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돌려차기남 신상공개한 유튜버 근황........jpg ㅇㅇ
- 싱글벙글 당신의 가장 부끄러웠던 딸딸이 대상은? Rathburn
- 정보 부족, 희귀한 백설곰치(Gymnothorax prion)을 만나다. 기수어빌런
- 스압) 아츠코로 부코 다녀온 후기 ㅇㅇ
- 여시)부천역bj폭행반응+공감안해줘서정떨+현남친버리고전남친환승하고파 실시간기자
정찰위성으로 함선 추적이 불가능한 이유
보통 위성으로 바다를 감시하면 이렇게 배가 잘 보일거라고 착각하는데현실은 이렇게 보임왜냐면 해상 광역 감시를 위해 촬영면적을 넓게 하면 필연적으로 해상도가 씹창나거든전체 위성사진은 이렇게 생겼음 (용량초과로 리사이즈한 사진임)이건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소형 SAR 위성군을 보유한 핀란드 ICEYE사에서 오만 만을 촬영한 100x100km 스캔모드 위성영상임전체사진으로 보면 망망대해밖에 안보이고 잔뜩 확대해야지 배가 간신히 작은 점으로 보일 정도로 넓은 영역임하지만 그렇게 넓은 100x100km 영역도 서해 바다에 비하면 이렇게 작은 일부분일 뿐임서해바다 전체를 커버하려면 이런 위성사진을 수십 번은 찍어야 하고, 다시말해 서해바다 전체에 대한 재방문주기도 수십배로 길어진단거임게다가 실제 중국이 커버해야 할 영역은 서해보다 수십 배는 넓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전체기 때문에 재방문주기는 다시 수십배로 더 길어짐당연히 재방문주기가 수십*수십 배나 길어지면 선박의 근실시간 추적은 물건너가는거지어차피 해상도가 낮아서 선박이 항모인지 화물선인지 식별도 못하니 당연히 선박 추적이 안되는거긴 한데, 그렇게까지 했는데도 재방문주기조차 만족못시키는게 오늘날의 현실임그래서 현실의 SAR 위성을 통한 선박 추적은 거의 항상 AIS 데이터와의 결합에 의존함선박이 AIS를 통해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알려주면 위성사진만 가지고 선박을 식별할 필요가 없어지고, 위성의 재방문주기가 길어져도 추적에 영향이 적어지니까물론 촬영면적 문제로 근실시간 추적은 당연히 못하고 수시간~수일마다 위치를 추적하는 정도만 가능함당연히 군함이 유사시에 AIS를 켜고 다닐 가능성은 거의 없고 따라서 군함을 위성으로 추적하는건 사실상 불가능할수밖에 없음그나마 최선은 위성뿐만이 아니라 다른 정찰수단도 포함해서 최대한 다양한 정찰수단을 복합적으로 운용해 군함의 추적을 시도하는건데, 그렇게 해도 결국 어려운 일이고 상당한 기술과 운빨이 있어야만 성공할 수 있음그래도 어떻게든 추적에 성공하기만 하면 찾아낸 군함을 격침시키는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니 당하는 입장에선 무시하기 어려운 위협인건 사실 번외로 지금까지 SAR 위성만 열심히 이야기하고 광학위성은 이야기 안한 이유는광학위성으로 바다를 찍으면 높은 확률로 구름밖에 안보이기 때문이다그래서 해상 선박 촬영은 기상에 영향안받는 SAR로 하는게 대부분임
작성자 : ㅇㅇ고정닉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