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원스휴먼 입문자 가이드1(24.11.30 업데이트)

noyy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0.13 18:53:20
조회 50399 추천 49 댓글 15
														

24.11.30 업데이트 : 내용을 첨삭하는 과정에서 DC 에디터 및 업로드 오류 문제로 부득이하게 가이드가 2편으로 나뉘어졌습니다.


해당 가이드는 원스 휴먼을 시작할 예정이거나 방금 시작한 뉴비를 기준으로 대략적인 게임 구조와 용어 및 컨텐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상세한 수치 및 설명은 공지사항의 정보글, 유튜브 검색, 유용한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게임 추천 여부

원스 휴먼은 TPS, 루트슈터, 오픈월드 생존, 크래프팅, MMO 장르에 해당하는 게임입니다.

비슷한 게임으로는 팰월드,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 러스트 등이 있으며 해당 게임을 재미있게 즐기셨다면 원스휴먼도 재미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비슷한 게임을 잘 모르신다면 이 게임은 공포, 호러, 이차원적 세계관 설정을 배경으로 총쏘고, 기지 짓고, 농사, 요리, 사육을 하고, 펫을 파밍하고, 강해지기 위해 모듈이나 총기를 강화하는 컨텐츠들이 주를 이루는 게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런 요소들이 취향이라면 충분히 재미있는 게임입니다.


스팀 평가는 출시 초기 서버렉이 심해서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최근 서버렉도 점차 패치로 나아지면서 평가는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게임성은 매우 긍정적 이상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할만한 게임인지 고민하시는 분들께 말씀드리면 패치도 주기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개발자들이 열심히 개발하고 소식을 공유하려고 하는 것이 보이는 만큼 장기적인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데이터상으로 봤을 때도 출시 후 최고 동접이 23만, 출시 4개월이 넘어간 지금도 동접 6만 가량을 유지하고 있으니 많이 선방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금도 입문하고 꾸준히 즐기기에 좋으며 심지어 무료 게임이라 허들도 굉장히 낮은 게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서버렉이 패치로 많이 개선되었지만 다른 게임에 비해 두드러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서버 렉 같은 이슈를 싫어하시는 분께는 그리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시즌제 게임

원스 휴먼은 기본적으로 시즌이라고 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게임이 진행됩니다.

시즌은 하나의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는 기간을 의미하고 시나리오는 유저가 하나의 시즌동안 플레이할 스토리, 맵, 컨텐츠 등이 묶인 구성요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시나리오는 특정 서버에 귀속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시나리오 = 서버로 혼용해서 지칭합니다.


다른 게임을 빌려서 비유해보면 배틀 그라운드에서 맵을 정하고 플레이를 시작하는 것처럼 원스휴먼에서도 '터치 오브 스카이', '혹독한 겨울', '프리즘 전쟁' 같은 시나리오를 선택하고 해당 시나리오를 대략 5~6주동안 플레이하게 됩니다.


시나리오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터치 오브 스카이 : 가장 기본적인 맵으로 지금도 인기가 많습니다.

- 터치 오브 스카이(초보자) : 캐릭터를 생성하고 단 한 번만 플레이할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기존의 터치 오브 스카이보다 난이도가 낮으며 일부 아이템 등을 얻을 수 없습니다. (시즌 전용 튜닝 설계도, 이로치 감염물 등) 처음 입문하시고 도와줄 지인이 없다면 이 시나리오에서 시작하시기를 아주 강력히 추천합니다.

- 진화의 부름 : PVP 시나리오입니다. 터치 오브 스카이와 같은 맵과 스토리를 사용합니다. 플레이 하는 사람은 적은 편입니다.

- 진화의 부름(초보자) : 마찬가지로 캐릭터를 생성하고 단 한 번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 프리즘 전쟁 : 진영을 선택해서 싸우는 PVP 시나리오로 프리즘 감염물이라는 특별한 보상이 획득 가능합니다. 맵과 스토리는 터치 오브 스카이와 동일합니다. 최근 평은 썩 좋지 않습니다.

- 혹독한 겨울 : 최근 대규모 패치로 추가된 신규 시나리오 입니다. 새로운 스토리, 맵, 온도 시스템을 활용하며 터치 오브 스카이와 쌍벽을 이루는 인기 시나리오입니다.


시나리오는 캐릭터를 처음 생성할 때, 이번 시즌이 끝났을 때 새로 선택 가능하며 특정 서버를 선택해서 시작합니다.

기본적으로는 한 번 시나리오를 시작하면 끝날 때까지 플레이 해야하나 60일의 쿨타임을 가진 시나리오 중단권을 통해 시즌 중간에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해 재진입할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별 시즌 기간

시나리오는 경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컨텐츠가 해금됩니다.

* 터치 오브 스카이(41일, 약 6주)

- 1주차(7일) : 맵의 일부분만 해금됩니다. 메메틱(다른 게임의 테크트리와 비슷)의 일부만 해금됩니다. 노말 난이도만 입장 가능합니다.

- 2주차(7일) : 맵의 모든 구역이 해금됩니다. 메메틱이 전부 해금됩니다. 노말 오리진(오리진이 무엇인지는 밑에서 설명합니다.)이 해금됩니다.

- 3주차(7일) : 하드 난이도가 해금됩니다. 하드 오리진이 해금됩니다.

- 4주차(10일) : 마스터 난이도가 해금됩니다. LEA 연구소에 입장 가능합니다.(LEA 연구소는 인스턴트 던전입니다.) 마스터 오리진이 해금됩니다.

- 5주차(10일) : 악몽 오리진이 해금됩니다.

- 6주차 ~ : 시나리오가 종료되었으며 남아서 못다한 일을 마치거나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해 다음 시즌으로 넘어갑니다.


