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사랑의 이해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사랑의 이해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개념글 리스트
1/3
- 악마의 집 신발장엔 엽기토끼 스티커가- ㅇㅇ
- "저소득층에 3년간 매달 140만원씩 따박따박 줬더니"…결과 충격 관심종자
- 펌) 얼굴 없는 강아지 미미 멍갤러
- 갓 낳은 아기 28만원에 판 불륜커플 주갤러
- 가자지구 전쟁이 진짜 ㅈ도 아닌 이유 ㅇㅇ
- 카공족들 너무하다는 사장님 긷갤러
- 흥겜이 망겜이 되는 만화.manwha 김여우
- 착한 정경유착은 가능한가? ㅇㅇ
- 시드니 스위니 현상을 비판한 흑인여성의 최후 ㅇㅇ
- 김준호 결혼식에서 우는 오나미 김민경 보고 황당한 이영자 ㅇㅇ
- 동해안 이왜찍들, 에어로컬러 하프충
- 시베리안 호랑이가 한반도에 내려왔으면 하는 사람들 병신의훈수
- 안싱글벙글 귀멸의 칼날이 불만이신 영포티들 ㅇㅇ
- 산채로 십자가에 매달리면 신이 된다 ㅇㅇ
- 맨홀 안에 사람이 매달려 있다 ㅇㅇ
백자 달항아리 마주한 '케데헌' 감독 "아이디어가 떠오르네요"
백자 달항아리 마주한 '케데헌' 감독 "아이디어가 떠오르네요"- 국내기사에 올라온 감독님 짤 모음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39933?sid=103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78160?sid=103 유홍준 관장과 인사하는 '케데헌' 메기 강 감독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메기 강 감독(오른쪽)이 21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해 유홍준 관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8.21n.news.naver.com
작성자 : 고닉팠고정닉
영화 '조커'에 대하여.jpg
영화 조커 (2019)의 배경은 1981년, 아서 플렉(조커)의 개인적인 비극과 사회적 혼란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배경 설정은 영화의 주요 테마인 사회적 불평등, 고립, 정신 건강 문제그리고 폭력의 확산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때문에 오프닝 시퀀스에서 등장하는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 로고는 현대에 익숙한 3D 애니메이션 스타일이 아닌 1970~1980년대에 사용되던복고풍의 2D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출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를 넘어영화가 지닌 시대성과 복고적 정서를 강조하며 관객을 1980년대 초반으로 몰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주인공의 이름인 아서 플렉(Arthur Fleck)은 단순한 설정 이상의 상징성을 지닌다. 감독 토드 필립스는 인터뷰를 통해 이 이름에 담긴 이중적 의미를 직접 밝힌 바 있다.먼저 아서(Arthur)’는 전설 속의 아서 왕(King Arthur)을 연상시키는 이름으로, 권위와 통치, 영웅적인 존재를 상징한다. 반면 ‘플렉(Fleck)’은 영어로 ‘작은 얼룩’, ‘부스러기’혹은 ‘티끌’을 의미하며, 무가치하고 하찮은 존재를 암시한다.이 두 요소가 결합된 ‘아서 플렉’이라는 이름은 곧 ‘광대 같은 인물’, ‘아무것도 아닌 왕’이라는 역설적 의미를 내포한다. 이는 영화 속 아서가 사회적으로 철저히 소외되고 무시당하는 인물이지만, 결국 대중의 분노와 상징적 존재로 ‘왕’처럼 떠오르게 되는 서사를 암시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즉, 감독은 이름부터 인물의 내면과 운명을 암시하며관객으로 하여금 단순한 이름 이상의 해석을 유도하고 있다.영화 조커의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인아서가 거울을 보며 천천히 웃음을 연습하다 눈물을 흘리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명장면으로 평가받는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눈물은 원래 각본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즉흥적인 연기였다는 점이다. 감독 토드 필립스는 이 장면을 촬영할 당시호아킨 피닉스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끌어내기 위해 촬영장에 잔잔하고 슬픈 음악을 틀어두었다. 그 음악에 영향을 받은 피닉스는, 대사도 없이 단지 표정과 몸짓만으로 내면의 고통을 표현하던 중감정이 북받쳐 올라 자연스럽게 눈물을 흘리게 되었다.이 장면을 자세히 보면, 거울에 비친 아서의 얼굴 뒤편조명이 어슴푸레한 공간 속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형상이포착되었다는 팬들의 해석이 존재한다. 이는 영화 속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이스터에그는 아니지만일부 관객들과 팬들 사이에서 "의도된 상징이 아니냐"는 다양한 해석을 불러일으켜 왔다.해당 형상은 조명, 아서의 머리 윤곽, 배경의 그림자 등이 절묘하게 겹치며 만들어진 것으로배트맨의 상징적인 실루엣 특히 뾰족한 귀와 어두운 형체를 연상시키는 순간을 연출한다.
