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EV 시대] 전기자동차와 디자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2.05 17:08:27
조회 655 추천 1 댓글 1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전동화 전환에 속도가 붙으면서 자동차 엔진과 소재, 부품뿐만 아니라 연료를 채우는 방식까지 기존과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무수한 의문점이 생겨납니다. 이에 IT동아는 전기차의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살펴보는 ‘EV(Electric Vehicle) 시대’ 기고를 격주로 연재합니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1885년 다임러 벤츠에 의해 발명된 페이턴트 모터바겐 (Patent Motorwagen)은 당시 말이나 소를 동력원으로 삼아 수동으로 움직이던 이동 수단에서 스스로 움직이는 수레인 자동차의 등장을 알렸습니다. 이후 포드자동차를 설립한 헨리 포드의 모델T를 통해 이동 수단의 대중화를 거쳐 모터리제이션(Motorization)을 이룩하며 자동차는 현대 문명의 발전을 이끌어 왔습니다.

이렇듯 성장을 거듭한 자동차 산업은 최근 급격한 변화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공유경제, ICT의 발전 및 친환경, 지속가능성 등이 촉발한 사용자 중심의 이동 경험과 모빌리티 영역의 확장이라는 변화입니다.


목적 기반 자동차의 종류 / 출처=카누



이동의 자유, 친환경, 지속가능성 등 주요 가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비전과 방향성을 내포한 모빌리티들이 매년 초 미국 CES를 비롯해 전 세계 주요 모터쇼를 통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미래의 비전을 보여주는 컨셉트카는 물론,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까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통적인 변화 중 하나는 단연코 동력원의 전동화일 것입니다.


출처=엔바토엘리먼츠



기존 디젤과 휘발유 등의 화석연료를 동력원으로 삼은 내연기관의 시대가 저물고,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차가 내포하는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인 배기가스 배출 문제를 해결하며, 미래 모빌리티가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 등 다양한 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최근 등장한 것 같은 전기차의 역사는 사실 오래됐습니다. 최초의 양산형 전기차는 1884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개발됐으니, 앞서 언급한 내연기관 자동차인 ‘페이턴트 모터바겐’보다 1년 앞선 셈입니다.

하지만 내연기관의 급속한 발전에 비해, 전기자동차는 핵심요소인 모터와 배터리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탓에 발전이 더뎠습니다. 그러다가 최근 배터리, 모터 등 주요 핵심기술의 발전을 통해 전기자동차는 수년 전부터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간 전기자동차의 낮은 배터리 효율과 대중성의 결여로 디자인의 발전 또한 상대적으로 더뎠습니다. 유럽의 경우에도 우유배달 및 도심의 출퇴근용도로 전기자동차가 제한적으로 개발, 운영됐습니다. 1974년 등장한 세브링 뱅가드(Sebring Vanguard Citicar)가 단적인 예입니다.


세브링 뱅가드 시티카 / 출처=위키피디아



당시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 플랫폼에 배터리와 모터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개발됐습니다. 현재 우리가 보는 테슬라의 모델3나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5와 같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으로 공간 활용성을 높인 패키지 디자인이 아니었으므로, 전동화의 장점을 전혀 살리지 못한 테스트 개념의 차량이었습니다. 당시 전기자동차의 디자인적 가치와 차별성을 논하기 어려운 이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이어져 왔습니다. 1990년대에 등장한 GM의 EV-1은, 유선형의 디자인 컨셉을 중심으로, 후면부 차폭을 전면부보다 좁게 설계한 패키지를 비롯,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효율성을 높인 상징적인 차량이었습니다.


제너럴 모터스 EV-1 / 출처=위키피디아



전기자동차의 특성상 냉각을 위한 전면부 라디에이터 그릴이 사라짐에 따라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과는 확연히 다른 디자인을 보여주었으며, 유선형 디자인이 주를 이루는 디자인 컨셉은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주행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을 이유로 시장에서 퇴출당했습니다. 이후 내연기관과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거쳐, 닛산자동차의 리프(Leaf), BMW의 i3, i8과 같은 최신 전기자동차들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다양한 제조사의 전기자동차 중 닛산의 리프와 BMW의 i브랜드 차량은 새롭게 정의되어가는 전기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닛산 리프와 같이 그릴이 필요 없는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헤드램프 주변을 말끔하게 정리한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제시하는 차량이 있는 반면, BMW의 경우처럼 전기차 특성상 엔진 냉각을 위한 그릴이 필요 없음에도, 막힌 형태로 그릴의 형상만을 유지하며 내연기관 시절부터 이어져 온 디자인 정체성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간 쌓아온 헤리티지를 전기차에서도 이어가고자 하는 각사의 디자인 전략을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제조사에서 만들어내는 전기자동차는 전용 플랫폼을 바탕으로 제작됩니다. 기존의 내연기관 기반 차량의 패키지인 전면부 엔진, 중간에 위치한 탑승공간, 후면부 연료탱크 및 적재 공간으로 구성된 3박스 패키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전면부에 위치한 모터 및 구동계, 바닥에 위치한 배터리로 이뤄진 패키지를 통해 전·후륜 축간거리(휠베이스)를 길게 뽑아 상대적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하며, 거주성과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차량 시트 배열 예시 / 출처=카누



앞으로 우리가 마주할 미래의 모빌리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터 및 배터리 등의 구동계가 차량 바닥에 위치하고, 거주공간은 목적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목적기반 모빌리티 (PBV)로 진화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한 박스형의 모빌리티가 주된 디자인 방향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외관디자인의 스타일링 및 조형성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에서, 사용자 중심 공간 구성 및 활용성, 그리고 확장된 이동 영역과 경험 제공 등을 주요 가치로 새롭게 자동차 디자인이 재정립되고 있습니다.

