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하이퍼클로바X, 기술이 아닌 서비스로 발전시켜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8.29 17:41:51
조회 153 추천 0 댓글 1
[IT동아 권명관 기자] 지난 8월 24일, 네이버가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한 팀네이버의 기술 방향성과 사업 전략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DAN 23’을 개최했다. 네이버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와 이를 바탕으로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 생성형 AI 검색 ‘큐(CUE):’를 소개했다.

이날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네이버는 다양한 AI 기반의 추천 기술들을 검색, 쇼핑, 예약, 리뷰, UGC(User Created Contents), 지도, 동영상 등의 영역에 적용하며 기술을 고도화했고, 사용성을 강화했다”라며, “사용자에 대한 이해, 서비스 운영 노하우, 기술 역량 등을 하이퍼클로바X 경쟁력 강화에 활용했다”라고 말했다.


출처=네이버



이어서 그는 “생성형 AI와 이를 활용한 기술 프로덕트의 중심에는 사용자와 판매자, 창작자의 경쟁력 향상에 있다.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장하며, 다시 플랫폼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다. 하이퍼클로바X는 이러한 위닝루프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성형 AI에 주목하고 있는 현재


하이퍼클로버X와 같은 생성형 AI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의 기존 콘텐츠를 활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새로 만들어내는 AI 기술이다. 기존 AI는 데이터와 패턴을 학습하고 분석해 이해하는데 집중했다면, 생성형 AI는 새로운 창작물을 탄생시키는 것이 큰 차이다. 기폭제는 지난 2022년 11월 오픈AI(OpenAI)가 선보인 ‘ChatGPT(챗GPT)’다.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결에서 승리하며 대중에게 충격을 줬다면, 챗GPT는 사람들이 AI와 ‘직접 대화할 수 있다’는 경험에서 열풍을 일으켰다.


챗GPT 사용 예시 / 출처=IT동아



사람이 컴퓨터에 입력한 문장을 인식해 마치 사람처럼 답변하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인 챗GPT는 출시 2개월만에 1억 명의 이용자를 모으며 신드롬을 일으켰다. 올해 3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AI 산업의 아이폰 모먼트가 시작됐다”라고 말하며, 아이폰이 스마트폰과 모바일 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연 것에 비유하기도 했다.

실제로 챗GPT를 필두로 전 세계 빅테크 기업과 스타트업, 넓게는 정부 차원에서 LLM 중심의 AI 개발과 관련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마이크로소프트(챗GPT), 구글(LAMDA)을 비롯해 메타(LLAMA), 아마존(Tiran Text), 세일즈포스(Private AI model), 앤트로픽AI(Claude), 바이두(ERNIE), 알리바바(M6), 텐센트(Hunyuan), 화웨이(Pangu-α) 등이 대표적이다.


챗GPT 이후 생성형 AI 모델 출시 현황 / 출처=SPRi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생성형 AI, 서비스로 나서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


챗GPT는 ‘마치 사람처럼’ 대화하는 AI라는 점과 일반 대중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이끌었다. 이러한 관심에는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답’에 가까운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포함된다. 대학생이 과제로 받은 레포트를 챗GPT 답변 그대로 작성해 A+를 받았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예술, 작문, 소프트웨어 개발, 의료, 금융, 게이밍, 마케팅, 패션 등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표현하는 이유다.

다만, 생성형 AI가 내놓은 답변을 ‘100%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측면에서 풀어야 할 숙제는 남아 있다. 생성형 AI는 어디까지나 데이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정치적 변수나 윤리적 문제 등 여전히 갈 길은 멀다. 틀린 내용도 사실처럼 답변하는 특성도 풀어야 한다. 구글 바드 사태처럼 생성형 AI의 한계로 꼽히는 할루시네이션(환각 현상)이다. AI가 거짓말을 진실처럼 답변하는 현상은 치명적인 약점 중 하나다.