비록 감독이나 제작진이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바는 없지만조커와 배트맨이라는 상징적 대립 구조를 고려할 때무의식적 혹은 우연에 의한 상징적 암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석은 영화의 서사적 깊이를 더해주며팬들에게는 흥미로운 추측거리로 남아 있다양아치들에게 골목에서 구타당하는 장면은그의 비참한 현실과 사회적 소외를 강렬하게 보여주는 인상적인 시퀀스 중 하나다.이 장면을 자세히 보면, 아서는 넘어지고 쓰러진 후본능적으로 손으로 자신의 뒷통수와 낭심을 감싸며 보호하려는 자세를 취한다. 이는 단순한 방어적 몸짓을 넘어서그가 이런 폭력적인 상황에 익숙해져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매우 의미심장한 디테일이다.
즉, 아서는 신체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위를 먼저 감싸는 훈련된 듯한 움직임을 보이며 이전에도 유사한 상황 폭행이나 괴롭힘을 반복적으로 겪어왔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세밀한 연출과 호아킨 피닉스의 섬세한 신체 연기는아서라는 인물이 단지 한 번의 사건으로 무너진 것이 아니라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상처와 학대 속에서 서서히 무너져간 존재임을 강조한다.골목에서 구타당한 직후 그의 가슴에 달린 꽃 장식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장면이 짧게 등장한다. 이 장면은 단순한 시각적 연출을 넘어코믹스 원작 조커 캐릭터에 대한 오마주로 해석할 수 있는 중요한 디테일이다.원작에서 조커는 종종 광대 특유의 소품을 무기로 활용하는데그 중 대표적인 것이 물총처럼 물을 뿜는 장난감 꽃이다. 겉보기엔 우스꽝스럽지만, 때로는 독을 뿜거나 치명적인 함정을 품은 이 꽃은 조커의 조롱과 폭력, 유희성과 잔혹성이 혼재된 성격을 상징하는 아이콘 중 하나다.
영화에서 이 꽃이 등장하는 타이밍은 아이러니하다. 구타를 당한 후, 무력하게 쓰러져 있는 아서의 가슴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모습은 슬프고 처참한 상황 속에서도 조롱하듯 연출된다. 이는 관객에게 비극 속의 희극, 혹은 희극 속의 비극이라는 조커라는 인물의 핵심 정체성을 암시하며그의 본격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상징적 순간으로도 읽힌다.호아킨 피닉스는 캐릭터의 내면과 외형을 깊이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촬영 전부터 체중 변화에 대한 고민을 감독과 함께 나눴다.
호아킨은 처음에는 정신과 약을 복용 중인 인물을 보다 현실적으로 표현하고자 살을 찌우는 방향을 원했다. 실제로 많은 정신과 약물 특히 항우울제나 항정신병 약물은 체중 증가를 흔한 부작용으로 동반하기 때문에아서 플렉의 심리적 상태를 육체적으로도 드러내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이었다.
하지만 감독 토드 필립스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구상하고 있었다. 그는 아서의 모습을 "영양실조에 걸린 늑대처럼" 보이길 원했다. 이는 단지 체형적인 표현을 넘어서아서가 사회로부터 철저히 소외되고, 점점 광기로 굶주려가는 존재라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각인시키고자 했기 때문이다.
