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4 가상자산 시장 전망 “제도권 편입 기대감으로 강세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22 17:04:39
조회 704 추천 0 댓글 5
[IT동아 한만혁 기자] 2024년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과 반감기, 제도권 편입, 블록체인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시세 상승은 물론 산업 전반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코빗 리서치센터는 “2024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올해 1조 6000억 달러(약 2088조 원)에서 4조 5000억 달러(약 5874조 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쟁글은 “2022년부터 시작된 크립토윈터(가상자산 침체기)가 끝나고 봄이 올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2024년 가상자산 시장은 긍정적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 출처=셔터스톡


코빗 리서치센터 “가상자산 쓰임새 확대가 강세장 이끌 것”


코빗 리서치센터는 ‘2024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리포트를 통해 가상자산의 쓰임새 확대가 가상자산 시세 상승과 사회적 인식 개선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리서치센터는 ▲비트코인 현물 EFT 상장을 통한 새로운 투자 수단 지위 확보 ▲남미,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지역 국가에서 법정화폐로 수용 및 정부 기관 투자자산으로 편입 등 가상자산 쓰임새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통해 제도권 자금 유입이 가속화되고 가상자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개선되면서 가상자산 전체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가상자산 시가총액의 경우 4조 5000억~5조 달러(약 5874조~6527조 원) 구간으로, 12월 기준 1조 6000억 달러(약 2088조 원) 대비 3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계획과 가상자산 현물 ETF 상장 가능성, 비트코인 반감기, 제도권 자금 유입이 그 근거다.

또한 내년 상반기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가 모두 출시될 것으로 예상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 경우 아크인베스트먼트와 21쉐어스가 제출한 신청서 최종 승인 기한이 2024년 1월 10일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늦어도 1월 초에는 결정해야 한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이더리움 현물 ETF도 승인될 전망이다. 행정절차법에 따라 일관성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신청된 이더리움 현물 ETF 7개 중 최종 승인 기한이 가장 빠른 것은 5월 23일이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가상자산 쓰임새가 확대되며 시세 상승과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 출처=코빗



이와 함께 리서치센터는 2024년 주목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실물자산토큰(RWA)를 지목했다. RWA는 실물 자산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토큰화한 것으로, 접근성이 낮은 채권, 부동산, 미술품 등의 자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거래 소요 시간을 줄여 거래 효율성을 높인다. 리서치센터는 금융기관 주도의 기관 자금 유입과 가상자산 산업 내 RWA 수요 증가로 RWA가 본격 성장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에 따른 변화도 예측했다.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가상자산을 제도권 안에서 규율하려는 각국 정부의 노력은 이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회색 지대의 활동은 축소되는 대신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소는 반사이익을 볼 전망이다. 새롭게 유입되는 기관 투자자의 경우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소를 선호한다는 것이 그 이유다. 가상자산 역시 마찬가지다. 가상자산 가치를 미래의 시세 상승 기대감이 아닌 실질적인 가치에 따라 산정하게 되면서 거품이 빠지고 옥석이 가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쟁글 “겨울 지나고 봄이 온다”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쟁글은 연간 전망 리포트 '2024 크립토 아웃룩’을 통해 2022년부터 시작된 크립토윈터가 끝나고 상승장의 초석을 마련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쟁글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되는 미국의 금리 인하 정책으로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반감기 등 단발성 호재, 기관투자자 중심의 신규 자금 유입 등으로 시세가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쟁글은 크립토윈터가 끝나고 봄이 올 것으로 전망한다 / 출처=쟁글



가상자산 산업도 눈에 띄게 발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국회를 통과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사업 기회가 확장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규제를 통해 시장 유동성이 확대되면서 대중의 인식도 변할 것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규 프로젝트가 나올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 인프라가 발전하면서 블록체인 게임, 디파이, 대체불가토큰(NFT) 등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유의미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 가상자산 법제화, 기업의 활발한 도입 등으로 블록체인 서비스의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기점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해외에서도 긍정적인 전망


해외에서도 비슷한 반응이다.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공동 창업자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은 수요 폭발을 이끌 중요한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2024년은 가상자산 강세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역시 “가상자산 시장은 이미 크립토윈터를 벗어났다”라며 “반감기, 미국 금리정책 등으로 시세 상승이 예상되며 기관투자자 유입으로 전례 없는 시장 재편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는 “시장 주기, 네트워크 활동, 반감기 등 여러 데이터가 강세장에 있음을 나타낸다”라며 “내년 비트코인은 강세장 속에서 궁극적으로 16만 달러(약 2억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4년은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으로 관련 산업이 한층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 출처=셔터스톡


