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설악산 서북능선 식물들

물옥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07.03 16:32:25
조회 312 추천 0 댓글 5


참고 : 스압주의
          식물위주의 포스팅이니 등산갤로 꺼지셈 같은 말은 자제요망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50aab8176dc40a5ce6163cf258991a81713c92128

설악산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이다

참고로 난 지리산인근에 있지만 지리산보다는 설악산이 분명 생물상, 특히 식물상은 훨씬더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한계령 - 대청봉 - 오색으로 이어지는 서북능선을 가보았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50b7c4f463d8e01336ee8a23507b51c5506133818c2aae158d65dbc79ee38849598e5e460

한계령입구에는 벌써 금마타리들이 만개하고 있어 여름이 다가왔음을 알수 있다

바위틈에는 돌양지꽃이 꽃을 피우고 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359fa9898839d0a3ff700494e7aa198c3ccf4c7128d259764a288a443980f5a

이래저래 헉헉거리며 능선을 향해 올라가다 보면 이런 식물도 나온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인 솔나리

꽃이 참 예쁜데 등산로 바로 옆에 있어 꽃이 필경우 남획될 가능성이 큰것같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451a2e064f07e3eb782ab05ea0196c7939c16ff2f58609d4699a9683c743f5f

그늘진곳에서 발견된 작약

솔직히 백작약보다는 산작약같다. 잎 뒤에 털이 많았기에...꽃은 지고 없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25cb7e788a897418b223bfc193487d32fd913c85df557c33d51e60600d1afd231c8f5ffad39

1200m 고지쯤 가니 은방울꽃이 아직 피어있다

확실히 아래지방보다는 좀 춥긴한가 보다..지리산에는 약 3주전에 꽃이 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708fb327dd5a0963f5a463b08a5af440ec8c1f973b1405c13938670dbaf47

바위틈에는 일엽초가 바위채송화랑 같이 자라고 있다

일엽초는 습기가 있는 바위의 이끼나 오래된 나무의 등걸에서 잘 자란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70c4a035787d77262d91f82aef21b561ddc3eb86b510d8ce8ec929e53f17f45571d8da749f4

박새군락이 나오는걸 보니 1200m 고지 이상인것 같다

유독식물 박새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051da9e4ee51e63ea7d1d2e20065ecfac86ae3a3c2b586c4a414b45b5d42fd805288e41df82

오르락 내리락 거리는 무료한 능선타기는 심심할수도 있지만

가끔씩은 이런 녀석들이 나와주어 재미있다...자주솜대

가시연꽃과 더불어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재등급심사가 필요한 녀석이 아닌가 싶다

지리산 반야봉에 지천으로 깔렸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50a7033d4fb0855c9e8ebd33e9b2a3fed9b41f71bd7db3597be94d6f647a2d3

장미? 아니고

해당화? 아니고

중부이북의 고산에서 자주 목격되는 인가목이다

서북능선에서는 꽤 많이 발견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20b48697270a6b30b610ac2a3db4c1cab56026f9d

서북능선을 걷다보면 왜 설악산이 대한민국 NO.1 명산으로 꼽는지 알수 있다

저질 똑딱이로 이런 감흥없는 풍경만 담을수 있다는것이 안타깝다

사실 어떠한 카메라로도 설악산의 압도적인 풍경을 잡아낼수는 없으리라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55f425188d5f1df37561c6d1796f9c264939df894cbf004725b6d18f6fe45b3

사스래나무와 신갈나무 사이로 이상하게 생긴 나무가 있다

어찌보면 태산목, 굴거리처럼 보이기도 한 이나무는 만병초이다

이름은 초짜가 붙어 초본이 아닌가 싶은데 사실 관목이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70ca5e754ed70677bb4a28bea20cd013b0f885b1e56a31fd1016822dacf5830cf

모든 병들을 고치는 약초라 하여 만병초란 이름이 붙었는데 그렇지는 않고

꽃을 보면 알겠지만 진달래과다

그냥 만병초보다는 꽃이 노란색이 피는걸 발견하면 더 대박인데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e51aaf9f595b9416ab1f393946efaa2663333109c24863b671cab218b3ffd8b

해발 1400m 넘어가니 바람꽃이 나온다

그래 니가 나와야지

다른 바람꽃 종류는 봄에 피지만 그냥 바람꽃은 초여름에도 핀다..대청봉엔 지천이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5b440c2d42f64f986052c3d18de81eade352caf4

봉 사이로 구름들이 오르락내리락 한다

바위에 앉아 쉬고 있으니 마치 구름사이 있는 내가 신선이 된듯 한 착각에 빠진다

그런데 이때 희안한 광경을 목격하게 된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45c0886156263ff30c0baa2b35b84a87bf10035129dcee330a0783eb2dfa18a

바위에 앉아 절경을 즐기다 하얀색의 꽃을 발견한다

매의눈을 가진 나를 피할순 없지

이건 백프로 솜다리다라는 일념하에 저걸 어떻게 찍느냐 고민한다..

