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넥슨에 데이브가 있다면, 웹젠엔 '르모어'가 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06 09:43:22
조회 310 추천 0 댓글 4
르모어: 인페스티드 킹덤 (사진제공: 웹젠)
🔼 르모어: 인페스티드 킹덤 (사진제공: 웹젠)

[게임메카=김인호 기자] 지난 10월 31일, 인디게임 개발사 블랙앵커 스튜디오에서 만든 르모어: 인페스티드 킹덤(REMORE: INFESTED KINGDOM, 이하 르모어)이 스팀과 에픽스토어에 앞서 해보기로 출시됐다. 장르는 턴제 전략 RPG로, 플레이어는 가상의 중세 땅에서 벌어진 재앙에서 살아남기 위해 모인 기사와 이방인, 대장장이 등을 조작하며 정해진 스테이지를 클리어해야 한다.

특히 르모어는 콘텐츠와 게임성이 독특하다는 평가와 함께 지난 2021년 글로벌 인디게임 제작 경진대회(GIGDC)에서 제작 부문 금상을 수상했다. 웹젠은 이런 르모어의 가능성을 보고 지난 3월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호불호가 갈리는 턴제 RPG 시장에 당당히 도전장을 내민 르모어가 과연 어떤 게임인지, 블랙앵커 스튜디오 정극민 대표와 이야기를 나눠봤다.

🔼 르모어: 인페스티드 킹덤 앞서 해보기 트레일러 (영상출처: 웹젠 공식 유튜브 채널)

Q. 지난 2020년 부산 인디커넥트 페스티벌(BIC)에서 최초 공개한 이후 3년 만에 앞서 해보기로 출시했다. 소감은?

최선을 다하긴 했지만 첫 시험을 받는 입장이다 보니 많이 긴장된다. 지금은 가능한 한 마음을 비우고 앞서 해보기 취지에 맞게 플레이어 피드백을 주의 깊게 듣고 난 뒤,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반영하자라는 목표만 생각하고 있다.

Q. 르모어를 개발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

직접적인 계기는 어떤 게임을 개발할까 고민하던 와중 2019년에 ‘좀비사이드(Zombicide)’라는 보드게임을 접한 것이 시작이었다. 보통의 턴제 게임들과 달리 정말 끝없이 쏟아지는 좀비들과 소수 생존자들의 대치라는 비대칭성에서 오는 재미, 소음이나 시야 같은 메커니즘을 활용해 여러 가지를 고민해야 하는 요소 등이 신선하다고 느껴졌다.

이후 좀비사이드의 '흑사병'이라는 중세 버전 확장팩을 접하면서 이런 게임을 꼭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까지 이어졌다. 마침 팀이 ‘배틀 브라더스(Battle Brothers)’ 같은 중세 배경 게임들을 즐기고 있기도 했고,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처럼 역사 배경의 좀비 아포칼립스에서 중세 냉병기로 싸우는 콘셉트가 매력적이라고 느껴졌다. 이런 중세와 턴제 요소들을 잘 살리면 기존 작품들과 다른 강점을 가진 게임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해 개발에 착수했다.

Q. 좀비사이드 외에도 영감을 받은 게임들이 있을까?

플레이어들이 직접 사용하는 무기나 액티브 스킬은 앞서 언급한 ‘배틀 브라더스’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중세 냉병기 전투의 맛을 가장 잘 살린 턴제 게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만, 캐릭터 스킬셋은 배틀 브라더스 같은 형태가 아닌, 엑스컴(X-COM) 시리즈 병과 별 특전 트리에 가까운 방향으로 구성했다.

이외에도 적들의 시야에 걸렸을 때 상대가 즉시 반응하는 시스템은 ‘인비저블 주식회사(Invisible Inc)’에서, 적을 밀고 당기는 방식의 전장 조작 요소는 ‘인투 더 브리치(Into the Breach)’에서 영향을 받았다. 더 열거하자면 끝이 없으니, 최대한 넓은 시야에서 유사 장르 게임의 장점들을 잘 엮으려 노력했다고 봐주시면 될 것 같다.

