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용자 보호 강화에 초점’ 2025년 달라지는 금융정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1.21 01:01:21
조회 2023 추천 0 댓글 0


출처: 셔터스톡



[IT동아 강형석 기자] 2025년, 을사년이 시작됐다. 푸른 뱀의 해라고 부르는데 ▲지혜 ▲변혁 ▲성장ㆍ발전 ▲새로운 시작 등 다양한 의미를 품었다. 그래서인지 2025년 국내 금융시장도 새로 도입되거나 ▲변화 ▲발전에 초점을 둔 제도가 많다. 금융 서비스가 점차 고도화되는 가운데 소비자에게 이득이 되는 게 있다면 반대로 피해를 볼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때 금융제도와 정책이 선의의 피해자를 구제할 수 있어야 안심하고 금융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2025년 달라지는 금융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봤다.

‘약간 복잡하지만...’ 디지털자산보호재단 업무 개시


가상자산 이용자의 권익 보호와 건전한 거래질서 확립을 위해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를 중심으로 ‘디지털자산보호재단’이 2024년 12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업계 자율로 추진되는 디지털자산보호재단은 영업을 종료한 가상자산거래소와 협의를 거쳐 이용자 자산을 이전받아 보관ㆍ관리하고, 반환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용자의 예치금은 은행, 가상자산은 원화마켓 거래소 각각 하나를 선정해 보관ㆍ관리 업무를 위탁할 예정이다.

2025년 1월 15일 기준, 재단은 ▲에이프로코리아(에이프로빗) ▲텐앤텐 ▲한빗코코리아(한빗코) ▲큐비트 등 영업 종료 사업자에게 개인정보를 이전받았다. 또한 ▲포리스닥스코리아리미티드(오케이비트) ▲포블게이트(포블) ▲피어테크(지닥, GDAC) ▲프라뱅 ▲한국디지털거래소(플라이빗) 등 비원화 거래소 사업자에게도 개인정보를 이전받았다.

영업 종료ㆍ비원화 거래소 사업자가 운영한 거래소 이용자는 디지털자산보호재단에서 자산 조회는 물론 반환도 가능하다. 하지만 2025년 1월 15일 기준, 재단 홈페이지를 통한 자산조회 서비스는 사용 불가능하다. 아직 시스템 준비 중으로 자산을 조회하려면 신청서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 후, 재단 전자메일로 전달해야 된다.

‘한도 2배 올렸는데 적용은 언제?’ 예금보호한도 상향


2024년 12월 27일,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기존 5000만 원이던 예금보호한도가 1억 원으로 상향됐다.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은 정부 이송·공포 절차를 거친 후 시행된다. 시기는 국회 본회의 통과 후 1년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지니 2025년 내에는 적용될 전망이다.

보호 대상은 은행 · 저축은행 예ㆍ적금, 보험회사 보험료, 증권회사 예탁금 등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법 개정으로 예금보호한도가 1억 원으로 상향된다면, 현행 한도에 맞춰 여러 금융회사에 분산 예치해 온 예금자들의 불편이 조금은 해소되리라 예상된다.

‘실수로 송금해도 1억 원 이하면 돌려받는다’ 착오송금반환지원 강화


인터넷ㆍ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금융거래가 잦은 만큼, 실수로 타인에게 송금하는 일도 많다. 금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3년 5780건에 달하는 착오송금 사례가 발생했다. 금액은 96억 5300만 원 규모다. ▲중복 이체 ▲계좌번호 오입력 ▲수취인 혼동 ▲송금액 오입력 등 유형도 다양하다. 정부는 잘못 송금한 돈을 돌려받도록 지원하는 ‘착오송금반환지원’ 정책을 실시 중이다. 정책 초기에는 5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 건에 대해 지원했으나 2023년 1월 1일 이후에는 1000만 원 초과 5000만 원 이하 건도 지원되도록 확대했다.