솜다리 밑은 천길 낭떠러지

떨어지면 이승과 이별인듯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25bdfa18e0c61d3c8b6f54cc4e5d686fdec1fa8f33f80fb45250843c53a0ab84a

솜다리 바로 옆의 진달래 밑둥을 잡고 대롱대롱 매달려 찍은 사진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솜다리

감격이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50c27d8d8b07e030ca8b69788225e6b1b86899097f9885a8f1497673007d7

숲속에는 연령초도 있다

사실 꽃이 져서 연령초인지 큰연령초인지 알수가 없다

꽃안의 색깔보면 바로 표가 난다

뭐 그냥 연령초긋지 머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59f7c195c467df881a472a158eda88a522cb85f7f61aecfab1dada4d4fec6df0d523767ce7d67aa7f2d73923570498502a

가는길 심심하지 말라고 벌깨덩굴도 마중나와 준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5f15bad611abad154c116a640074375dfebd3b90d84cc465b21c4b65202549bfec8a5cfcf37be020c115da

이윽고 1500m 고지를 넘어서면 만주송이풀이 나온다

북방계식물로 설악산 고산지역에서는 흔히 볼수 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517214dcb3bcfd1b56313056b84aad8978879187

끝청과 중청을 거쳐 도착한 중청대피소

오늘 하루 묵을 장소

워낙 한방에 많은 사람이 자다보니 고스톱치는 사람, 왔다갔다 소리내는 사람, 코고는 사람 등 별의별 사람이 다 있어

잠을 잘수가 없다...하지만 산사람에겐 대피소만큼 소중한것도 없을듯

땀을 한바가지 흘렸지만 씻을수도 없다...뜬눈으로 밤을 지새우고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2518513ab4946d65d68fedd61902a8090e7162b99

이윽고 다음날 새벽

짐을 주섬주섬 챙겨 대청봉 오른다

전날 비가 내려 바람+비+구름에 체감온도는 정말 춥다...잠바 없으면 얼어죽기 쉽상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059070c7d1a4cc9bb9ebaaf95ebcb82bfaad7d02c

설악산의 자랑

눈잣나무

누워 자라는 잣나무라는 뜻으로 누운잣나무라 부르다 눈잣나무로 이름이 변형되었다

바람이라는 물리적인자에 의해 변형된 식물

그러고 보니 주변에는 바람이 어찌나 센지 구상나무나 신갈나무의 왜성변형수가 많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08205e16feb3fa8a16393da6ec56aebc746ed33d

대청봉 주변 등산로의 범의꼬리

금마타리와 범의꼬리, 바람꽃은 지금 지천으로 깔려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70c17050085d52662d516fcb0fb6e2b68b3f124c0

대청봉 정상

평일이고 날씨도 오락가락 안좋아 식물을 찾을 세시간동안 대청봉엔 사람한명 없었다

전세 낸 대청봉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55cf168e7970a43c28f3a37e82176821e7b64825a

고산에서 볼 수 있는 털진달래

아래쪽 진달래는 이미 다 졌지만 여긴 그래도 끝물이긴 해도 남아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55d252c607c3364c5d584520af74a5c60f846c130

개불알꽃...털개불알꽃은 끝내 못보고 만다

그런데 왜 사람들이 이 식물을 보고 복주머니란, 풍선난초라 부르는지 알수 없다

이게 정녕 복주머니나 풍선하고 닮았다고 생각하는가

내눈에는 개불알이랑 거의 흡사하다

누가 개불알꽃이라 이름지었는지 몰라도 아주 잘지었다고 생각하다

한번들으면 까먹지도 않으니 이름 지은 조상의 해학에 감탄할뿐

개불알이란 말이 부끄러워 복주머니란이나 풍선난초라 부르는 사람들은 개불알풀은 또 개불알풀이라 하더라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108735b47f2e5aa8a16393da6ec56afb8743e3dd1

검종덩굴

사실 검종덩굴도 있고 종덩굴, 세잎종덩굴도 있다...요강나물도 있고

식물상의 천국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e35f2fb2fcdc8462414089981b3352cccce2b2a8e8

대청봉에서 오색으로 내려오는 길은 계단과 돌계단, 너덜길의 연속

무릎이 남아나질 않지만 간간히 나오는 박쥐나무때문에 재미는 있다





일차적으로 정리한 사진은 이정도

더 정리할게 많이 남았지만 다음에 시간나면 올리겠음

다음은 장수대에서 귀때기청봉의 서북능선과 점봉산능선을 타면서 연잎꿩의다리나 가시오갈피, 개병풍, 홍월귤, 노랑만병초등의 식물을 볼 계획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1846b3f1e7ad6ba599f1a76c8f8f25916048b8c08585e42cfae1e0eb2d5c6697f58b75967ea47fd099abf29aa256a0e98929f575f29f11094616f7fdef2af6da9673a698450bc