수많은 기업과 정부, 기관 등이 생성형 AI에 도전하고 있지만, 아직 연구개발하는 단계라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기술 수준을 넘어야 한다. 기술을 통해 어떻게 사업화하고, 기존 서비스와 어떻게 성공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지 설득력을 가져야 한다. 애플이 아이폰 출시와 함께 구축한 앱 생태계에 ‘킬러 앱’처럼 말이다. 챗GPT를 만든 샘 알트란 오픈AI CEO도 “아직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하지 못했다”라고 말한다. 기술이 아닌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완성된 서비스가 필요하다.


DAN 23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는 성낙호 네이버 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총괄 / 출처=네이버



네이버가 지난 컨퍼런스에서 하이퍼클로바X 설명 이후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와 오는 9월 선보일 생성형 AI 검색 ‘큐(CUE):’를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 클로바X는 창작, 요약, 추론, 번역, 코딩 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형 AI 서비스다. 챗GPT와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챗GPT와 유사한 생성형 AI에서 풀어야 할 숙제도 그대로 이어 받는다.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CUE):’도 마찬가지다. 네이버는 복합적인 의도를 포함한 복잡하고 긴 질의를 이해하고, 답변 생성에 필요한 신뢰도 있는 정보를 활용해 입체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풀어보면 ‘정보’, 즉 신뢰도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색을 강화하려는 시도다. 선례는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빙(bing) 서치’에 검색 강화를 기대하며 챗GPT를 탑재해 빙챗 GPT를 선보였지만, 기대할만한 방문자 수 증가는 기록하지 못했다. 기술과 서비스를 연결하더라도 계획한대로 풀어갈 수 있을지는 꺼내봐야 안다.


