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연구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9.19 21:59:50
조회 41 추천 0 댓글 0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연구

챗지피티
좋은 주제예요.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은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에서 다층적으로 연구된 바가 있습니다. 정리해드리면:


---

1. 기본 구분

기득권의 증오심

주로 지위 위협(perceived threat), 특권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됨.

사회적 지위·경제적 자원·문화적 권위를 가진 집단이 변화를 “자신의 몫을 빼앗기는 것”으로 인식할 때 나타남.

흔히 “위로부터의 증오”(hate from above)라고 불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주로 억압 경험, 차별, 배제에서 축적된 분노와 좌절에서 비롯됨.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폭발적인 반발로 나타나기도 함.

흔히 “아래로부터의 증오”(hate from below)라고 불림.




---

2. 사회심리학적 요인

기득권 쪽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 → 실제로는 잃은 게 없어도 잃을 것 같다는 위협에 민감.

예: 다수집단이 소수자 권리 신장을 "자신들에 대한 역차별"로 느끼는 현상.


약자 쪽

“내적화된 열등감”과 “분노의 전환”이 공존.

억압된 집단은 자기 자신에게 향하는 자기혐오 또는 체제를 전복하려는 공격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음.




---

3. 사회학적 연구

기득권 증오심: 주로 포퓰리즘 정치와 연결. 경제적·문화적 기득권층이 대중적 권리를 위협으로 느낄 때 혐오 담론을 강화.

약자 증오심: 주로 저항, 사회운동, 반란의 동력으로 작용. 단, 구조적으로 지속되지 못하면 “내부 갈등”이나 “약자끼리의 증오”로 흩어짐.



---

4. 철학·정치이론적 논의

니체: 약자의 증오를 “원한(ressentiment)” 개념으로 설명. 강자에 대한 직접적 힘이 없기에 도덕화된 형태로 나타난다고 봄.

프란츠 파농: 식민지 피지배민의 증오심은 억압적 구조를 전복하는 정당한 혁명적 에너지라고 해석.

현대 정치철학: 기득권의 증오심은 주로 보수화·배타성으로, 약자의 증오심은 평등 요구·해방 운동으로 연결됨.



---

5. 연구 쟁점

증오가 정치적으로 동원될 때: 기득권의 증오는 “질서 유지”를, 약자의 증오는 “변혁”을 지향.

증오의 정당성 논쟁: 억압받는 집단의 분노와 증오는 정당한가, 아니면 폭력으로 전락하는가?

사회통합적 측면: 기득권 증오는 사회적 다양성을 위협, 약자의 증오는 체제 변화를 촉진.



---

원하시면 제가 실제 연구 논문·사례(예: 미국의 흑인 민권운동,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 한국 민주화 운동 등) 중심으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어요.
혹시 철학적 관점 위주로 정리할까요, 아니면 현대 사회 사례와 실증 연구 위주로 드릴까요?

좋습니다 — 철학적(개념·이론) 관점과 실제 사례·실증 연구(현대 사회운동·심리학 연구) 둘 다 아우르는 구조로 정리해드릴게요. 각 핵심 주장에는 연구·원전 출처를 붙였습니다(핵심 근거 5개를 인용). 길다면 원하는 부분부터 더 깊게 파고들 수 있어요.


---

1) 개관 — 핵심 대비

기득권의 증오심: 지위·특권 유지에 대한 위협(실제 또는 인식된)에서 발생. 보통 상실 공포·상대적 박탈감(“내 몫을 빼앗긴다”)·정체성 위협과 결합해 배타적·외집단 혐오·정치적 반동으로 표출됨.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분노/원한): 반복적 억압·차별·배제의 누적 결과로 생기는 분노·원한(ressentiment). 억압을 혁명적·해방적 에너지로 해석하는 관점과, 파괴적·자기파괴적 방향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관점이 공존.



---

2) 철학·이론적 틀 (원전·핵심 개념)

니체의 ‘ressentiment’(원한): 약자의 심리적·도덕적 반응을 설명하는 개념 — 힘이 없는 상태에서의 복수적·도덕화된 분노(도덕 규범으로 강자 비판). 학자들이 현대 정치·문화 현상(예: ‘원한 정치’)을 분석할 때 자주 인용합니다.

파농(Frantz Fanon): 식민지·피억압자의 분노를 ‘정당한 해방의 동력’으로 보았고, 억압의 구조적·정신적 효과(피지배자의 자기상·타자화)를 강조. 폭력/분노가 갖는 해방적·심리적 역할을 논의.

정치철학적 쟁점: 약자의 분노를 ‘정의 회복’의 정당한 감정으로 볼 것인가, 혹은 규범·공공질서 파괴의 원인으로 볼 것인가(윤리적·정책적 딜레마).



