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송대리의 잇(IT)트렌드] 냉동 인간, SF 영화 속 얘기만은 아니라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24 17:24:34
조회 111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전국 직장인, 그중에서도 열정 하나만으로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처리하는 대리님들을 위한 IT 상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점심시간 뜬금없는 부장님의 질문에 난감한 적 있잖아요? 그래서 저 송대리가 작게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부장님, 아니 더 윗분들에게 아는 ‘척’할 수 있도록 정보 포인트만 쏙쏙 정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테슬라, 클럽하우스, 삼성, 네카라쿠배 등 전 세계 IT 소식을 언제 다 보겠어요? 지금 이 순간에도 피곤한 대리님들이 작게나마 숨 한 번 쉴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1. 영화에서 보면 굉장히 먼 우주로 나가는 우주선에 우주인들을 냉동시켰다가 도착하면 깨우는 이런 장면이 있잖아? 이런 게 실제로 가능해?

과연 어떨까요? 우선 실제로 국내에 이미 이런 냉동 인간이 2명 존재합니다. 첫 번째 사례로 지난해 60대 초반 남성분께서 혈액암으로 돌아가신 80대 어머니를 냉동 보존 의뢰를 한 일이 있습니다. 지금 러시아 모스크바에 있는 냉동 보존실에 모시고 있다고 하네요. 두 번째로는 올해 8월 담도암으로 항암 치료를 받다가 세상을 떠난 아내를 남편과 아들이 함께 냉동 보존 작업을 의뢰한 사례가 있습니다. 지금의 의료 기술로 어찌할 수 없지만 나중에 기술이 발전하면 생명을 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마음에서 냉동 보존을 선택하는 거죠. 이미 여러 냉동 보존 업체들이 존재하는데요. 국내에서 이뤄진 두 사례는 모두 러시아 업체 크리오러스가 진행했습니다.


마블의 캡틴 아메리카도 냉동됐다가 70년 후 깨어난



2. 어떤 방식으로 냉동인간을 만드는 거야?

일단은 우리나라 법으로는 사망 선고가 있어야 냉동 보존을 할 수 있습니다. 냉동했다가 무사히 다시 살릴 수 있는 기술은 입증이 안 돼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시술이 안되는 거죠. 그러니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아직은 냉동 시신 보존술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냉동 보존을 위해선 먼저 몸에 있는 혈액 등 체액을 모두 빼내야 한다고 합니다. 이런 체액들이 얼면 뾰족한 결정이 생겨서 세포를 손상할 위험이 있기 때문인데요. 대신 이런 결정이 세포에 손상을 입히는 걸 막는 동결 보존액을 채워 넣은 다음에 영하 196도의 액체 질소가 가득한 냉동 보존관에 보관한다고 합니다. 보관 기간은 크리오러스의 경우 계약에 따라 100년까지 보장된다고 하는데요. 그 전에 다시 해동해서 소생할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다리는 거죠.

3. 그러면 지금 기술로는 얼리는 건 가능해도 녹이는 건 안 된다는 얘기야?

네 맞습니다. 죽은 사람 인체를 얼려서 보존하는 건 지금 연구와 기술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손상 없이 해동하는 기술과 다시 소생시키는 기술은 별개죠. 하지만 미래에는 그런 기술이 분명 개발될 것이라는 어찌 보면 실낱같은 희망에 기대를 거는 거죠. 물론 비판적인 시선도 많습니다. 설령 동결 보존액으로 손상을 막는다고 해도, 그 효과를 지금 시점에서 입증하는 건 어렵다는 겁니다. 또 아직 나오지도 않은 해동 및 소생 기술에 대한 기대감을 빌미로 냉동인간 사업을 하는 건 절박한 심정을 이용한 상술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크리오러스의 냉동 보존관. 출처=크리오러스



4. 그렇지. 100년 후라고 소생 기술이 있을 거란 보장은 없잖아? 가족이나 후손도 다 사망하고 몇 대가 지나갈지도 모르고.

맞습니다. 소생 기술 개발이 오래 걸린다면 대대로 계약을 연장해가며 냉동 보존을 유지해야 할 텐데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겁니다. 크리오러스의 경우 가격이 1억 원 이상으로 알려졌습니다.

