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그 시절 노노재팬 수준... ㅇㅇ
- 텐센트, 짭호제던 관련해 Sony를 비난 ㅇㅇ
- 화성시, '코리요 무단 사용' 이준석 고소 않기로 ㅇㅇ
- 타이타닉이 벌써 27년전 영화구마 o..o
- 한국보다 출산율높은 일본 존잘남이 가르쳐주는 여자꼬시는방법.ㄷ 너구리
- 우리나라 드라마 PPL의 거의 원조였다는 정보석.. JPG ㅇㅇ
- [경악] 짱개들 경복궁서 짱개옷입고 한복은 중국것이라며 영상찍기 유행중 ㅇㅇ
- (장문) 잘 모르면 절대 피해야 하는 시장 Canvas
- 싱글벙글 역대 공익근무복....변화....JPG ㅇㅇ
- 서니파 보러 간 코즈시마 성지순례 6편 코즈시마 3일차 마지막 코즈시마 업사다
- 현실의 메탈슬러그 DC사랑
- 여기 계룡 지상군페스티벌 후기 쓰는데 맞음? ㅇㅇ
- 역대 보컬리스트 순수재능 TOP 15..JPG 이시라
- 메타, 새로운 스마트 글라스 공개 Cosmodiver
- 단독) 설탕주고 북한술 3500병 un제재당할듯 ㅇㅇ
으악으악 과거 사람들이 치아를 치료한 방법
기원전 7000년경 그냥 활비비로 뚫어서 썩은 치아 긁어냄 물론, 마취는 없음 불피우는 그거랑 똑같이 생겼네 생각하겠지만 실제로 그게 맞음ㅇㅇ 진짜 활비비라 그걸로 불도 피웠음 고대 이집트 현대 치의학의 근간이 되는 치료들을 시험적으로 행하긴 했지만 치통 및 충치에 관해서는 아주 단순하게 치료함 바로 작은 쥐를 반으로 갈라 사체가 식기 전에 입안으로 쑤셔 넣는 것. 쥐가 충치의 부정한 기운을 흡수할 거라 믿었기 때문 당연히 효과는 없고 드러운 쥐만 입에 넣고 치통은 그대로 남음 참고로 고대 이집트의 치아 교정술이라고 돌아다니는 이런 사진은 실제로 산 사람에게 행한 것이 아닌, 죽은 사람에게만 행했다고 함 고대 마야문명 기원전 시술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마취 없이 활비비로 치료함 다만, 개별 치아를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다른 치아를 손상시키거나 감염을 퍼뜨리지 않고 충치를 치료할 수 있었음 수술 후 환자들은 식염수로 정기적으로 입을 헹구라는 권고를 받았는데, 이는 오늘날 치과 의사들이 하는 조언과 거의 같음 하지만 마야에선 딱히 치료하는 것보단 사진처럼 이빨에 빠꾸없이 구멍을 뚫어서 보석을 박아 넣거나 치아를 붉은색, 검은색으로 염색하는 미용 목적이 강했음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설탕이나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충치가 그렇게 널리 퍼지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나뭇가지를 칫솔로, 소변을 구강 세정제로 사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충치는 여전히 발생했다고 함 하지만 다른 점은 그리스인들에게는 이를 잃는 굴욕을 당하는 것보다 극심한 고통을 겪는 것이 낫다는 인식이 퍼져 있었다는 거임 그래서 대충 충치 치료는 하긴 했지만, 절대 발치만은 하지 않음 기원전 450년에 작성된 로마 12표법의 한 조항에 "자유민의 이를 뽑게 하는 자는 300AS(당시 귀족도 내기 부담스러운 거액)의 벌금을 내야 한다"라고 쓰여있음 중세 유럽 그냥 뽑음 발치하면 잠깐만 아프고 더는 안 아프기 때문임 신기한 점은 당시 치과의사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수도사가 출장 다니며 치료했는데, 12세기에 교황청에서 수도사의 치과 치료를 금지하자, 그 자리를 이발사가 대체하게 됨 1400년대까지 이발사들은 치과 시술 외에도 사혈, 농양 절개, 심지어 조잡한 톱을 사용한 절단 수술 등 여러 가지 외과 수술도 함께 시행했음 다만, 당연히 전문지식이 있던 게 아니라 대부분은 마취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펜치를 사용하여 썩은 이를 뽑았음 우리가 보는 이발소의 기둥이 빨간색과 흰색으로 칠해져 있는 것도 거기서 유래함 빨간색은 발치 과정에서 손실된 피를, 흰색은 수술 과정에서 생긴 뼈와 피를 상징함 빅토리아 시대 영국 마취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달하고, 관련 치의학도 높은 수준으로 발달했지만 정작 의료 환경 자체는 중세와 별반 다를 게 없음 간단히 말해, 만약 불운하게도 충치에 걸려 통증이 극심해지면, 결국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하나. 즉 치아를 발치해야 했음 런던의 가장 좋은 지역에서도 지역 이발사나 대장장이가 치아 발치를 실시했는데, 치아 발치를 위한 도구는 대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소독 따윈 없는 수백, 수천 명의 DNA가 담긴 더러운 기구들이었음 그리고 당시 치과 의사라 불리는 많은 사람들이 대장장이 작업장을 포함한 더러운 작업장에서 일했기 때문에 위생적인 환경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함 당연히 감염이 흔한 정도가 아니라 운이 좋아야 감염을 면하는 수준 1837~1901년까지 런던에서만 썩은 치아 때문에 치료를 받다가 수만 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됨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세계대전 당시 적군의 장례를 치른 사례들..jpg