결국 호아킨 피닉스는 24kg 이상을 감량하며 감독의 비전에 따라 극도로 마르고 뼈가 도드라진 외형으로 아서 플렉을 완성시켰다.감량 기간 동안 하루 식사는 거의 “사과 한 개, 양상추, 그리고 찐 강낭콩 몇 알”로 구성됐다고 밝혔다. “내 인생이 비극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개같은 코미디였어.”
이 대사는 영화 조커의 정서적,철학적 정점이자 조커로 변하는 계기가 되는데이 말은 그가 어린 시절부터 겪어온 고통 어머니의 학대, 사회적 소외, 정신질환, 빈곤이 단순히 불운하거나 비극적인 삶의 연속이 아니라더 나아가 인간의 존엄조차 조롱당하는 ‘코미디’였다는 냉소적 인식을 드러낸다.
여기서 ‘코미디’는 웃음을 유발하는 장르가 아니라삶이란 본질적으로 부조리하고 폭력적인 희극에 불과하다는 조커의 세계관을 함축한다.
이 대사는 특히 그가 어머니를 살해하는 순간에 나오는 점에서 더욱 강렬한데"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코미디다."
채플린의 말은 인간 존재의 아이러니 즉 개인적 고통이 타인의시선 속에선 우스꽝스러운 오락거리로 소비될 수 있다는 현실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조커는 이 명언을 정반대의 방향에서 차용한다. 아서 플렉은 자신의 인생이 비극이라고 믿었지만사회와 타인에게 철저히 조롱당하고 외면받은 끝에그것이 실은 코미디였다는 잔인한 진실을 자각한다. 하지만 이 코미디는 채플린이 말하던 휴머니즘적 웃음이 아닌인간성의 몰락과 광기의 산물로서의 냉소적 희극이다.아서 플렉은 겉보기엔 평범한 인물처럼 보이지만그 이면에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내면이 자리하고 있다. 이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세밀한 설정 중 하나가 바로 그가 양손잡이(ambidextrous)라는 점이다.
일상생활에서 아서는 오른손을 주로 사용한다. 글씨를 쓰거나, 간단한 동작들 예를 들어 문을 열거나 담배를 피우는 장면 등에서는 대부분 오른손을 쓴다. 이는 그가 사회적으로 보이기 위한 ‘정상적인 자아’즉 억제되고 통제된 페르소나를 유지할 때 사용하는 손이다.그가 진짜 감정이나 내면을 드러내는 순간들왼손을 사용한다는 점이다.총을 쏠 때 왼손을 사용하거나,감정이 격해져 웃음을 억제하지 못할 때의 몸짓거울 앞에서 광대 화장을 할 때 등
이러한 장면에서는 왼손이 주도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단순한 연출을 넘어, 아서의 두 개의 자아 사회에 순응하는 자아와 억눌려온 진짜 자아(조커)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로 해석할 수 있다.아서 플렉이 집에 찾아온 동료를 죽이기 전메모에 등장하는 스마일 마크를 담뱃재로 그리는 장면은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장면에서 아서는 평소의 억눌린 모습과는 달리점차 내면 깊숙한 곳에 숨겨둔 ‘진짜 자아’ 즉 조커로서의 본성을 곧 드러내기 시작하는 순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계단 춤 장면은 아서 플렉이 내면의 억압과 고통을 벗어던지고마침내 조커로 완전히 ‘재탄생’하는 극적인 전환점이다.이 장면은 단순한 춤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데특히 명암 대비를 활용한 시각적 연출이 매우 인상적이다. 초반부에는 어둡고 음울한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면계단에서 춤을 추는 순간부터는 빛과 그림자의 강렬한 대비가 극적으로 부각되면서 아서가 자신의 어두운 본성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즐기기 시작했음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극장에서 배트맨 부모가 살해되는 장면을 보면웨인 부부가 타고 온 리무진이 불타고 있는 모습이 짧게 등장하는데이 장면은 단순한 배경 묘사가 아니라 의도된 복선 혹은 암시로 볼 수 있다.