출처=네이버



네이버가 컨퍼런스에서 소개한 생성형 AI를 이용해 판매자가 사업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 창작자가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글쓰기 도구 ‘클로바 for Writing’, 광고주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의 광고 상품인 ‘클로바 for AD’ 등도 마찬가지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꿈을 꾼다”라며, “생성형AI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도 마쳤다”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국어에 최적화했다는 네이버의 생성형 AI에 대한 자신감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지켜 볼 일이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메타도 이르면 내달 챗봇 출시'…불붙는 빅테크 AI 경쟁▶ [뉴스줌인] 생성형 AI가 바꾸고 있는 일상▶ 실검 부활하나? 네이버·카카오 “실검과 다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029 [IT신상공개] 구글, 텐서 G3 탑재 스마트폰 ‘픽셀 8 프로·픽셀 8’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5 477 0
3028 [주간투자동향] 스카이랩스, 207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86 0
3027 대화형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기반, 대형 언어 모델(LLM)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753 1
3026 예비창업자를 위한 생활업종 통계 '지역별·업종별 정보 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95 0
3025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광개토대왕함 살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99 0
3024 [스타트업-ing] (주)로드맵 조은비 대표 “주차장 빈 곳을 실시간으로 찾아드립니다”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4 773 2
3023 [리뷰] 필름 카메라 향수 돋우는 미러리스 카메라, 니콘 Z f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3 460 0
3022 CPU 쿨러, 외형보다 CPU 규격에 맞춰 골라야 [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3 5686 6
3021 퀄컴, 증강·확장현실 스냅드래곤으로 공간 컴퓨팅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02 116 0
3020 넷플릭스 이어 디즈니플러스도 빼어든 ‘계정 공유 금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9 1407 0
3019 그럼에도 유선 이어폰을 쓰는 이유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8 930 2
3018 [뉴스줌인] 돌아온 모토로라, 가성비 킹 '엣지40'으로 승부수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8 4009 13
3017 대기업 참여 늘어난 CVC, 전체 투자 시장에서 31% 차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8 137 0
3016 [서울형 R&D] 코어라인소프트 이재연 부사장 “CT 영상 속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7 147 0
3015 [농업이 IT(잇)다] 젤요 “맛·문화·영양 담은 젤라또와 디저트 전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7 145 0
3014 [IT신상공개] 젠하이저의 새로운 무선 헤드폰 ‘엑센텀’, 모멘텀4와의 차이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7 394 0
3013 [스케일업] 지엠씨랩스 [3] 패스파인더넷 “하나의 길을 선택하고 집중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7 135 0
3012 다해줘테크 “상생과 혁신 품은 OA기기 렌탈 플랫폼”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6 134 0
3011 가상자산 거래소, 거래 환경 개선 등 내실 다지기에 집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6 566 0
3010 추석 연휴 최장 6일··· 알아두면 좋은 '의료·반려동물·교통·통신 대책'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6 945 2
3009 [뉴스줌인] 에이수스의 프리미엄급 크롬북, 기존 편견 넘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147 0
3008 AI 독주 노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1에 '코파일럿' 도입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510 2
3007 에너지 프로슈머, 전기를 직접 생산하고 소비하며 판매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127 0
3006 [스타트업人] 건설 근로자와 숨쉬는 금융, 웍스메이트 '핀테크 개발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118 0
3005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소록 백업·복원하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273 0
3004 옐토 "브랜드·캐릭터 통해 장애인 인식 개선에 기여한다"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114 0
3003 [스케일업] 내일의쓰임, 옐토, 챕터서울, 케어포유 “좋은 기회였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5 113 0
3002 창립 50주년 마크레빈슨 '하이파이 오디오 시장 개척한 브랜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4540 0
3001 AI법, “고위험 영역 조정하고 저작권침해 면책해줘야” [7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4641 10
3000 유용한 생성형 AI, 어떤 것들이 있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166 0
2999 [르포] '반 세기 걸친 혁신의 역사 한 눈에···' 인텔 본사 박물관 가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124 0
2998 [스케일업] 반프 [2] 패스파인더넷 “대표는 내부 구성원에게 솔직해야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123 0
2997 [농업이 IT(잇)다] 제로나인메트리얼 “삶의 질 높일 LED·PBM 선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2 627 0
2996 [스타트업人] 디지포레 이현진 책임 “메타버스 속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1 169 0
2995 탄소중립의 핵심 ‘탄소포집’, 무르익는 글로벌 시장[K비즈니스 가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1 111 0
2994 스페이스앤빈, 전자파와 방사선을 막아내는 ‘스쿠텀’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1 509 3
2993 "퓨리오사AI의 개발 철학, 핵심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유기적 결합입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1 542 0
2992 케어포유 "반려동물이 편히 쉴 수 있는 공간, 케어펫 뮤트"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1 115 0
2991 [IT하는법] 어르신들도 안심? 전화 통화와 대중교통 안내를 원터치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432 0
2990 [스타트업리뷰] 초지향 스피커 시대 열 제이디솔루션 ‘브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115 0
2989 [IT신상공개] 필름 카메라 FM2 감성 잇는 미러리스 '니콘 ZF'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1049 3
2988 인텔, 2024년 20A 넘어 18A까지 도전··· '반도체 주도권 미국으로'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20 1711 3
2987 웍스앤피플 “K팝 댄스 업계의 ‘배민’ 꿈꾼다”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113 0
2986 ESG 간편시작, 칼렛바이오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스타트업리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100 0
2985 AMD·엔비디아도 밀고있는 반도체 기술, '칩렛'이란?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1376 10
2984 [IT애정남] 간편하게 동영상 자르고 붙이는 방법 알려주세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551 1
2983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제조 창업 도전자에게 우리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달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19 0
2982 [스케일업] 위닝아이 [2] 서울대기술지주 “글로벌 진출, 혼자 아닌 협업으로 풀어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12 0
2981 [IT신상공개] 35mm 센서·L 마운트 무장한 ‘블랙매직 시네마 카메라 6K’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493 0
2980 [주간투자동향] 이그니스, 348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2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