2025년 1월부터는 대상 금액이 1억 원 이하로 확대된다. 반환이 신속히 진행되도록 수취인의 자진 반환 요구 기간도 3주에서 2주로 짧아진다. 보험사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 ▲은행 ▲금융투자회사 ▲종합금융회사 ▲농ㆍ수협 조합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및 중앙회 ▲산림조합 및 중앙회 신용사업 부문 ▲우체국 등 송금 기능이 있는 금융사가 포함된다. 신청은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가능하다.

‘사용 연령대 낮추고, 데이터 보안은 강화’ 마이데이터 2.0 도입


2022년 1월부터 자신의 금융자산과 거래내역 등을 통합 조회 가능한 금융분야 마이데이터가 시행 중이다. 금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월 말 기준, 69개 사업자와 1억 1787만 명 규모로 성장했다. 금융회사 외에도 ▲빅테크 ▲비금융 기업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면 채널에서만 제공되어 디지털금융 취약계층이 접근하는 데 제약이 있었고, 법정대리인의 동의 없이 스스로 마이데이터를 이용하는 연령대가 19세 이상으로 정해져 있어 미성년자가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랐다.

2025년 1월 15일 이후 적용되는 마이데이터 2.0은 일부 문제가 해소된다. 먼저 법정 대리인의 동의 없이 스스로 마이데이터 이용 가능한 연령대를 14세로 낮췄다. 하지만, 청소년의 데이터가 무분별하게 쓰이지 않도록 ▲정보 수집ㆍ제공 ▲활용 제한 규정은 유지된다.