계약이 끝났을 때 연락 가능한 가족이 없을 경우도 있을 텐데요. 그럴 때는 2년 정도 유예 기간을 두고 이후에 조치가 없으면 장례 절차를 밟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연락 가능한 후손이 있더라도 비용 부담 때문에 보존을 포기하는 경우도 꽤 있지 않을까 싶어요. 가능할지 불가능할지도 모르는 소생을 기대하며 1억이 넘는 돈을 낸다는 건 상당한 부담이니깐요. 하지만 가족 입장에선 사랑하는 사람이 아프거나 세상을 떠나면 굉장히 가슴이 아플 수밖에 없죠. 그러니 냉동 보존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속 나오는 거 같습니다.

4. 해동에 성공해서 다시 살아났다고 치자. 그런데 가족, 친구 다 죽은 먼 미래에 혼자 살아나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카우보이 비밥’이라는 일본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아주 유명한 작품이죠. 거기에 페이 발렌타인이라고 하는 인물이 나옵니다. 불치병 때문에 2014년 냉동 상태로 보존되다가 54년 뒤에 깨어나 치료를 받습니다. 기억을 잃고 방황하다 점차 기억을 되찾는데요. 오히려 착잡한 기분에 빠집니다. 어릴 때 친구들은 다 늙어 노인이 됐는데 혼자만 예전 모습 그대로 인 거예요. 그걸 보면서 친구, 가족, 연인과 같은 시간을 공유하지 못 하고 먼 미래에 외톨이가 된다면 그걸 행복한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개인적으로 들었습니다. 물론 삶의 가치를 어디에 두냐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죠. 그러니 생명 연장에 대한 꿈, 미래 기술 발전에 대한 믿음으로 냉동 보존을 택하려는 사람들도 존재하는 겁니다.

송태민 / IT전문가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대기업까지 다양한 경험을 지니고 있다. 현재 KBS 라디오 ‘최승돈의 시사본부’에서 IT따라잡기 코너를 담당하고 있으며, '애플워치', '아이패드 미니', '구글 글래스' 등의 국내 1호 구매자이기도 하다. 그는 스스로를 IT 얼리어답터이자 오타쿠라고 칭하기도. 두 딸과 ‘루루체체 TV’ 유튜브 채널, 개그맨 이문재와 ‘우정의 무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어비'라는 닉네임으로 활동 중이며, IT 전문서, 취미 서적 등 30여 권을 집필했고, 음반 40여 장을 발표했다.