* 혹독한 겨울(35일, 5주)

- 1주차(7일) : 맵의 일부분만 해금됩니다. 메메틱의 일부만 해금됩니다. 노말 난이도만 입장 가능합니다.

- 2주차(8일) : 맵의 모든 구역이 해금됩니다. 메메틱이 전부 해금됩니다. 하드 난이도가 해금됩니다. 30레벨 엔드브링어(밑에서 설명합니다.)가 출몰합니다.

- 3주차(10일) : 마스터 난이도가 해금됩니다. 암흑 구역(LEA 연구소와 같은 인스턴트 던전입니다.)에 입장 가능합니다. 40레벨 엔드브링어가 출몰합니다.

- 4주차(10일) : 50레벨 엔드브링어가 출몰합니다.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열리기 때문에 해당 주차에 열리는 컨텐츠는 되도록 해당 주차에 진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전 주차의 컨텐츠를 진행하려고 하면 같이할 사람이 굉장히 적어집니다. 솔플을 하실거라면 크게 상관없는 부분이지만 적정한 스펙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 기본 용어 및 기능

이 게임은 번역의 퀄리티가 썩 좋다고 하기 어려우며 고유명사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거기에 인게임 내에 가이드나 도움말이 부족하고 복잡한 UI 등으로 게임의 용어와 기능을 모르거나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최소한 아래의 용어와 기능은 한 번 둘러보고 게임을 시작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재화

a14a20ad223376b660b8f68b12d21a1df0f3ff에너지 링크

줄여서 에링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게임에서 골드의 역할과 같이 인게임에서 획득하는 기본 재화입니다.

대부분의 콘텐츠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상점에서 물품 구매, 장비 강화 비용, 모듈 합성 비용, 유저간의 거래 등에 폭넓게 사용됩니다.

제대로된 수급처를 모르고 레벨이 낮은 초보자는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사실 굉장히 벌기 쉬우며 일정량 이상 쓸 일이 없어 가치가 상당히 낮은 재화입니다.

시즌이 끝나면 사라집니다.


주요 수급처 : 던전(사일로, 모노리스) 클리어 보상, 각 마을에 위치한 상인 NPC에게 물품 판매(각 마을당 1번 5만 에링으로 제한, 매 주 수요일 초기화)

주요 소비처 : 장비 강화(튜닝), 모듈 합성, 유황화공 메메틱 마스터리(마스터리는 밑에서 설명합니다.), 유저간의 거래(설치기사님 출장비, 기타 소비품 or 잡템거래)


a14a20ab003eb363baf1c6bb11f11a39ac5f28ac178158스타더스트 소스

줄여서 에테르 혹은 소스라고 부릅니다.(번역이 에테르일 때도 소스일 때도 있었습니다.) 다른 게임의 인게임 특수재화에 해당하며 에링의 고급 버전, 상위 재화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협동 콘텐츠, 제작, 엘리트 몹 사냥, 던전 클리어 등 여러 컨텐츠에서 획득하며 고레벨 강화, 고등급 제작 재료 등 고급 기능을 이용할 때 주로 쓰입니다. 유저간의 거래도 가능합니다.

에링에 비해 수급하기 까다롭기는 하지만 어려운 수준은 아니며 주로 게임 중반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하는 재화로 에링보다는 높지만 여전히 낮은 가치를 가진 재화입니다.

시즌이 끝나면 사라집니다.


주요 수급처 : 던전(사일로, 모노리스) 클리어 보상, 협동 퀘스트 및 오리진 또는 엔드브링어 같은 컨텐츠, 제작(석유 공예 메메틱 마스터리 및 스타더스트 워터 펌프 등)

주요 소비처 : 장비 강화(튜닝), 제작(총알, 기간제 아이템, 희귀 잡템 등)


a05c1cad241e76b660b8f68b12d21a1db304248b스타 크롬

줄여서 크롬이라고 부릅니다. 가장 핵심적인 재화로 다른 게임의 다이아와 비슷한 역할입니다. 현금성 재화는 아닙니다.

이벤트, 영지정화 컨텐츠, 다른 게임의 업적과 비슷한 여행, 오리진 컨텐츠 최초 클리어, 엔드브링어 소탕 목표, 시즌 목표, 시즌 종료 후 에링 구매 보상 등으로 획득하며 고등급 무기나 방어구를 제작, 강화할 수 있는 설계도를 얻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무기, 방어구를 얻고 강화하려면, 즉 강해지려면 필요한 재화입니다. 유저간의 거래는 불가합니다.

시즌이 끝나도 유지됩니다.


주요 수급처 : 시즌 목표, 시즌 진행도(악몽 오리진 및 엔드브링어 소탕), 시즌 종료 후 시즌 상점에서 에링으로 구매(시즌별 제한), 스텔라 플라놀라 상점에서 구매(시즌별 제한), 영지 정화

주요 소비처 : 소원 상자(무기 및 방어구 설계도 획득)


a15714ab0632b45eaa3410799a16c07338b567a3f2335e9d80081aba9f스타 오리진

현금성 재화입니다. 상점을 이용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당연히 시즌과 관계없이 계정에 귀속되며 해당 재화로 산 스킨들은 해당 계정의 모든 캐릭터에 적용됩니다.


주요 수급처 : 지갑

주요 소비처 : 스킨, 라이트 포지 보물상자(비싼 스킨), 감정표현, 헤어스타일, 가구


재화의 종류는 이렇게 크게 4가지로 나누어지며 인게임 내에서 이뤄지는 재화 획득성 컨텐츠의 목적은 현금성 재화인 스타 오리진을 제외한 나머지 3종류의 재화를 얻는 것이 최종 목적입니다.