마이데이터를 대면 채널에서도 사용되도록 허용된다. 다만, 신용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해 대면 영업 과정에서 임직원이 준수해야 될 기준과 절차를 내부업무규정으로 마련하도록 했다. 새 정보와 기존 정보의 결합을 허용하되 제3자에게 제공 시 데이터 전문 기관에서 가명ㆍ익명 처리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받도록 관련 기준도 마련된다. 이 외에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정보 주체의 동의를 얻어 제3자에게 정보를 판매할 때 금융보안원에 구축된 안심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의무화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2025년 가상자산 시장 ‘AI·RWA 부상할 것’▶ 2025년 가상자산 시장 “상승세 이어갈 것”▶ [크립토 퀵서치] DID가 무엇인가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연애 못할 것 같은 연애 하수 스타는? 운영자 25/08/04 - -
5676 가상자산 거래소, 테마 지수·분할 주문 등 ‘거래 편의 기능’ 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67 0
5675 AI 프로젝트의 80%는 실패, '렛서'가 제시하는 구축·운영의 비책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7447 0
5674 [스타트업-ing] 바이버 “전문가 보증으로 신뢰 높인 명품 시계거래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15 0
5673 [투자를IT다] 2025년 8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131 0
5672 SKT 에이닷 4.0으로 보는 최근 AI 업계의 추구 방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99 0
5671 [농업이 IT(잇)다] 코트그린 "친환경 코팅기술로 노지 농업 스마트화 실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8 94 0
5670 [서울과기대 x 글로벌 뉴스] 픽스업헬스 “미국 재활치료 모니터링 시장의 새 기준 만들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43 0
5669 "서울시민도 제주서 책 빌린다" 책이음 하나로 전국 도서관 이용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362 2
5668 [IT애정남] 단톡방 방장이 갑자기 나간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8007 0
5667 [퀀텀 스타트업] 8. '실행'하는 정부가 만드는 양자 경쟁력 우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43 0
5666 성장하는 한국 반도체 스타트업, '서울대 SIPC'의 숨은 노력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73 0
5665 최용석 서경대 교수 “K팝 데몬 헌터스, 韓 콘텐츠 산업 성찰 계기 삼아야”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2616 1
5664 [리뷰] 360도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DJI 오즈모 36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40 0
5663 [SBA x IT동아] “아내 설거지하는 모습서 영감” 리빙크리에이터, 한국형 이케아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13 0
5662 BMW 수입차 독주 체제 강화…벤츠와 격차 5720대로 확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82 0
5661 [주간스타트업동향] TEN “한국 포함, 세계 창업 협력 모델 만들고파”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57 0
5660 예금 보호 한도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 어떤 예금이 보호받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01 0
5659 [ETF Q&A] 퇴직연금으로 투자하는 TDF ETF는 무엇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696 0
5658 [리뷰] 존재감 발군의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스트릭스 G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81 0
5657 6년 만에 공개 모델 내놓은 오픈AI, gpt-oss에 깔린 의도는 순수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2497 0
5656 산불·산사태 신고부터 실시간 정보까지 한눈에…스마트산림재난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24 0
5655 반도체 수출 비중 높은 대한민국, 상호 관세 이어 반도체 품목 관세 파도 넘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17 0
5654 S2W “IPO 딛고 세계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342 0
5653 관세 타결...최악은 피했지만 여전히 과제 남은 車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2293 0
5652 닻 올린 '한국형 AI'··· 각 컨소시엄 구성과 목표, 그리고 해외 동향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5 6462 1
5651 [신차공개] 현대차 ‘더 뉴 아이오닉 6’·’2026 ST1’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54 0
5650 리벨리온, 마벨과 전략적 관계··· '수요 맞춤형 반도체 설계'로 소버린AI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28 0
5649 궁금한 제품 정보 당장 알고 싶다면? 네이버 ‘스마트렌즈 x AI 브리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06 0
5648 카방 “자동차 이전등록 시 의무보험 가입 필수” 소화기 증정 이벤트 진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99 0
5647 보안이 필요한 중요문서, 안전하게 전송할 땐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60 0
5646 [리뷰] ‘무난히 좋은 노트북’의 미덕, 에이수스 비보북 S16(M3607KA)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9910 2
5645 [생활 속 IT] “범죄 악용 NO” 안전하게 지하철 물품 보관하려면 또타라커 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944 1
5644 [투자를IT다] 2025년 7월 5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443 1
5643 [농업이IT(잇)다] 그린씨드 “유통 관리 플랫폼으로 생산부터 유통까지 데이터 기반 농업 구축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13 0
5642 [크립토퀵서치] 거래소의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7518 1
5641 [리뷰] AI·고연산 처리에 최적,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998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52 0
5640 유튜브는 왜 인급동을 없앴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3748 1
5639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모먼트컬처, 통합형 전시 기술로 미디어아트 새 역사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75 0
5638 [생성 AI 길라잡이] 교사들이 직접 만든 생성 AI 기반 교육 플랫폼 ‘우리 아이(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83 0
5637 “AI 반도체는 GPU 대안 아닌 새로운 방향··· 메모리 접근해 LPU 차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74 0
5636 [스케일업] 릿툰 [1] 도영민 대표 “서비스 시작 전,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구축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47 0
5635 [스케일업] 퍼슬리 [1] 케어닥 “사업의 도구와 본질 구분하고, 성장 단계별 목표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33 0
5634 [서울과기대 초창패 2025] 하이퍼센트 “백룸 시리즈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도전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63 0
5633 [KIDP 울산] 클로이수 “우리의 칠보, 세계인 사로잡을 ‘K럭셔리’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50 0
5632 틱톡 “이용자 신뢰·안전 위해 2조 7600억 원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67 0
5631 [주간스타트업동향] 펴다, 투자 경진대회 '공명전' 최종 우승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5426 0
5630 [스케일업] 우트 [1] 매드해터 "사업 방향은 명확하게, 브랜드·마케팅은 집요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68 0
5629 “비트코인 ETF, 명확한 제도적 기반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311 1
5628 사람마다 다른 車 보험료...절감하는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434 0
5627 [리뷰] 가장 진화한 NAS용 HDD, 웨스턴디지털 WD Red Pro 26TB HD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9 330 0
뉴스 가수 빈(VIN), ‘화려한 날들’ OST part.1 ‘별처럼 수없이 빛나는’ 7일 오후 6시 발매 디시트렌드 08.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