정리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송대리의 잇(IT)트렌드] 당신의 얼굴과 목소리를 2억 원에 팔라고 한다면?▶ [송대리의 잇(IT)트렌드] 방탄소년단 소속사는 왜 NFT에 관심을 가질까?▶ [송대리의 잇(IT)트렌드] 디즈니+ 국내 상륙…OTT 춘추전국시대 개막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671 [홍기훈의 ESG 금융] ESG가 베타에 미치는 영향 Part 1: 펀더멘탈 분석이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0 662 0
670 [IT신상공개] 삼성전자, '그래픽 성능' 약점 극복한 엑시노스2200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203 0
669 디지포레 “시제품 검증, 시연까지 메타버스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10 0
668 [앱으리띵] 넘치는 OTT 서비스, 알뜰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OTT 5종 비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517 2
667 한국과 넷플릭스의 '전략적 파트너십', "K콘텐츠 노하우가 곧 경쟁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78 0
666 [리뷰] 화장실의 공기질도 잡는다, 이누스 에어 새니타이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85 0
665 애플·삼성 스마트폰 양강 구도, 부품 수급난 속에 2022년에도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9 107 0
664 삼성전자도 나섰다··· 2022년, 폴더블 노트북 원년 될까?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518 0
663 구글 안드로이드 13, 어떤 기능 개선·추가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190 1
662 [뉴스줌인] 칩 하나로 저장에서 연산까지, ‘인메모리 컴퓨팅’에서 성과 낸 삼성전자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2312 14
661 [IT신상공개] 12세대 인텔 P 시리즈 출시된다, 델 XPS 13 플러스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142 2
660 [뉴스줌인] '즉석 사진기'처럼 아날로그 감성 채워줄 스마트폰 프린터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92 0
659 [주간투자동향] 그린랩스, 1,7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7 1210 0
658 눈 피로 줄이는 ‘아이케어’ 모니터, 무슨 원리?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5808 4
657 오퍼스엠 “블록체인이 열 신뢰의 시대, 대들보 되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07 0
656 본격 보급 시작한 와이파이6E, 와이파이6와의 차이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340 0
655 [IT신상공개] 6천만 화소로 담아내는 순간, 라이카 M11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4 1157 3
654 고객 중심 전략은 어떻게?..."창업 첫날처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65 0
653 [알쓸신IT] 통신 업계의 '라스트 마일' 혁신, FWA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03 0
652 [리뷰] 퀄컴 칩셋으로 다듬은 연결성, 브리츠 어쿠스틱 TWS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09 0
651 진화 거듭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상공인 스마트 상점 마중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71 0
650 [뉴스줌인] HDR 600 인증 획득한 MSI 써밋 MS321UP 모니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872 0
649 은밀하게 진행되는 횡령사고, "CMS를 통해 사전 차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5 0
648 [리뷰] '콘텐츠 감상도, 간단한 작업도 OK' 에이수스 비보북 13 슬레이트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99 0
647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 주차 로봇의 등장, 이젠 주차 걱정 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1084 3
646 [IT신상공개] 한국인에겐 그림의 떡, 삼성 갤럭시 S21 FE 5G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2637 2
645 숨은 보험금만 '12조원', 숨은 보험금도 빠짐없이 찾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2 91 0
644 [리뷰] 와이파이6E 품은 첫 차세대 공유기, 넷기어 RAXE5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60 0
643 [IT신상공개] 무드등? 조명? 프로젝터? 삼성전자 '더 프리스타일' 국내 예판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48 1
642 카카오·네이버가 택한 '뉴스 구독'... 포털의 사회적 책임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28 0
641 천차만별 가습기, 브랜드보다 먼저 따져봐야 할 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184 0
640 [리뷰] 책상에 주는 공간의 여유, 카멜마운트 고든 프로 UMA-2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418 0
639 2022년 폴더블 스마트폰 2R '삼성전자 vs 중국 연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36 0
638 [주간투자동향] 번개장터, 82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142 0
637 [CES2022] IoT 생태계 구축, 확대에 팔 걷은 글로벌 기업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66 0
636 [BIT 인사이트저널] 2022년이 기대되는 택시합승 서비스 '반반택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549 1
635 음향 기기에서 '개성의 아이콘' 될까? 무선 이어폰은 변신 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20 1
634 실감 통화, 가상 스포츠 중계…2022년 등장할 차세대 광학 기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130 1
633 [IT하는법] 혼자 쓰는 윈도 PC, 부팅할 때마다 로그인 귀찮다면?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943 2
632 [CES2022] "IT 혁신이 한 자리에", CES2022가 뽑은 혁신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57 1
631 [CES2022] 올해 CES의 새로운 화두 NFT, 시장에 가져다 줄 변화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2 0
630 [CES2022] 중국 사라진 유레카 파크, 대한민국이 휩쓸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4 0
629 [기고] 아트테크가 뭐에요? 많이 묻는 질문과 답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73 0
628 [CES2022] 롯데 실감형 메타버스 CES 서 극찬.. '이것이 진짜 메타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12 0
627 [리뷰] OTT 중심 시대에는 가정에도 프로젝터를! - 벤큐 4K UHD 프로젝터 'TK700ST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79 0
626 [CES2022] 혁신과 전통 사이, 노트북 소비자들의 선택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1346 0
625 [CES2022] 코로나로 활짝 핀 게임 시장, 대형 업체들도 라인업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309 0
624 [CES2022] 국내 게이밍 기어 제조사 마이크로닉스, 글로벌 대기업 사이에서 '존재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06 0
623 [CES2022] 파나소닉의 미래 키워드는? '사회적책임', '스마트 라이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4 0
622 [CES2022] 현대차, '미래차'아닌 '로보틱스 비전' 발표··· '더 큰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03 0
뉴스 '금쪽같은 내 스타' 엄정화X송승헌 & 장다아X이민재, 25년 세월 순삭? 비포애프터 로맨스 포스터 공개! 디시트렌드 07.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