다양한 게임의 장점들을 모았다 (사진제공: 웹젠)
🔼 다양한 게임의 장점을 모았다 (사진제공: 웹젠)

Q. 그렇다면 르모어만의 특징은 뭐라고 생각하는지?

중세 아포칼립스 상황에 던져진 듯한 느낌을 주고 싶었고, 이를 위해 3가지 요소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첫 번째는 맵을 직접 탐사하고 운영하는 부분이다. 유사 장르 게임들이 보통 전투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르모어는 가려진 맵을 직접 수색해가며 음식이나 무기, 제작 재료 등을 파밍하는 시간이 많다. 이 과정에서 적에게 발각되지 않고 미리 유리한 위치를 찾아 놓거나, 아예 전투를 회피하는 등 자신만의 방식으로 스테이지를 공략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위협을 체감하는 부분이다. 조작 캐릭터는 3명이지만, 적은 첫 스테이지부터 4~5명 가량 몰려든다. 또한 플레이어 턴임에도 불구하고 달라 붙는 점이나, HP와 공격력이 상당히 강력한 점에서 아포칼립스 세계관다운 위협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 세 번째는 다양하고 강력한 해결 수단이다. 앞서 말한 위협만 있으면 게임으로서 가치가 없으니, 자신의 턴에 여러 번 공격을 가할 수 있는 행동력과 자유로운 무기 교체 시스템 등을 통해 성취감 있는 극복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Q. 전략 RPG에서 따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있을까?

아무래도 '전략’과 ‘전술’ 요소가 아닐까 싶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추상적인 단어들인데, 크게 3가지를 통해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내가 상대할 적과 해결 수단이 명확한 강점과 약점을 지녀야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다양한 선택지 제공과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 세 번째는 플레이어 선택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르모어에서는 자폭 특성을 지닌 ‘블리스터’라는 변종이나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14종 이상 무기, 고유 특성 등을 통해 전략·전술 요소를 담았다.

Q. 캐릭터 디자인 과정에서는 어떤 부분들을 주로 신경 썼는지?

르모어는 캐릭터 스프라이트 크기가 32x32 픽셀 사이즈로 굉장히 작은 편이다. 이에 해당 규격 하에서도 '편력기사', '민병대' 같은 캐릭터의 서사적 특징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캐릭터가 모든 무기를 장착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움직이거나 공격할 때 애니메이션이 어색하지 않도록 주의했고, 피격 시 혹은 빈사 상태에 빠졌을 때는 캐릭터 표정이 바뀌어 플레이어가 전투에 보다 몰입할 수 있도록 설정했다.

특히 적인 '변종'의 경우 인간과 곤충이 결합된 크리쳐라는 소재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레퍼런스를 탐색했다. 사망하면 소화액이 쏟아지는 부분이나 움직임이 날렵하고 공격을 받으면 도망간다는 특징들이 배경과 잘 어우러지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캐릭터 디자인에도 많은 공이 들어갔다 (사진제공: 웹젠)
🔼 중세 분위기로 이루어진 캐릭터 디자인 (사진제공: 웹젠)

Q. 3개 난이도로 구성됐는데, 어떤 방법으로 난이도를 조절했는지?

먼저 게임의 난이도가 높은 것은 의도된 부분이다. ‘어려워서 힘들다’보다는 ‘시시하다’라고 느껴지는 것이 훨씬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렵지만 나에게 주어진 수단을 잘 살펴보면 충분히 해결할 수단이 있는 상황을 만들고, 이런 상황을 극복했을 때 느껴지는 성취감을 게임의 핵심으로 봤다.

이에 개발 과정에서도 난이도 자체를 직접 낮추는 것 보다는, 우리가 준비한 해결 수단을 플레이어가 왜 활용하지 못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봤다. 시작 무기 배치를 바꾼 것이나, 가이드의 추가 등은 이런 이유에서 적용된 변경사항이다. 이외에도 게임이 어렵다고 느껴지게 만드는 불필요한 요소들은 최대한 제거하거나 수정했다.

앞서 해보기 버전 비공개 테스트에서는 가장 낮은 난이도 '복수'가 약 4시간, 기본 난이도 '고행'이 약 5시간 30분 정도에 최종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장 높은 난이도 '절망'의 경우 고행에서 게임을 익힌 분들은 대체로 비슷한 시간이 걸렸지만, 첫 회차 플레이로 선택한 분들은 거의 8~10시간 이상 걸렸다.

Q. 지난 6월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도 참가했었다. 얻은 성과나 개선된 부분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린다

다행히도 반응이 좋아서 행사 당시 RPG 카테고리에서 접속자 수 8위를 기록하는 등 성과를 얻었다. 위시리스트(찜하기) 숫자도 큰 폭으로 늘었고, 디스코드 채널에서도 게임에 대한 질문과 피드백이 활발하게 오가는 등 소기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했다. 이때 앞서 해보기 출시를 준비해야겠다는 결심이 섰다.