※ [EV 시대]는 2024년 새해부터 다시 연재됩니다.

글/ 노재승 국민대학교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


노재승 교수는 영국 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에서 디자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이자 휴머나이징 모빌리티 디자인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정리 / IT동아 김동진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EV 시대]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화는 왜 필요할까요?▶ 개조부터 구독까지…전기차 활용 범위 확대의 배경 ‘버츄얼 트윈·클라우드’▶ [EV 시대] 전기차 전용 타이어 상용화 현황 살펴보니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3355 2016년형 차량까지? 현대∙기아 내비 업데이트 ‘무더기’ 중단 예고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1254 9
335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크리모 “스마트 토이, 교육에서 디지털 치료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6 342 0
3353 [신차공개] 지프, 더 뉴 2024 랭글러·토요타, 5세대 프리우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10 0
3352 [주간투자동향] 어니스트펀드, 5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92 0
3351 PC로 스마트폰을 제어하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1040 1
3350 [리뷰] 넷기어 프로 라우터 PR60X, 네트워크 복잡성과 보안위협 대응하는 올인원 솔루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473 0
3349 [CES 2024] 전기차 시대 준비하는 소재·부품·에너지 기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13 0
3348 [리뷰] QLED+144Hz 게이밍 TV의 매력, 2024년형 더함 스마트 65 Q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50 0
3347 신진영 건국대학교병원 교수 “고령환자 DB, 질병 예방 시대 마중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870 1
3346 [CES 2024] BMW 첨단 기술 집약한 CES 체험존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00 0
3345 [리뷰] 크기는 줄이고 청소 성능은 높였다, 에코백스 디봇 X2 옴니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834 0
3344 [CES 2024] 현대차·기아, ‘수소·SW 중심·맞춤형 PBV 활용’ 청사진 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26 0
3343 [CES 2024] CES 달군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기업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64 0
3342 [CES 2024] 새 시장 만드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가전들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298 0
3341 SEC,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투자자 유입 기대감에 시세 급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2 101 0
3340 [CES 2024] IFEZ 홍보관 전시한 인천시, '세계 초일류 스마트시티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95 0
3339 펫나우 반려견 비문인증, 보험료 할인 열쇠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2845 1
3338 [CES 2024] 제이디솔루션 “지향성 음향 보급 원년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97 0
3337 [CES 2024] IT 기자가 본 '디지털 헬스'의 4가지 트렌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66 0
3336 [마인드테크 시대가 온다] 7. 마인드테크의 주요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50 0
3335 [CES 2024] 국내 주요 대기업 부스에 전 세계인 시선 몰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260 0
3334 [CES 2024] 스타트업의 요람 '유레카 파크', 한국 기업 참여 현황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55 1
3333 [KTVF] 뉴로클 이홍석 대표, “우리는 딥러닝계의 어도비를 꿈꿉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439 0
3332 [CES 2024] MSI, ‘크리에이터·비즈니스 사용자 겨냥’ 신제품 CES서 선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89 0
3331 인텔 프로세서 브랜드, ‘코어 i’에서 ‘코어 울트라’, ‘코어’로 개편 본격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37 0
3330 [CES 2024] MSI, CES서 인텔 최신 CPU 탑재 ‘신작 게이밍 라인업’ 대거 공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826 0
3329 [CES 2024] 인텔, 소비자용 AI 칩부터 차량용 솔루션까지 대거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696 0
3328 [CES 2024] CTA가 추구하는 스타트업 트렌드는 'AI·디지털 헬스·푸드테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122 0
3327 [CES 2024] 뷰티기업 로레알은 어떻게 CES의 중심에 섰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0 523 0
3326 [CES 2024] MSI 첫 고성능 휴대용 게임기 ‘클로’ CES서 데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05 0
33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이센 “센서·헬스케어로 모두가 아프지 않도록 관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96 0
3324 [CES 2024] LG, '애정있는 AI' 앞세워 소비자 경험 끌어올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77 0
3323 다음주 공개될 갤럭시 S24, AP와 AI가 관전포인트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1024 2
3322 캐릭터·일러스트 작가 “나의 이야기 담은 ‘내 것’을 만들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88 0
3321 [CES 2024] CES 전야제 '언베일드'에 참가한 국내 기업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377 0
3320 가상자산법 규제 공백 존재, 가이드라인·하위규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9 75 0
3319 지향성·공간·입체…첨단 음향 기술 CES 달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19 0
3318 보낸 문자, 카카오톡, 이메일 회수하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1440 0
3317 [CES 2024] CTA가 선정한 올해 IT 업계의 6가지 유행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8 878 0
3316 [리뷰] 최상위급 스펙에 개성까지, 에이수스 제피러스 M16 게이밍 노트북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4195 1
3315 [시승기] 돋보이는 정숙성과 효율…혼다 6세대 CR-V 하이브리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24 0
3314 2024 스마트폰에 탑재될 인공지능은?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988 1
3313 [CES 2024] 기조연설부터 세션, 전시까지 'AI'가 대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68 0
3312 가상자산 회계처리 감독지침 시행 ‘가상자산 회계·공시 규율 강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807 0
3311 [주간투자동향] 클로봇, 110억 원 규모의 프리-IPO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67 0
3310 이기욱 중앙대 교수 “100m 7초 주파 로봇슈트 위해 각 분야 전문가가 협력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126 0
3309 새해 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 살펴보니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4 564 0
3308 [IT애정남] 겨울철 스마트폰 배터리 소모가 빠른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4 123 0
3307 [CES 2024] 개막 전 짚어보는 올해 '테크 트렌드'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4 902 0
3306 [뉴스줌인] 튀어야 팔리는 게이밍 PC 시장, 4K 화면 달린 PC케이스 등장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4 1590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