자연에서 뵙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16921 이 화분 키우는법과 팁 조언 부탁드립니다 [2] l'amo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9 236 0
116920 우리나라에서 바닐라를 키울수있나요? [1] 닐라(124.153) 11.07.09 206 0
116917 요건 무슨 식물인가요? [6] 아름(175.214) 11.07.09 250 0
116916 노니가 이렇게 컸네요. [2] 프리로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51 0
116915 꽃꽃... [4] 으하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24 0
116914 가덕도, 동백섬에서 찍은 사진들 입니다. 그놈의습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82 0
116913 이 식물 이름이 뭔가요?? [1] 이름이 뭔가(211.201) 11.07.08 112 0
116912 긴급! 이 꽃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12] 송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435 0
116911 바질 잎이 자꾸 말라 죽어요 뭐가 문제일까요? 양웬리(221.150) 11.07.08 154 0
116910 식물갤 님들 바람꽃이랑 아네모네랑 같은 종인가요? [2] 헬프(59.13) 11.07.08 141 0
116909 이 꽃 나팔꽃인가요?^_^ [2] 익게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37 0
116908 물망초를 키우고 싶습니다. 안티에이징(128.134) 11.07.08 67 0
116907 화분에 담긴 식물이름이 궁금합니다ㅠ [1] (125.176) 11.07.08 130 0
116904 여기가 디씨정화갤이죠? 이 열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건가요? [5] KURA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341 0
116903 장군풀 많이 나는 곳좀 알려주세요 2(59.2) 11.07.08 103 0
116901 식물이 자꾸 죽어가는데 왜그런걸까요? [1] 잉잉긔(14.37) 11.07.08 131 0
116900 미리 가 본 관곡지에는 [5] 대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557 0
116899 원예종 꽃들... [2] 정중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46 0
116897 식물 기르는데도 중독증이 있나요? [1] 궁금한데(61.106) 11.07.08 91 0
116895 이게 어떤 식물인지 다 알수있나요 [3] Stipulati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50 0
116894 이게 왜이러죠?ㅜㅜ [2] (218.38) 11.07.08 96 0
116892 이 2종류 식물 키우는법 질문좀 할게요... [1] it\'s You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60 0
116890 이 꽃 이름 아시는 분 계신가요? 볼뻘건(182.208) 11.07.08 91 0
116889 식물 이름을 찾습니다ㅜㅜ [1] 말란스키(61.78) 11.07.08 108 0
116888 비 온 뒤 화단 [1] 쵸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97 0
116887 모처럼 비가 그쳤습니다. [8] wood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397 0
116886 식물갤러님들 백합으로도 실제로 자살이 가능한가요? [1] The end(67.171) 11.07.08 323 0
116885 이 풀 정체좀 알 수 있을까, 대충이라도 알려줘 [2] 치직각모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120 0
116884 청양고추가 맞나요 청량고추가 맞나요? [3] 라면요리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560 0
116883 이 사진의 배경이 되는 꽃이름 좀?! [2] (112.163) 11.07.08 116 0
116881 이 사진 찍으신분 블로그 알 수 있을까요? 지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8 87 0
116880 이거 독버섯 맞는지 좀 확인해주라! [3] 유동(119.71) 11.07.07 120 0
116879 운동장근처에서 [3] 하늘타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94 0
116878 까치수염 [5] 하늘타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104 0
116877 아 식갤에서 폐륜아짓좀하지마라진짜 [1] ㅁㅁ(1.238) 11.07.07 238 0
116876 소금제초법을 아시는가요? [2] 아빠(58.120) 11.07.07 650 0
116875 이 식물 이름좀 알려주세요 [2] dadl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115 0
116874 아 .. 식물갤여러분 저한텐 식물기피증이잇습니다 [2] ㅁㄴㅇㅁㄴㅇ(122.46) 11.07.07 166 0
116873 김포에도 물레나물이 만개했습니다. [4] wood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187 0
116872 방울토마토 셀린(211.112) 11.07.07 109 0
116869 능소화/ 자귀나무. [4] julg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192 0
116868 이 버섯 이름이 궁금해서 그러는데 알려주세요 [1] 독버(118.219) 11.07.07 108 0
116867 화초 추천 부탁드립니다. 군인(116.126) 11.07.07 42 0
116865 게발선인장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2] 코찔찔이(211.246) 11.07.07 558 8
116864 식갤님들하 이 꽃 이름이 몬줄 알려주셈요 꽃꽂이(125.132) 11.07.07 91 0
116863 팥 덩굴의 이름이 뭔가요? [1] 꿀꾸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76 0
116861 교정의 꽃들, 그리고 모임 재공지 [4] 대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183 0
116860 이번에 받은 꽃들인데요 이름을 꼭 알고싶어서 올립니다. [4] (121.172) 11.07.07 179 0
116859 화분에 난 식물 이름 부탁 드립니다. [2] 므네모시네(112.222) 11.07.07 226 0
116858 이거 먹어도 되요? [2] 메카니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07 28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