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을 사서 냉장고에 넣어두면 '보관 완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렇게 단순한 방식은 오히려 과일을 더 빨리 상하게 만들 수 있다. 과일마다 후숙 속도, 수분 민감도, 에틸렌 방출량 등 보관 조건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보관법을 알지 못하면 껍질은 멀쩡한데 속은 물러터지거나, 곰팡이가 번져 버리는 경우도 잦다.
농장에서 갓 수확한 과일의 신선함을 오래 유지하려면, 단순히 차가운 곳에 넣는 것 이상의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은 대표적인 과일들을 중심으로 '잘 보관하면 더 오래,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과일별 똑똑한 보관법을 정리해본다.
온라인 커뮤니티
1. 사과 – 냉장보관은 맞지만 '단독 보관'이 원칙이다
사과는 후숙을 유도하는 천연 가스인 에틸렌을 다량 방출하는 과일이다. 이 성질 때문에 사과를 다른 과일과 함께 두면 다른 과일들의 숙성을 빠르게 진행시켜 조기 부패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과는 반드시 비닐팩이나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야채 칸에 따로 보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사과를 씻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해야 과육 내 수분이 유지되고, 겉면의 보호막이 유지돼 부패를 늦출 수 있다. 씻은 사과는 바로 섭취하거나 최대 이틀 이내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과를 자른 상태로 보관하고 싶다면 레몬즙을 살짝 발라 산화를 늦추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2. 바나나 – 절대 냉장 보관하지 말 것, 온도보다 '공기 차단'이 관건
바나나는 냉기에 매우 약하다. 12도 이하로 떨어지면 껍질이 검게 변하면서 빠르게 숙성 과정이 멈추고 조직이 무너진다. 특히 냉장고에 그대로 넣을 경우 과육 내부의 전분이 당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표면만 상한 채 맛없는 상태로 변질되기 쉽다.
적정 보관 온도는 13~18도이며, 에틸렌 가스를 줄이기 위해 바나나 꼭지를 랩이나 알루미늄 포일로 감싸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또한 한 송이 그대로 두지 말고 한 개씩 분리해 보관하면 숙성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이미 껍질이 검어졌더라도 냄새가 나지 않는다면, 스무디나 빵 재료로 활용하면 낭비 없이 소비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3. 포도 – 씻지 않고 통째로 냉장 보관하되, 공기와의 접촉을 줄여야
포도는 수분 함량이 높고 껍질이 얇아 곰팡이 발생이 빠르다. 특히 습도에 민감한데, 씻어서 보관하면 수분이 표면에 남아 부패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씻지 않은 상태로 통째로 밀폐 용기에 담거나, 종이 타월을 덧대어 수분 흡수를 조절하면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포도를 줄기로부터 떼어내면 상처가 생겨 더 빨리 물러지므로, 포도송이를 그대로 보관하다가 먹기 직전 떼어내 씻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 보관도 가능한데, 이때는 포도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일회분씩 소분해 냉동하면 간식이나 스무디 재료로 활용하기 좋다.
온라인 커뮤니티
4. 감귤 – 겉껍질은 멀쩡한데 안에서 썩는 이유, 보관 습도 때문이다
감귤은 저온에서 잘 보관되지만, 과도한 습도 또는 통풍 부족은 과육 내부에서부터 곰팡이를 번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냉장고에 넣는다면 반드시 신문지에 하나씩 싸서 보관하거나, 종이봉투에 넣어 수분을 흡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겹겹이 쌓아두면 아래쪽 귤이 눌려 내부 조직이 먼저 무르게 변한다. 귤은 최대한 넓게 펴서 1~2층 정도로 낮게 보관하고, 이틀에 한 번씩 상한 과일이 없는지 점검하며 돌려주는 습관이 중요하다. 상한 귤 하나가 주변 귤의 부패를 빠르게 유도하기 때문에, 초기 부패 과일을 골라내는 것이 전반적인 저장 수명을 좌우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