* 장비

- 티어, 공예 레벨

a76e05aa1d3ab3668634047d58c12a3a683a620b33e36580522f

공예 레벨은 티어라고도 하며 1부터 5레벨까지 있으며 캐릭터 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해금됩니다.

1레벨 기본, 2레벨 10, 3레벨 20, 4레벨 30, 5레벨 40렙에 해금되며 티어가 바뀌면 성능 차이가 꽤 나기 때문에 이전 장비는 분해하고 새로 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거쳐가는 무기는 튜닝에 필요한 재화가 많은게 아니라면 재료를 100% 환급해주는 지점까지만 보통 진행합니다. (처음 몇 단계는 튜닝에 사용된 재화를 100% 이후는 70%, 그 이후는 50% 돌려줍니다. 인게임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5티어 장비를 착용하기 전까지는 무기에 전설 튜닝 설계도(노란색)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 등급

다른 게임에서도 널리 쓰이는 색깔별 등급입니다. 보라, 노랑으로 많이 지칭합니다. 노랑이 전설 등급으로 최고 등급입니다.

전설 등급 무기나 방어구는 소원 상자에서 설계도를 얻어 직접 제작해야 합니다. 이 설계도를 얻는데 필요한 재화가 위에서 설명한 스타크롬입니다.

설계도는 시즌과 상관없이 캐릭터별로 유지됩니다.


※ 필드, 던전 등에서도 노랑색 장비가 드랍되지만 이런 장비들은 유실장비로 지칭하며 수리가 불가능합니다. 거의 100% 분해해서 잡템이나 튜닝설계도(무기만)를 얻는 용도입니다.


- 성급

a15901ac3d3b76b660b8f68b12d21a1d5950c432

1~6성까지 있으며 다른 게임의 성급, 돌파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설계도를 구매했을 시 1성이며 설계도 조각을 모아서 강화해 성급을 올릴 수 있고 성능이 좋아집니다.(1성당 약 5%가량)

설계도 강화에 대해서는 설계도 전환, 설계도 강화 등의 키워드로 필히 검색해보시길 바랍니다.


- 핵심 방어구, 세트 방어구

a04805aa0e1e782dbe765a43c25bf1f166af1e8342b8361394521044baa2

방어구의 종류 중 핵심 방어구와 세트 방어구가 있습니다. 세트는 말그대로 세트효과를 가진 방어구고 핵심 방어구는 특수한 능력을 가진 방어구입니다.

핵심 방어구는 딱 하나만 장착할 수 있습니다. 방어구는 총 6부위기 때문에 핵심방어구 + 1세트효과 방어구 + 4세트효과 방어구 와 같이 장착하는 편입니다.


- 유실장비

위에 언급된 것처럼 컨텐츠를 진행하다보면 장비품을 얻을 때가 있습니다. 무기상자, 장비상자, 던전(모노리스, 사일로)에서 획득합니다.

이 장비들을 유실물이라고 부르며 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해합니다.

이 중 무기는 튜닝 속성이라고 하는 강화가 부여되어 있으며 장비를 분해하면 해당 유실물이 가진 튜닝 속성을 튜닝 설계도로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 튜닝 설계도를 자신이 제작한 무기에 부여할 수 있으며 유실물의 튜닝 속성과 완전히 동일한 옵션을 획득합니다.


- 튜닝

a0572cad0e2f76b660b8f68b12d21a1df1892cee

튜닝은 다른 게임의 강화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전설등급 장비 기준 무기는 10강까지, 방어구는 6강까지 튜닝이 가능합니다.

튜닝 속성은 무기에만 부여되는 인챈트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튜닝 설계도를 소모해서 무기에 해당 옵션을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된 튜닝 설계도는 사라집니다.


a0572cad0e2fb4408333326458c12a3acb1073251abce11124e7c8

무기의 튜닝 속성은 4강, 7강, 10강에서 옵션들이 활성화 됩니다.

4강에 활성화되는 주옵션은 [속사형] [정밀형] [간편형][대형] 등 종류가 정해져 있으며 항상 동일한 옵션 수치를 가집니다.

7, 10강에 활성화 되는 부옵션은 수치가 특정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결정됩니다.


세계 채팅에서 자주 등장하는 속크크, 정크크 등의 용어는 이런 튜닝 속성 옵션을 지칭하는 것으로 [속사형] [크리티컬 확률] [크리티컬 확률] 을 속크크로 [정밀형] [크리티컬 확률] [크리티컬 확률] 을 정크크와 같이 지칭합니다.


- 모듈

모듈은 무기나 방어구의 모듈 슬롯에 끼워서 추가적인 버프 효과를 부여하는 아이템입니다.

각 무기와 방어구는 하나의 모듈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장비 부위별로 장착할 수 있는 모듈의 종류가 다릅니다.

모듈은 튜닝과 같이 주옵션과 부옵션이 있으며 주옵션의 수치는 등급에 따라 결정되며 항상 일정합니다.

부옵션은 모듈의 등급에 따라 0개 ~ 최대 4개까지 존재하며 부옵션도 별도로 옵션 등급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전설등급 모듈은 항상 4개의 부옵션을 가지며 이 각각의 부옵션별로 다시 옵션 등급이 존재합니다.


a05c1cad231eb54dbe330d79565bf4c82d180da346f912808f944621db3d84883f9d3d

이론적으로 최고로 좋은 모듈은 전설등급에 원하는 부옵션을 4개 가지고 있으며 처음 획득 당시 보라, 파랑, 파랑, 초록 등급의 부옵션을 가진 최고 등급 모듈을 강화했을 때 원하는 옵션 3개만 강화되어 최종적으로 노랑, 노랑, 노랑, 초록 등급의 부옵션을 가진 모듈이 가장 좋은 종결 모듈입니다.