이 불탄 리무진이 조커의 추종자 혹은 범죄 조직에 의해 사전에 계획된 방해 행위임을 제시한다. 즉, 누군가가 리무진에 불을 지름으로써 부부가 차량을 이용하지 못하게 만들고그로 인해 두 사람이 직접 도보로 이동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고결국 살해당했다는 의미 있는 ‘계획살인’으로 해석한다.이 장면을 다시보면 웨인 부부 이외의 차량은 모두가 멀쩡한것을 알수있다영화 조커에서 아서 플렉이 머레이를 살해한 직후그의 붉은 양복은 파란 조명과의 대비 속에서 보랏빛으로 물든다. 이 순간은 단순한 시각적 연출을 넘어 상징적으로 중대한 전환점을 나타낸다. 붉은색은 조커의 광기와 폭력성, 파란색은 냉정함과 고립을 상징하며, 이 두 색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보라색은 이제 아서 플렉이 '조커'라는 존재로 완전히 탈바꿈했음을 시사한다. 이는 개인의 분열된 정체성이 하나로 통합되어더 이상 사회의 피해자가 아닌 스스로 서사를 주도하는 상징적 인물로 거듭났음을 의미한다. 조명과 색채를 통해 감독은 아서 플렉의 내면 변화와 함께그가 우리가 알고 있는 '조커'로 공식적으로 탄생했음을 시각적으로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조커가 폭도들에 의해 경찰차에서 구출된 직후 그가 있는 배경에는 "Ace in the Hole"이라는 문구가 적힌 간판이 눈에 띈다. 이는 단순한 배경 요소가 아니라, 다크 나이트에서 히스 레저가 연기한 조커의 마지막 대사 중 하나“I took Gotham’s white knight and I brought him down to our level. It wasn’t hard. You see, madness, as you know, is like gravity. All it takes is a little push... And I had an ace in the hole”에 대한 오마주로 해석된다.원작 노블 킬링 조크의 마지막 장면에서 조커는 배트맨에게 "재미있는 농담 하나가 떠올랐다"고 말하며 짧은 일화를 들려준다. 얼핏 들으면 단순한 블랙 유머처럼 보이는 이 농담은사실 광기와 이성 사이의 경계를 넘어선 두 인물의 본질적인 유사성을 드러낸다. 농담을 들은 배트맨은 처음엔 무표정으로 듣고 있다가 점차 웃음을 터뜨리고, 마침내 조커와 함께 폭소를 터뜨리며 이야기는 끝이난다.이 인상적인 엔딩은 상징적으로 이들이 서로를 가장 깊이 증오하면서도 동시에 가장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임을 보여준다.
조커는 사회의 부조리 속에서 미쳐버린 인물이고배트맨은 그 광기 앞에서도 끝내 도덕적 기준을 지키려는 인물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은 모두 '하나의 나쁜 하루'가 사람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를 몸소 체현하고 있는 인물들이며그 점에서 서로를 누구보다도 닮아 있다. 이 장면은 배트맨과 조커의 관계가 단순한 영웅과 악당의 구도를 넘어서서로의 정체성을 비추는 거울 같은 존재임을 철학적으로 암시한다.영화 조커의 마지막 장면에서, 아서 플렉은 정신병원 상담사와 마주 앉아 “재미있는 농담이 하나 떠올랐다”고 말한다. 상담사가 그 내용을 묻자 그는 웃으며 조용히 말한다 “넌 이해 못 할 거야.”이 장면은 겉보기에는 허무한 블랙코미디처럼 보이지만사실상 아서 플렉 조커의 사고방식과 세상에 대한 절망적인 인식그리고 그만의 왜곡된 유머 감각이 사회와 완전히 단절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그가 말하는 ‘농담’은 단지 우스운 이야기가 아니라그만의 고통과 광기, 세계관이 응축된 메시지다.
이와 동시에, 화면은 고담 시의 혼란 속에서 브루스 웨인의 부모가 살해당하는 장면으로 전환된다. 이 병렬 편집은 단순한 사건의 병치가 아니라 향후 브루스 웨인이 배트맨으로 성장할 결정적인 순간과 조커의 탄생을 동시에 보여주며이 둘의 불가분한 관계를 암시한다. 특히 아서가 “넌 이해 못 할 거야”라고 말하는 순간은세상 누구도 자신의 광기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언젠가 그와 같은 상처를 지닌 존재즉 배트맨만이 진정으로 자신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임을 암묵적으로 예고하는 대사다.
작성자 : 네거티장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