 1달반이나 남앗는데 [1] ㅇㅇ(223.39) 15:23 44 0
64355 일반 도데체 공조는 실기복원 언제나오냐 작성자전여친(58.143) 15:07 25 0
64354 일반 먼가 거짓말같네ㅋㅋ [3] ㅇㅇ(58.239) 14:15 118 0
64353 일반 기술사 공부중이거나 예정인 사람 있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4 57 0
64352 일반 610제 어디서 사냐 [1] 소논담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5 59 0
64350 일반 공조 이 시발 개좆같은 시험 버리고 다른거 뭐할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2 120 1
64349 일반 공조냉동 필기 공뷰법좀 [9] 기사기사(118.235) 11:33 123 2
64348 일반 건설기계 실기 공정도 작성 [3] ㅇㅇ(106.101) 09:23 87 0
64347 일반 건기 필기 책 어떤걸로 공부하시나요?? [2] ㅇㅇㅇㅇㅇ(118.45) 08:29 70 0
64346 일반 실격인가? [5] ㅇㅇ(211.235) 02:47 226 0
64345 일반 나쁜 모바일신분증 반대 ㅋ [1] ㅇㅇ(121.159) 01:32 150 1
64344 일반 일기 필기 공부법 질문점 [6] ㅇㅇ(211.119) 01:21 134 0
64343 일반 필기 준비하는데 ㅇㅇㅂ 기계재료 기계제작법 동력학 강의 괜찮음? [1] 1475(112.162) 01:13 88 0
64342 일반 공조냉동기계기사 전기파트 기출돌리나요? [7] 진동윙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133 0
64341 일반 하고싶은것도 없는놈 사겹취직 일기기 공조 하나 추천점요 [3] ㅇㅇ(39.7) 00:39 128 0
64340 일반 쌍기사 있어도 취업 안 되는 거 트루임? [5] ㅇㅇ(106.101) 00:38 284 0
64339 일반 로봇기구개발기사 검도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92 0
64338 정보❤ 에관기 학습 방법 추천 [12] 빛당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371 18
64337 일반 시험 다 끝나니까 조용하규나 [1] politics08(125.188) 04.27 150 1
64336 일반 일반기계기사 실격 [14] ㅇㅇㅇ(118.219) 04.27 443 1
64335 일반 일기기 있으면 사무직가능함? [5] ㅇㅇ(114.206) 04.27 230 0
64334 일반 에관기 필기 [3] ㅇㅇ(118.47) 04.27 77 0
64333 일반 아 훌훌 털어버릴려고 해도 맘이 잘 안잡히네...ㅠㅠ [1] 1475(112.162) 04.27 189 2
64332 일반 공조cbt 22년 이전,이후 필기 과목 다른데 같이 봐도 됨? [3] ㅇㅇ(106.101) 04.27 90 0
64331 일반 이제 건설기계 해야되는데 뉴비에요(211.223) 04.27 92 0
64329 일반 일반기계 + 산안기 [9] ㅇㅇ(58.237) 04.27 264 0
64328 일반 향후 기계기사 교통정리 방안 예상 [4] ㅇㅇ(223.38) 04.27 348 1
64327 질문❓ 9급 기계일반 기계설계 [1] 116.12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7 155 0
64326 일반 ㅎㄱㅅ 프리패스 기간 원래 이렇게 길어?? [1] ㅇㅇ(58.226) 04.27 174 0
64325 일반 전기기사, 소방설비기사전기 자격잔데 공조 뭐냐 시발ㅋㅋ [5] ㅇㅇ(121.181) 04.27 240 3
64324 질문❓ 건기 cbt [1] ㅇㅇ(211.178) 04.27 74 0
64323 일반 3D 척도 [3] ㅇㅇ(211.178) 04.27 181 0
64322 일반 공기업 기계직렬 [1] 준비중(125.135) 04.27 196 0
64321 일반 5일차 후기 ㅇㅇ(116.120) 04.27 202 0
64320 일반 형님들 공조 2회차 필기 준비중인데여 [2] ㅇㅇ(49.174) 04.27 136 0
64319 일반 근데 a3용지 가로로 슉 나올때 쾌감 지리지 않았냐? [1] ㅇㅇ(118.235) 04.27 190 0
64318 일반 하..이거 실격인지 좀 봐줘.. [6] Ssss(223.62) 04.27 404 0
64317 일반 일반기계기사 필답형 문제는 어디서 찾을수잇음? [4] ㅇㅇ(106.101) 04.27 270 0
64316 질문❓ 2d 척도 안 맞으면 실격이지? [5] ㅇㅇ(106.101) 04.27 316 0
64315 일반 드릴지그 2번째껀 그냥 사각형 모양 맞지? [9] politics08(125.188) 04.27 250 0
뉴스 [정덕현 요즘 뭐 봐?] ‘천국보다 아름다운’, 김혜자의 연기공력이 완성할 희비극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