※ 참고로 부옵션은 흰, 초, 파, 보, 노 순으로 등급이 오를 때마다 수치 상승량이 동일합니다. 예시로 흰색이 1%면 초 2%, 파 3%, 보4% 노 5%입니다.


- 모듈 접미사

모듈은 이름에 접미사가 붙을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격렬>이라는 접미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갑 모듈 중 하나인 '크리티컬 강화' 라는 모듈이 있습니다. 이 모듈에 접미사가 붙은 경우 '크리티컬 강화<격렬>' 과 같이 됩니다.

접미사는 획득시에 이미 결정된 것이며 플레이어가 따로 부여하는 속성이 아닙니다.


a05c1cad231eb54dbe330d79565bf4c82d180daddc25dc2b715c0b0ff569f6e3406a249e37eaaf72ff83


이렇게 접미사가 붙은 경우 해당 접미사에 해당하는 부옵션이 가장 첫 줄로 등장하게 됩니다.

<격렬> 접미사는 반드시 첫 부옵션이 크리티컬 대미지입니다.

이런 옵션은 접미사 전용 부옵션이고 효과가 더 좋기 때문에 종결 모듈은 항상 접미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가로 접미사로 인해 고정되는 부옵션은 종류가 정해질 뿐이지 등급이 고정인 것은 아닙니다.

<격렬>로 인해 붙은 크리티컬 대미지 옵션이 흰색 등급일수도 노랑색 전설 등급일수도 있습니다.


- 접미사별 획득처 및 전용 옵션 개수

접미사는 종류별로 획득처가 다르며 붙을 수 있는 전용 옵션의 개수도 다릅니다.

접미사별 전용 옵션에 대해서 자세히 보고 싶다면 인벤토리 -> 모듈 -> 모듈 교체(합성) UI 에서 X를 눌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격렬>, <정밀>, <어빌리티>는 사일로나 모노리스 등에서 획득 가능합니다.

전용 옵션은 <격렬>은 크리티컬 데미지, <정밀>은 약점 데미지, <어빌리티> 는 트랜스 데미지로 전용 옵션은 하나 뿐입니다.

위의 세 접미사는 무기 및 방어구 모듈 전부에 붙을 수 있습니다.


특정 빌드에서 사용되는 <공명> 접미사는 터치 오브 스카이의 오리진 컨텐츠의 보물상자를 통해 획득 가능합니다.

전용 옵션은 약점 공격시 크리티컬 데미지, 트랜스 데미지를 입힐 시 크리티컬 데미지 등 5종류가 있으며 2개까지 붙을 수 있습니다.

공명 접미사는 바지 및 장갑 부위에만 붙을 수 있는 접미사입니다.


특정 빌드에서 사용되는 <유산탄> <불안정 다이너마이트> <파워서지> <플레임> <헌터 마크> <프로스트 윈드> <리버스 워페어> <패스트 거너> <바운스> 등의 접미사는 터치 오브 스카이에서 협동 퀘스트(케이론 작전 및 다키니)로 얻는 위험지역 보물상자 혹은 혹독한 겨울 시나리오의 엔드브링어 보상으로 획득 가능합니다.

해당 접미사는 동일한 이름의 무기특성을 강화시켜주는 옵션들이 있습니다. 접미사별로 붙을 수 있는 전용 옵션의 개수도 다릅니다.

모든 모듈을 확인해본 것은 아니지만 접미사별로 1개 ~ 3개까지 전용 옵션이 붙게 됩니다.


- 모듈 강화 및 합성

모듈은 강화할 수 있습니다. 강화에는 무기 모듈 부품, 방어구 모듈 부품을 사용합니다.

합성은 6개의 모듈을 합쳐서 새로운 모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지니 합성을 시도하기 전에 정보글에서 합성관련 글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딱 한마디만 미리 말씀드리면 보라, 초록, 초록, 초록 이상의 모듈은 아무렇게나 합성하지 말기를 추천드립니다.


a67718ad163a782b9b765a51c79f3433cb2440c97b5053ca1725cdd726

합성 창은 모듈 -> 모듈교체 버튼을 통해 진입할 수 있으며 3번 획득한 모듈만 합성할 수 있습니다.


* 스탯

- 오염

이 게임은 오염수치라는게 있습니다. 오염 수치가 있는 특정 필드나 구역에 들어가면 화면이 안개가 끼면서 '스타더스트 오염 농도가 짙습니다'와 같은 문구가 뜨게 됩니다.

오염수치가 높을수록 멘탈이 많이 깎이게 됩니다. 멘탈이 깎이는 것은 최대 HP가 깎이는 것과 동일합니다.

멘탈이 깎여서 회복되지 않는 부분은 HP바에서 짙은 남색으로 표시됩니다.

a14514aa120e76b660b8f68b12d21a1ddf69228d42


오염 지역의 오염 수치는 캐릭터가 메고 있는 배낭인 크래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a14514aa120eb44e96330f4d58c12a3ae993b08b1c066d4a70b9e3


방어구는 오염 내성이라는 수치가 존재하며 해당 수치가 높으면 오염 수치로 인해 깎이는 멘탈 수치가 줄어들게 됩니다. 다만 오염 내성이 아무리 높더라도 멘탈 감소는 무조건 일어납니다.

이렇게 오염수치로 인해 일어난 멘탈 감소를 음식이나 펫 등으로 회복 시킬 수 있습니다.


이 때 자주 사용하는 음식이 스타더스트 차(변이 에키나시아 라는 재료를 사용), 맥주입니다. 스타더스트 차의 경우 99.9% 재료로 변이 에키나시아를 사용하며 줄여서 스더차로 부릅니다. 스더차는 초반에 얻기 어려운 음식이기 때문에 그 전에는 과일차(에키나시아 사용)를 먹기도 하며 이런 경우 에키차라고 부릅니다.