핵심은 제도권 편입


2024년 가상자산 산업 전망은 예년과 사뭇 다른 분위기다. 물론 이전에도 낙관적인 전망은 있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확신에 찬 기대감은 아니었다. 이는 일상과는 거리가 있는 제안이나 막연한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가 아닌, 가상자산 제도 확립, 현물 ETF 승인 등 실질적인 가치와 가시적인 근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 이슈는 단순히 가상자산 시세 상승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인식 개선과 전반적인 생태계 발전에도 충분히 기여할 수 있는 요소다. 물론 그 과정에서 일부 부실 프로젝트 퇴출로 인해 일시적인 정체가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를 통해 가상자산 산업이 안정적으로 제도권에 편입되면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점이다. 2024년은 본격적인 제도권 편입으로 가상자산 산업이 한층 발전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글 /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시행령의 7가지 포인트▶ KISA, K-BTF 내년 도입 ‘경제성·호환성·편의성에 초점’▶ DAXA, 불법 영업 가상자산 사업자 신고 창구 개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373 [리뷰] 가성비 좋은 올인원 로봇청소기, 아이리버 에이클 INS-20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123 0
3372 벤츠, 완전변경 ‘더 뉴 E클래스’ 출시…”올해 韓 시장에 신차 9종 투입”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4537 5
3371 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 예약 판매, 판매처별 혜택은?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1246 3
3370 [스타트업 법률실무 마스터링] 연재를 시작하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9 103 0
3369 [월간자동차] 23년 12월, 신차·중고차 판매량 다시 감소세...BMW 5시리즈 수입차 1위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429 0
3368 [KTVF] 딜리버리랩 “저렴한 식자재 구매와 배송, 오더히어로에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119 0
3367 삼성전자 갤럭시 S24 시리즈 첫 공개, 핵심 키워드는 ‘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138 0
3366 '게이머는 안중에 없는 듯···' 또 라인업 꼬인 엔비디아 RTX 40 시리즈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1878 6
3365 삼성전자 갤럭시 S24 vs S23, 차이와 특징 한 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185 0
3364 [IT애정남] 업데이트 중단된 순정 내비게이션, 어쩌죠?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1131 3
3363 통증 적고 치아 위생 관리에 유리한 ‘투명 교정 장치’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8 2487 3
3362 루악오디오, 100시리즈 출시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08 1
3361 [시승기] 토요타가 국내에 처음 선보인 7인승 하이브리드 SUV…‘하이랜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29 0
3360 퀄컴, CES 2024서 AI 기반 모빌리티 산업 미래 선보여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907 1
3359 실패했던 UMPC 시장, ‘게임기’로 부활 ‘꿈틀’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7 1329 1
3358 [EV 시대] 떠오르는 전기차 개조 기술과 지속가능성의 확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102 0
3357 소니, 애플 비전 프로와 겨룰 ‘몰입형 공간 콘텐츠 제작 시스템’ 공개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506 2
3356 [CES 2024] 역대 최대 규모로 마무리된 CES··· '2% 아쉬움' 남긴 대한민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265 0
3355 2016년형 차량까지? 현대∙기아 내비 업데이트 ‘무더기’ 중단 예고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1252 9
335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크리모 “스마트 토이, 교육에서 디지털 치료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40 0
3353 [신차공개] 지프, 더 뉴 2024 랭글러·토요타, 5세대 프리우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08 0
3352 [주간투자동향] 어니스트펀드, 5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90 0
3351 PC로 스마트폰을 제어하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032 1
3350 [리뷰] 넷기어 프로 라우터 PR60X, 네트워크 복잡성과 보안위협 대응하는 올인원 솔루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471 0
3349 [CES 2024] 전기차 시대 준비하는 소재·부품·에너지 기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09 0
3348 [리뷰] QLED+144Hz 게이밍 TV의 매력, 2024년형 더함 스마트 65 Q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45 0
3347 신진영 건국대학교병원 교수 “고령환자 DB, 질병 예방 시대 마중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867 1
3346 [CES 2024] BMW 첨단 기술 집약한 CES 체험존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00 0
3345 [리뷰] 크기는 줄이고 청소 성능은 높였다, 에코백스 디봇 X2 옴니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831 0
3344 [CES 2024] 현대차·기아, ‘수소·SW 중심·맞춤형 PBV 활용’ 청사진 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24 0
3343 [CES 2024] CES 달군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기업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63 0
3342 [CES 2024] 새 시장 만드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가전들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294 0
3341 SEC,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투자자 유입 기대감에 시세 급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99 0
3340 [CES 2024] IFEZ 홍보관 전시한 인천시, '세계 초일류 스마트시티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94 0
3339 펫나우 반려견 비문인증, 보험료 할인 열쇠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2842 1
3338 [CES 2024] 제이디솔루션 “지향성 음향 보급 원년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96 0
3337 [CES 2024] IT 기자가 본 '디지털 헬스'의 4가지 트렌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64 0
3336 [마인드테크 시대가 온다] 7. 마인드테크의 주요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50 0
3335 [CES 2024] 국내 주요 대기업 부스에 전 세계인 시선 몰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258 0
3334 [CES 2024] 스타트업의 요람 '유레카 파크', 한국 기업 참여 현황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54 1
3333 [KTVF] 뉴로클 이홍석 대표, “우리는 딥러닝계의 어도비를 꿈꿉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439 0
3332 [CES 2024] MSI, ‘크리에이터·비즈니스 사용자 겨냥’ 신제품 CES서 선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88 0
3331 인텔 프로세서 브랜드, ‘코어 i’에서 ‘코어 울트라’, ‘코어’로 개편 본격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36 0
3330 [CES 2024] MSI, CES서 인텔 최신 CPU 탑재 ‘신작 게이밍 라인업’ 대거 공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823 0
3329 [CES 2024] 인텔, 소비자용 AI 칩부터 차량용 솔루션까지 대거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694 0
3328 [CES 2024] CTA가 추구하는 스타트업 트렌드는 'AI·디지털 헬스·푸드테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21 0
3327 [CES 2024] 뷰티기업 로레알은 어떻게 CES의 중심에 섰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519 0
3326 [CES 2024] MSI 첫 고성능 휴대용 게임기 ‘클로’ CES서 데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04 0
33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이센 “센서·헬스케어로 모두가 아프지 않도록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95 0
3324 [CES 2024] LG, '애정있는 AI' 앞세워 소비자 경험 끌어올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