쓰러진 적에게 경의를 표하다!! 전쟁 중에 전투에서 전사한 적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증오심을 접어두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비록 매우 드문 일처럼 보일지라도, 역사 전반에 걸쳐 여러 차례 일어났던 일이다. 역사상 가장 거대한 규모의 전쟁이었던 두 차례의 세계대전 당시 적군에 의해 명예롭게 장례를 치른 군인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1917년 독일 쾰른에서 영국 전쟁 포로의 장례식을 주재하는 독일군 원수 파울 폰 힌덴부르크. 사진 속에는 다른 독일군 사령관들과 영국 왕립 비행단의 조종사 몇 명이 함께 나와 있다. 1918년 4월 22일, "붉은 남작"으로 더 잘 알려진 독일 조종사 만프레트 폰 리히토펜의 장례식에서 호주 비행단 제3비행대대 대원들이 프랑스에서 열린 장례식에서 명예의 예포를 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항공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에이스(80기 격추) 였던 리히토펜 은 캐나다 조종사 윌프리드 "왑" 메이 중위에게 격추당하기 전날 사망했다. 붉은 남작은 당시 "공중의 기사"라는 칭호를 얻었고, 그의 적들은 그의 묘비에 다음과 같은 비문을 새겼다. "여기 용감한 사람, 고귀한 적, 그리고 진정한 명예를 지닌 사람이 잠들다. 편히 쉬기를."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의 장례식이 거행되는 또 다른 순간. 호주 군인들은 그에게 무기를 건네며 마치 자기네 군인이 전사한 것처럼 경례했다. 1939년 10월 16일,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포르토벨로 묘지에 모셔진 독일 공군 장병 두 명의 장례 행렬. 두 장병은 영국 전투기의 총격으로 격추되었다. 그들의 관에는 당시 독일의 만자(卍字)가 새겨진 군기가 씌워져 있었다.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장례식에 참석하여 전사한 적들을 추모했다. 1940년 5월 영국에서 열린 독일 조종사 4명의 장례식에 참석한 영국 공군(RAF) 병사들. 독일 조종사들의 관 중 여러 개에는 독일 전쟁기가 드리워져 있었고, 전사한 적들은 명예 경례를 했다. 1941년 6월 14일 북아프리카에서 독일군에게 격추된 영국군 중위의 무덤을 살펴보는 조종사. 독일군은 그를 묻고 추락한 비행기 바로 옆, 그의 무덤에 하얀 십자가를 세웠다. 십자가에는 독일어로 "공중전에서 전사한 신원 미상의 영국군 중위가 여기에 잠들다"라고 적혀 있다. 1941년 12월 19일 홍콩 전투 중 서부 여단 사령관을 지낸 캐나다 군 장교 존 켈번 로슨의 묘비. 그는 준장으로, 전투 중 전사한 가장 고위 장교였다. 일본군이 도착하여 그의 시신을 발견했을 때, 그들은 그의 용기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군장례를 치렀다. 1942년 5월 31일~6월 8일 사이에 일어난 시드니 만 공격에서 전사한 일본 특수잠함정 조종사 마쓰오 케이우의 장례식. 6월 9일에 호주해군은 시드니 교외의 록우드 크리머트리아 장례식장에서 일본군의 유체를 해군장으로 치루었다. 시드니에선 적국의 군인을 정중하게 장례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호주해군 사령관이던 제라드 뮤어헤드 굴드 소장은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1943년 저지섬에서 열린 두 영국 공군 병장, 버틀린과 홀든의 장례식에 참석한 독일 공군 장병들. 그들의 관에는 영국 국기가 드리워져 있었다. 영국 조종사 버틀린과 홀든의 저지 장례식에 독일 공군 조종사들이 헌화한 화환. 왕관은 만자와 철십자로 장식되어 있었다. 영국 해군기로 뒤덮인 영국 군인의 무덤 앞에 선 독일군 병사들. 배경에는 연합군 포로들이 고인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었다. 이 사진이 언제 어디서 촬영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는 불명. 1944년 7월 10일, 미 해병대원들이 일장기와 함께 사이토 요시츠구 중장을 장례하는 모습. 사이토 중장은 사이판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당시 그는 사이판 섬을 방어하던 일본군 최고 사령관이었다. 그의 장례식은 미 해병대 홀랜드 스미스 장군이 주관했다. 1945년 4월 11일, 오키나와 전투 당시 USS 미주리호를 공격한 가미카제 조종사 이시노 세츠오의 장례식. 미주리 사령관 윌리엄 M. 캘러핸 중장은 조종사를 바다에 매장하는 결정을 내렸다. 유체 위에 임시 일본 해군기를 드리우고, 전통적인 3연발 소총 경례를 포함한 작은 의식이 거행되었다. 그리고 캘러핸은 일본 조종사가 보여준 의무, 명예, 희생 정신에 대해 확성기 시스템을 통해 승무원들에게 연설을 했다. 80년이 흘러 2025년 4월 12일 하와이 진주만에 있는 전함 미주리 기념관에서 엄숙한 의식이 열렸다. 미국과 일본의 고위 인사, 군 지도자, 그리고 이 함선의 초대 사령관 윌리엄 캘러핸 중장의 후손들이 모여 전사한 일본 조종사 이시노 세츠오의 80주년을 추모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leeloo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