스더차나 에키차는 오염수치로 깎이는 멘탈 수치를 지속적으로 회복시켜줍니다.


- 트랜스, 초감각

둘 다 같은 말이며 여타 게임의 속성 공격력 개념입니다. 트랜스 데미지는 사실상 직접적인 총기 이외의 모든 속성 데미지로 이해하면 됩니다.

트랜스 데미지가 높아질수록 폭발, 플라즈마 등의 속성 데미지가 강해집니다.


방어구에는 초감각 강도가 있으며 튜닝이나 성급 강화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트랜스 데미지의 계산 공식에서 다른 모든 종류의 수치와 곱연산되는 베이스 수치입니다.

속성 공격 외에도 투척물도 전부 초감각 강도에 의해 데미지가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한 스탯입니다.


- 데미지, 총기데미지

데미지의 경우 총기의 베이스 공격력을 의미할 때가 있습니다. 트랜스 데미지 계산 공식의 베이스가 되는 트랜스 강도처럼 총기 공격력 계산 공식에서 베이스가 되는 수치입니다.

총기 데미지는 베이스 총기 공격력을 올려주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총기 공격력이 300인 어떤 무기의 데미지 20% 증가 버프는 총기 공격력을 360으로 만들고 여기서 총기 데미지 버프 50%를 받으면 300의 50%가 아닌 360의 50%가 증가해 540이 됩니다.


- 크리티컬 데미지, 약점 데미지

어떤 개념인지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중요한 건 둘이 합연산입니다.

알기 쉽게 수치로 예시를 들겠습니다. 크리티컬 데미지가 100%, 약점 데미지가 100%며 기본 데미지가 100이라고 가정합니다.


노약점 노크리티컬 : 100

노약점 크리티컬 : 200

약점 노크리티컬 : 200

약점 크리티컬 : 300


이것만 아시고 취향껏 세팅하시면 됩니다.


- 원소 데미지, ~~데미지(플라즈마, 불안정 다이너마이트, 플레임 프로스트 윈드 등)

원소 데미지도 마찬가지로 속성 공격력입니다. 트랜스 데미지와 다른 점은 트랜스 데미지는 모든 속성 공격력이고 원소 데미지는 특정 속성 공격력입니다.

그럼 트랜스만 올리면 되는 거 아니냐 하실 수 있는데 아닙니다. 원소데미지는 트랜스 데미지와 곱연산입니다.

그리고 특수효과(플라즈마, 불안정다이너마이트, 플레임, 프로스트 윈드 등)의 데미지는 트랜스 데미지, 원소 데미지와 곱연산입니다.


결론적으로 특수 효과로 입히는 속성 데미지는 트랜스강도 * 트랜스 데미지 * 원소 데미지 * 특수효과 데미지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온도 내성(추위, 열기, 서리, 연소)

해당 온도 내성 1은 해당 상태에 진입하는 온도를 1도 높이거나 낮춥니다. 혹독한 겨울 시나리오가 아니라면 거의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보통 온도 내성은 방어구 상하의에 여러 가죽을 재료로 사용해서 높이거나 특수한 아이템을 통해 올리게 됩니다.

관련 정보는 인벤토리창에서 우측 하단 사람모양 위쪽의 온도계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볼 수 있습니다.


- 총기 부품의 안정성, 정확도, 사거리, 장전속도, 기동성

장비창에서 무기를 우클릭 -> 악세서리 탭에 들어가서 볼 수 있습니다.


안정성 = 반동

정확도 = 탄퍼짐

사거리 = 데미지 감소 시작 거리 및 최소 데미지 구간 증가

장전속도 = 글자그대로

기동성 = 사격 중 이동속도


- 임펄스

그냥 버프입니다.

~~ 임펄스가 나타났습니다라는 말은 ~~ 버프를 획득했습니다랑 동일한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개구리 점프 임펄스가 나타났습니다 = 개구리 점프 버프를 획득했습니다 입니다.


* 감염물

감염물은 포켓몬 시리즈의 포켓몬, 팰월드의 팰, 여타 게임의 펫과 같은 개념입니다.


크게 전투형, 영지형, 창조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전투형은 전투에서 직접 소환해서 데미지나 이로운 효과를 제공하고 영지형은 영지에서 작업을 수행해서 영지 내의 시설에 버프를 주거나 수확물을 가져옵니다. 창조형은 특수한 아이템을 만들어냅니다.


전투형 감염물은 크래들이라고 하는 플레이어가 맨 배낭에 동기화 하면 데리고 다닐 수 있으며 한 번에 한 마리만 동기화 가능합니다. 동기화된 감염물은 전투중에 소환해 버프, 디버프를 부여하거나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감염물은 어빌리티 등급과 활성 등급, 그리고 특성이 존재합니다.

어빌리티 등급은 장비의 등급과 똑같이 높을수록 좋으며 1~5까지 존재합니다.

어빌리티 등급이 높을수록 데미지가 강해지고 수확물이 많아지고 아이템을 많이 만들어냅니다.


활성 등급은 감염물이 휴식을 취할 때 트랜스 에너지 및 활약도를 얼마나 빨리 회복하는지에 대한 등급입니다.

마찬가지로 1~5까지 존재하며 높을수록 빨리 회복합니다.


트랜스 에너지는 전투형 감염물인 경우 소환시간, 영지형 및 창조형의 경우 활동시간을 결정하는 스태미너와 같은 요소입니다.

에너지가 다 떨어지면 휴식을 취하며 에너지가 회복되면 다시 소환 가능해지거나 일하기 시작합니다.