그리고 얻은 피드백을 통해 편의성 부분에 많은 개선사항을 적용했다. 먼저 잦은 무기 교체가 재미있긴 하지만 자주 인벤토리를 열어야 해 불편하다는 피드백이 있어 무기 교체 퀵슬롯 UI를 추가했다. 또한 '갈고리'나 '방어벽' 같은 도구를 보다 쉽고 자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 횟수를 대폭 늘리거나, 스테이지가 끝난 뒤 자동으로 충전되는 '충전형 도구'로 교체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특정 플레이가 강제된다고 느끼지 않도록 ‘추적 스폰’, ‘돌멩이’ 등 별도 시스템을 추가했다.

개선된 편의성 (사진제공: 웹젠)
🔼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된 편의성 (사진제공: 웹젠)

Q. 단독 출시하지 않고 퍼블리셔와 협업한 이유가 궁금하다

사실 자금 때문에 이미 2021년 정도부터 단독 개발로 출시까지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그런 와중 '스컬(Skul)' 같은 작품의 성공으로 스팀 플랫폼 타깃의 인디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BIC나 GIGDC 등을 통해 많은 퍼블리셔 분들께 연락을 받을 수 있었다. 특히 웹젠은 대표님께서 직접 만나자고 말씀을 주신 유일한 퍼블리셔였으며, 국내뿐 아닌 해외 게이머를 대상으로도 ‘재미’가 본질인 PC·콘솔게임을 서비스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느껴 협업하게 됐다.

Q. 개발이나 BM 구조에서 웹젠이 관여한 부분은 없었나?

개발 부분에서는 100% 우리가 원하는 방향대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었다. 오히려 계약 이후에도 한 번 더 방향성을 크게 틀면서 목표했던 일정에서 거의 1년 가까이 미뤄졌는데, 이 부분도 흔쾌히 이해해줬다. BM에 대해서는 애초에 스팀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방향성이 다를 일이 없었고, 플랫폼 확장이나 가격 결정 등 사업적인 영역에 대해서도 개발팀 의견을 많이 묻고 정보를 공유해주고 있다.

웹젠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밝힌 정극민 대표 (사진제공: 웹젠)
🔼 웹젠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밝힌 정극민 대표 (사진제공: 웹젠)

Q. PC로만 출시했는데 추후 모바일 등 플랫폼 확장 계획도 있는지?

저희가 익숙하기도 하고, 하드코어 성격의 인디게임들은 보통 스팀을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해 먼저 PC로 출시했다. 장기적으로는 게임패드와 스팀덱 호환을 지원하면서 스위치 버전을 출시하거나, 아이패드 혹은 모바일 페이드 앱(Paid App)으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물론 당장은 스팀에서 콘텐츠 자체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에 주력할 생각이다.