사실상 전투형 감염물에게만 중요하며 영지형 및 창조형은 무한동력이라고 부르는 특정 방식을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활약도는 전투형 감염물과는 상관이 없고 영지형이나 창조형 감염물의 생산량, 버프량 등에 영향을 끼칩니다. 낮을수록 수치가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셰프 다이노라는 감염물은 음식에 버프를 부여해주는데 활약도가 낮아지면 버프 수치가 줄어들게 됩니다.


감염물 특성은 0~2개까지 존재할 수 있으며 감염물의 능력치를 올려주거나 버프, 디버프 하는 특성이 존재합니다.

전투형 감염물에겐 트랜스에너지 = 소환시간인 만큼 트랜스 에너지 최대치를 올려주는 내면확장(줄여서 내확) 특성이 선호됩니다.

영지형 또는 창조형 감염물에겐 활약도 = 생산 및 버프수치 이므로 활약도의 최대치를 올려주는 활력자극 특성이 선호됩니다.

반대로 트랜스 에너지 최대치를 낮추는 낡은, 활약도를 낮추는 우울 등의 특성은 기피됩니다.


감염물은 영지에서 단독 수용 유닛이라는 건물에 수용합니다. 여기에 수용한 감염물만 활동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감염물의 수용 환경을 맞춰주면 감염물 회복시 회복 속도에 보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a15528aa1f1bb55f9635046858c12a3a6d75ea7eac9a592262f084ac

* 메메틱 및 크래들

- 메메틱

여타 게임의 스킬트리, 테크트리입니다. 레벨업, 퀘스트 등으로 획득하는 사이퍼(스킬포인트)와 에링을 소모해 메메틱을 찍을 수 있으며 언제든지 초기화 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시 포인트는 모두 돌려주지만 에링은 70%만 돌려줍니다.

초기화는 특정 메메틱 혹은 그 트리만 지정해서 할 수도 있고 전체 메메틱을 한 번에 초기화할 수도 있습니다.


a67424ad2c26b54dbff1c6bb11f11a39c4a6e2d49f4c189d58

- 메메틱 마스터리

캐릭터의 매 5레벨마다 1개씩 총 10개의 슬롯이 있는 특수 효과입니다. 다른 게임의 특성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각 슬롯별로 랜덤으로 주어지는 마스터리 4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에는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마스터리를 다시 선택하게 해주는 리셋 재화는 하나의 슬롯만 리셋해줄 뿐더러 시즌 주차별로 한두개만 얻을 수 있는 재화기 때문에 선택에 굉장히 신중해야 합니다.


a67a38aa0f16b542be34107958c12a3a069279206167e6ddf237cd80


a67a38aa0f16b542be341079565dc0fd6141c9deb79b37312ac002b208a0cd459f5b84

메메틱 마스터리는 주어지는 선택지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해야 하고 무조건적으로 좋다 나쁘다가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마스터리를 결정할 기반 지식을 습득하기 전까지, 혹은 50레벨을 달성할 때까지 찍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에 마스터리를 미리 찍고 싶다면 15레벨, 35레벨, 50레벨에 마스터리를 찍기를 권장합니다.

마스터리는 5~15 레벨에 나오는 그룹, 20~35 레벨에 나오는 그룹, 40~50 레벨에 나오는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각 그룹의 선택지가 모두 주어지고 찍는 것이 중복된 선택지를 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레벨에 분해 작업대 마스터리가 선택지에 등장했는데 찍지 않는다면 10, 15레벨에선 등장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5레벨 마스터리를 찍으면 10, 15레벨에서 다시 선택지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활용해 안좋은 마스터리를 선택하지 않고 킵해놓아 좋은 마스터리가 뜰 확률을 높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말해도 사실 50레벨까지 마스터리를 찍지 않으면 손해라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찍어서 손해볼 것 없는 마스터리들을 미리 소개합니다.

특제스토리지(5~15그룹) : 솔로 플레이 예정이라면 반드시 찍으세요. 아니어도 되도록 찍는게 좋습니다.

석유 공예(20~35그룹) : 고민없이 바로 선택하면 됩니다.

스타더스트요리 - 육체탈피(40~50그룹) : 고민없이 바로 선택하면 됩니다.

유황 화공(20~35그룹) : 찍으면 좋습니다. 산성용액이 필요할 때 찍으며 보통 산성용액은 항상 필요한 편이므로 늘 좋은 마스터리입니다.


이 4개 정도를 제외하고는 플레이 환경에 따라, 자신의 필요에 따라, 현재 마스터리 선택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마스터리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직접 고르셔야 합니다. 정보글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설치기사

세계 채팅에서 2옵 ~~기사님 구합니다. 3옵 ~~기사님 구합니다 같은 채팅이 자주 올라옵니다.

메메틱 마스터리에는 영지의 설치물의 성능을 올려주는 마스터리들이 있고 이 마스터리를 모두 찍으신 분들이 설치기사분들입니다.

설치기사는 영지의 시설물을 대신 설치하고 출장비나 설치비로 에링을 받습니다. 보통은 출장비로 설치 개수와 상관없이 정해진 에링을 받으며 일부 기사님은 설치 개수와 비례해서 에링을 받습니다.


※ 서버마다 주차마다 설치비는 큰 차이가 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옵당 1만 에링 정도를 설치비로 받습니다.


설치 기사를 부를 때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물을 반드시 미리 원하는 곳에, 원하는 수량만큼 설치해놓고 불러야 합니다.


그리고 스페이스 큐브라는 감염물이 생산하는 파티원을 소환하는 아이템이 있으면 파티 초대 -> 소환 -> 친구추가 -> 친구의 건설권한, 스토리지 접근권한 허용(U키 눌러서 친구탭에서 설정) -> 설치 후 에링 거래 순으로 진행하고 소환 아이템이 없다면 기사님께 양해를 구하고 집 위치와 세계(채널) 을 알려드리고 마찬가지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초보자 섭이 아니거나 뉴비가 아니라면 소환템이 없는 경우 기사님이 귀찮아서 안 올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기로라고 하는 광석을 제련하는 시설이 있습니다.

전기로 설치물에 추가 버프를 주는 메메틱 마스터리는 터치 오브 스카이에서 총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혹독한 겨울은 6개)

그럼 전기로 설치기사님 구합니다~는 기본적으로 모든 마스터리를 다찍은 기사님을 의미하며 4옵 기사(혹독한 겨울 6옵)라고도 합니다.

해당하는 설치물 관련 메메틱 마스터리를 찍은 개수가 0옵의 기준이지 옵션의 효과 종류가 기준이 아닙니다.

설치된 설치물의 마스터리 효과는 우상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a17d34ac3d02b36792ff8039ee046a2df91173512f18f6c69040e3e058


기사님을 불러서 설치한 설치물은 파괴되지 않는 이상 자신의 설치한 것과 다름없이 사용, 재배치 할 수 있으며 영지를 옮겨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추가로 영지의 설치물이 아니더라도 메메틱 마스터리를 사용해서 제작할 수 있는 물건이나 버프 음식 등을 파는 분들이 있습니다.

거래는 자판기라고 하는 유저의 개인 상점을 열 수 있게 하는 설치물을 통하거나 직접 소환해서 거래 요청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주로 이뤄지는 물건 및 음식 목록 및 일반적인 거래 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제 아이템은 14일간 사용 가능하며 이후 사라져서 다시 구매해야 합니다.


※ 거래 가격은 서버마다, 주차마다 굉장히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진금태양 드릴] : 전기 드릴 - 진품헌터 마스터리와 태양광 드릴 마스터리를 찍은 후 금광석으로 제작한 드릴을 의미합니다. 태양이 떠있을 때 내구도가 자동 회복되어 반 영구적으로 쓸 수 있으며 일반 광물을 40% 더 채굴할 수 있습니다. 2~3만 에링.

[목석배낭] : 나무 및 광물 무게 감소 최대 80%, 0.5~2만 에링.

[휴대용 냉장고] : 금광석으로 제작시 음식물 상하는 속도 90% 감소. 금광석 제작 기준 8~10만 에링, 혹은 재료 가져다주고 1~3만 에링

[소형 주방 칼] : 동물 도축시 고기 1개 추가 획득 및 부산물 획득 증가 60%. 0.5~2만 에링

[채집 낫] : 야생에서 채집시 작물 획득량이 40% 확률로 두 배. 0.5 ~ 2만 에링

[육성 장갑] : 12% 확률로 씨앗을 두배로 획득. 0.5 ~ 2만 에링

[가방 확장] : 인벤토리 소지 무게 80 증가. 1.5~4만 에링

[스펙트럼 커튼] : 사용시 2분동안 비전투 상태일 때 은신. 사용횟수 10회가량. 1~2만 에링

[물고기 통조림] : 광석 채굴시 일정 확률로 추가 획득. 0.2~0.6만 에링


초보자 분들은 상점에 금괴나 은괴, 합성 칩셋 등 에링 판매를 위한 아이템을 제작해서 판매한 뒤 기사분들을 찾아서 전기로, 통합 주방, 분해 작업대, 소형 제작대, 장비 제작대, 발전기 등 설치물과 위 목록에 있는 아이템을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순위는 진금태양 드릴-> 전기로 -> 분해 작업대 -> 가방 확장 -> 목석 배낭 -> 소형 제작대 -> 장비 제작대 이후 자유롭게 입니다.


- 기억조각

메메틱 마스터리 기억 조각은 제어기(던전 등에서 온전한 보상 획득 가능하게 하는 소모품) 사용시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해당 그룹의 마스터리 중 하나를 지정된 마스터리로 바꿀 수 있습니다.

좋은 메메틱 마스터리가 기억 조각으로 담겨져 있으면 수십만 에링정도로 비싸게 거래됩니다.


a76500aa1307b467be35065458c12a3abb7e3f75d422b4d80bca928f


시즌당 기억조각을 사용한 마스터리 교체는 3번까지만 가능하니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기로 관련, 발전기 관련, 주방 관련, 요리 관련, 육체탈피, 건축 관련 기억조각이 수요가 많고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다른 기억조각은 사실상 수요가 없는 수준)


- 크래들

모노리스 및 사일로를 클리어하면 해금되는 캐릭터에게 버프를 부여하는 추가 특성입니다.

최종 8개의 특성을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 및 해제를 비용없이 마음껏 할 수 있습니다.

크래들 특성은 시즌의 주차별 진행정도 또는 캐릭터 레벨에 따라 해금되며 시나리오별로 크래들 특성이 다릅니다.


a05c1cad1b2ab355aaff5b5fcf5dc0ecbdbe8c75594178ad3bddf7d134d29354


이어서 콘텐츠에 관해서는 입문자 가이드 2편에서 다뤄보겠습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cehumankor&no=115009&page=1

 