Q. 마지막으로 르모어 팬분들께 한 말씀 부탁드린다

'비포 더 던'으로 최초 공개했던 시절부터 기대와 응원을 보내 주셨던 분들께 깊은 감사와 함께, 너무 오랫동안 기다리시게 만든 것에 대한 사과 말씀을 드린다. 또한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서 과분한 칭찬과 세부적인 피드백으로 큰 도움을 주셨던 분들께도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오랜 시간 동안 개발한 만큼 적어도 ‘플레이어로서 스스로 즐기고 싶은 게임을 만들자’라는 목표에 부끄럽지 않은 콘텐츠를 만들었다고 자부한다. 턴제 전술 장르 마니아 분들은 물론이고, 유사 게임 경험이 많지 않더라도 도전적인 난이도에 거부감이 없다면 쉽게 맛보기 힘든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거다. 르모어 앞서 해보기 출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완성도 높은 정식 버전으로 다시 한번 찾아 뵐 것을 약속드린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1568 오버워치 2 신캐 마우가 단편 애니메이션 '멋진 날' 공개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584 2
11567 크래프톤, 배그 모바일 베낀 넷이즈 상대 소송 승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223 0
11566 [이구동성] 사상 표현이 아니라 테러입니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30149 1
11565 스마일게이트, AGF에서 ‘에픽세븐X스토브’ 부스 선보인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678 0
11564 VR에서도 달려보자, 쿠키런: 더 다키스트 나이트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554 0
11563 디아블로 4, 피의 시즌 최종 던전 ‘지르의 도살장’ 내용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750 0
11562 민주노총 IT노조, 혐오 사태서 넥슨코리아 직접 비판 [3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2971 6
11561 [오늘의 스팀] 토끼 소녀의 메트로배니아 ‘테비’ 호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017 0
11560 배그·롤 최강 대학 가린다, 2023 대학리그 전국 결선 개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543 0
11559 발더스 게이트 3, 공식 한국어 지원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0216 0
11558 룬 각인술 추가, 와우 클래식 ‘디스커버리’ 시즌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224 0
11557 [매장탐방] 블프 맞이 역대 최대 PS5 할인에 매장 '북적'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953 0
11556 폐심 개발사 신작 ‘센티멘탈 데스루프’ 한국어판 12월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289 0
11555 창세기전·TL·아바타, 12월 오래 기다린 기대작 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529 0
11554 나이트 워커, 1인 신규 던전 ‘환영의 숲’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421 0
11553 [순정남] 이거 오타 아니야? 은근슬쩍 정식 명칭 TOP 5 [9]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807 2
11552 [오늘의 스팀] 가격 논란 드래곤즈 도그마 2, 해외선 인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831 0
11551 꾀돌이 토끼를 모바일로, 플레이위드코리아 씰M 정식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62 0
11550 랜스·쌍검·설원 지역 추가, 몬헌 나우 대규모 업데이트 예고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01 1024 0
11549 [판례.zip] 무료로 운영하는 게임 사설서버도 불법인가요? [7]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2665 3
11548 데모 혹평 받은 창세기전 "배속부터 그래픽까지 다 고쳤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832 0
11547 블랙핑크와 함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시즌5 시작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730 0
11546 26년만에 돌아온 호랑이 권법가, 환세취호전 플러스 발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503 0
11545 게임 가격 9만 원 시대 오나? 드래곤즈 도그마 2 가격 논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946 0
11544 민트로켓 신작 낙원, 스팀서 글로벌 테스트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629 0
11543 스타듀 밸리 오케스트라 콘서트, 서울 공연은 3월 24일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30 368 0
11542 히스이지방 포켓몬 추가, 포켓몬GO 신규 시즌 오는 1일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337 0
11541 신의 탑: 새로운 세계에 세븐나이츠 레이첼이 왔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67 0
11540 신규 직업 등급·지역 등장, 아키에이지 워 대규모 업데이트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213 0
11539 이번엔 오픈월드 뱀파이어 라이프! 다이너스티 신작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875 0
11538 [순위분석] 엔젤릭버스터 화력, 메이플 한 달 만에 TOP 5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833 0
11537 [오늘의 스팀] 최근 유저 평가 ‘압긍’까지 오른 P의 거짓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672 0
11536 리니지W, 신규 클래스 특징 살린 건그레이브 컬래버 개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59 0
11535 블루 아카이브, 산해경 소속 신규 캐릭터 '루미'와 '미나'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678 0
11534 라이엇 게임즈, 사회공헌 펀드 누적 모금액 645억 원 돌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427 0
11533 넷마블 가상 걸그룹 메이브의 마티, 파라곤에 출격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95 0
11532 모바일로 나오는 옥토패스 트래블러, 원작과 차별점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763 0
11531 군복 가일과 한주리, 넷마블 킹오파에 스파 6 캐릭터 출격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230 0
11530 "혐오 표현 용납 못 해" 디렉터 방송과 입장문 줄이어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12373 0
11529 [포토] 5층 건물 통째로 채웠다, 원신 상설 테마 카페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684 0
11528 기술력과 경쟁력의 결합, 엔씨소프트-SIE 파트너십 체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9 204 0
11527 12월 부산에서 열리는 펀 엑스포에서 '철권 8' 해볼 수 있다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458 1
11526 3인칭으로 즐기는 좀비 타르코프, 낙원: 라스트 파라다이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1362 0
11525 ‘몰겜’에 최적화, 멀티태스킹 농장 경영 게임 스팀에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856 0
11524 [AI야 소녀를 그려줘] 움짤로 표현하자, 디스 워 오브 마인!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761 1
11523 다크앤다커 느낌 신작, 던전스토커즈 스팀서 테스트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825 0
11522 방치형 RPG 신작 ‘AFK: 새로운 여정’ 테스트 참가자 모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271 0
11521 엔씨소프트, 블레이드앤소울 클래식 서버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1896 0
11520 인페르날까지, 오버워치 리그 한국 연고팀 두 곳 모두 작별 [10]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1995 0
11519 [오늘의 스팀] 배틀필드 5, 가을 세일로 4,400원 되니 ‘북적’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8 11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