추천 비추천

49

고정닉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10 설문 새로운 워터밤 여신으로 자리잡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5/19 - -
3012 이슈 [디시人터뷰] 최다니엘, 새로운 전성기를 맞은 배우 운영자 25/05/23 - -
78905 공지 원스휴먼 갤러리 정보글 모음 [33] 플레임차별철폐협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28 181969 27
63371 공지 (24.11.30 수정) 박제 규정 개편 안내 라쿠스이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9.06 12086 31
124826 공지 !!! 갤러리 신문고 !!!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2.30 8555 0
94026 공지 원스휴먼 갤러리 통합 공지 라쿠스이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3 13778 3
27269 공지 원스휴먼 갤러리 이용 안내 운영자 24.07.31 9771 1
175813 ❓질문 무한한꿈 시작한거면 가죽셋 어케 함?? 닭고기가져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4 1 0
175812 ❓질문 40갓찎엇ㅆ는데 질1문받아주라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23 6 0
175811 짤/영 수용 유닛 위에 천장 지어짐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8 32 0
175810 ❓질문 나 역별 엘몹장 지었는데 [3] ㅇㅇ(121.136) 15:15 40 0
175809 💬일반 역시나 나와버린 그 것 눼눼(118.221) 15:09 74 0
175808 💬일반 하.. 은 2300개 캘동안 딕비보이 3개나왔다.. [4] ㅇㅇ(122.38) 15:05 54 0
175807 💬일반 레이드존 모집도 안되나?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3 34 0
175806 💬일반 설산+땃쥐 발전기 [1] ㅇㅇ(220.121) 14:59 21 0
175805 ❓질문 영지밖에 건물짓는거 부캐로하는거라는데 D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9 30 0
175804 ❓질문 겜을 한 달째 못 하고 있는데 뭐 뜬거 있음???? [9] 닭고기가져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8 77 0
175803 💬일반 역별 모듈은 확실히 역별 끝나면 안쓸듯 [1] ㅇㅇ(121.136) 14:55 62 0
175802 💬일반 메메틱마스터리 프로스트아머 좋나여?? [2] ㅇㅇ(210.106) 14:50 34 0
175801 💬일반 중력타임에 뜬 엘리트몹중에 [1] ㅇㅇ(122.42) 14:43 87 0
175800 ❓질문 계정창고랑 이터널창고랑 다른 개념이야?? [3] ㅇㅇ(175.127) 14:40 55 0
175799 💬일반 임계펄스 쓰는분들 철갑화살 재료뭐씀? [1] ㅇㅇ(175.126) 14:36 48 0
175798 💬일반 폴른 1세트 총기데미지 감소 이거 패널티인가요?? [3] ㅇㅇ(1.235) 14:29 81 0
175797 ❓질문 크릉곰 vs 화이트샤크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9 100 0
175796 💬일반 뉴비) 성급올리는데 경치가 300모질람... ㅇㅇ(211.47) 14:18 88 0
175795 💬일반 설산 중력 앨몹 젠자리에 영지포탑 박아둔거 사라졌네 ㅇㅇ(175.194) 14:15 59 1
175794 💬일반 이터널랜드 드릴 하나만 줄 사람... [2] ㅇㅇ(211.62) 14:13 77 0
175793 💬일반 원휴도 나나코모드 같은 패치 있으면 좋겠다 ㅇㅇ(112.153) 14:04 66 0
175792 💬일반 뉴비) kvd -> 엠포로 바꾼 후기 [2] ㅇㅇ(211.252) 14:04 222 0
175791 💬일반 설산 원래 시세가 이렇게 비쌈? [10] ㅇㅇ(121.168) 13:54 204 1
175790 💬일반 뉴비 오늘의 할일 [3] P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2 145 0
175789 💬일반 팩트는 중력별이 재미 없는게 아니라 [2] ㅇㅇ(175.194) 13:46 210 0
175788 ❓질문 그 얼음 블록은 어떤 감염체에요? [2] 말라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4 79 0
175786 💬일반 실시간 무꿈 엄청난 세챗봄. [2] ㅇㅇ(115.137) 13:38 222 0
175785 💬일반 자꾸 크리처들이 내집 뿌숨 ㅠㅠㅠ [3] ㅇㅇ(175.198) 13:37 125 0
175784 💬일반 무꿈 깊잠 얕잠 특)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4 91 0
175783 💬일반 뉴비 첨으로 55뜸 [5] ㅇㅇ(220.120) 13:29 311 0
175782 💬일반 그냥 여태모은 자원들고 영구서버 한번 존버도 괜찮나 [4] ㅇㅇ(49.165) 13:27 147 1
175781 💬일반 이렇게 영지 어떻게 키워?? [5]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3 214 0
175780 💬일반 이새기들 건물 내구도 건들이면서 문짝 너프해놧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3 76 0
175779 ❓질문 시나리오 도전으로 연구소 솔플하라는데 가능함?? [12] D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3 100 0
175778 💬일반 멘탈 깎는 캡슐 어디서 만듬?? [2] ㅇㅇ(211.48) 13:17 76 0
175777 💬일반 초보자섭 무기6성맞추고 하드보스가봤는데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146 0
175776 💬일반 서버 못옮겨??ㅠㅠ [5]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7 126 0
175775 🤝거래 은백낡은1+스냅샷533이나 542로 기관총속원원이나 안원원 20구함 111(118.43) 13:05 100 0
175774 💬일반 와 마취쿠나이 없어도 동물 잡을 수 있구나 [3]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0 221 0
175773 💬일반 터오스 92나 93 초대코드 부탁드립니다 [7] ㅇㅇ(125.137) 12:58 93 0
175771 ❓질문 이거 시나리오 종료카드 부캐로는 못사는게 맞나? [2] ㅇㅇ(121.135) 12:51 71 0
175770 💬일반 감염물시세 질문 ㅇㅇ(61.32) 12:48 52 0
175769 💬일반 혹시 체형 왔다갔다거리는 사람 없음?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7 222 0
175768 💬일반 솔플도 RPD가 맞나여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6 240 0
175767 💬일반 서리엠포 빌드 괜히했어 [1] ㅇㅇ(1.238) 12:46 176 0
뉴스 박혁권 “밥줄 끊겨도 이재명 지지”…제주 유세 현장 등장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