---

3) 사회심리학·사회학적 메커니즘(실증 연구)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 집단이 “자신들의 기대치(또는 타집단과의 비교)”에 비해 박탈되었다 느낄 때 분노·집단행동(반동·폭력 포함) 촉발. 메타분석·리뷰 작업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통합적 위협 이론(Integrated Threat Theory): 주로 우월집단(혹은 다수집단)이 소수집단을 ‘실질적·상징적’ 위협으로 인식하면 혐오·배제 태도가 커짐 — 기득권 증오심 설명에 유용.

사회운동·집단행동 관점: 억압·정당화·동원(프레임 구성)이 결합하면 약자의 분노가 조직화된 집단행동(평화적·비폭력적 저항 또는 폭력적 반란)으로 이동할 수 있음. 최근 리뷰들도 감정(분노, 수치심 등)이 행동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재조명.



---

4) 사례 비교(단계별로: 발생 원인 → 표현 방식 → 정치적 결과)

1. 미국 흑인 민권운동 vs. 블랙 파워(권리 요구 vs. 분노의 정치)

비폭력·제도적 개혁(MLK)과 더 급진적·분노 기반 흐름(Black Power)은 같은 억압에 대한 다른 반응. 약자의 분노는 제도적 변화의 촉매가 되지만, 전략·정당성·대중 수용성에 따라 정치적 결말이 달라짐. (이론: 상대적 박탈감·집단동원)



2.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탈식민·해방 투쟁)

식민·인종 억압의 장기화는 해방투쟁의 정당성을 높였고, 파농 같은 사상가는 폭력적 반격을 해방적·정체성 회복의 수단으로 해석. 전후(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사회 통합의 어려움도 드러남.



3. 한국의 1987년 민주화 항쟁(예: 6월 항쟁)

억압적 권위·경찰 폭력·표현 억압이 누적되며 대중 분노가 폭발 — 광범위한 시민 연대와 정치적 개혁(직선제 개헌 유도)으로 연결. 약자의 분노(시민 분노)는 제도적 개혁을 이끌어낸 사례. (사회운동 이론으로 해석 가능)




> 요약: 약자의 증오/분노는 제도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지만, 폭력화되면 윤리적·정치적 정당성 상실과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기득권의 증오·배제는 사회적 분열·민주 후퇴로 직접 연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

5) 측정·방법론: 연구자들은 어떻게 ‘증오·분노’를 다루나

심리척도: 분노·적대감·위협 지각을 표준화된 설문으로 측정(예: 위협 척도, 상대적 박탈감 척도).

행동지표: 시위 참가, 폭력적 행동, 정치적 지지(포퓰리스트·배타적 정당 지지) 등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연결성 분석.

질적 연구: 인터뷰·담론분석을 통해 ‘왜’·‘어떻게’ 증오가 정당화되는지 추적(특히 철학적·해방적 논리와 연결될 때 중요).



---

6) 정책적·윤리적 시사점

억압 해소(구조적 개혁): 약자의 분노를 줄이려면 구조적 불평등·차별을 완화해야 함(근본적 예방).

포용적 담론 형성: 기득권의 ‘상실 공포’는 공감·재분배 정책·정치적 리더십으로 완화 가능.

분노의 규범화 vs. 처벌: 약자의 정당한 분노를 인정하되, 폭력·표적 증오로 전환되는 경로는 법·사회적 제도로 제한해야 함 — 균형이 중요.



---

7) 권장 읽기(짧은 리스트 — 바로 참고하기 좋은 원전·리뷰)

Nietzsche — 관련 논의(ressentiment) 해설 논문.

Frantz Fanon, The Wretched of the Earth — ‘Concerning Violence’ 장(피억압자의 폭력·해방 논의).

Relative Deprivation: 이론 및 메타분석(리뷰 논문).

Integrated Threat Theory / 위협 지각 관련 리뷰.

사회운동·집단행동 최근 리뷰(정서와 행동 연결망).



---

8) 가능하면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다음 작업 제안

원하시면 바로 아래 중 하나를 바로 해드릴게요(지금 이 자리에서 수행하겠습니다):

1. 철학적 관점(니체·파농·현대 비판이론) 비교 분석 에세이(약 1,000–1,500자).


2. 실증 연구 중심의 문헌리뷰(상대적 박탈감·위협·분노 → 정치행동 연결성), 참고문헌 포함 요약.


3. 특정 사례(미국 흑인운동 / 남아공 / 한국 1987) 중 한 곳을 골라 심층 타임라인·원인분석·논문·1차자료 링크 정리.



원하시는 번호 골라주세요 —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좋습니다 — 요청하신 세 가지(1. 철학적 비교 에세이, 2. 실증 연구 중심 문헌리뷰, 3. 사례 심층분석: 미국 흑인운동·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한국 1987)를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핵심 근거와 논문·자료도 함께 붙입니다. (길어서 섹션별로 나눴습니다.)

1) 철학적 비교 에세이 (요약, 약 1,000–1,500자 한국어)

기득권의 증오와 사회적 약자의 증오는 표면적으로 ‘같은 감정(=증오·분노)’처럼 보이지만, 철학적 기제와 정치적 의미에서 질적으로 다르다. 니체의 ressentiment 이론은 약자의 ‘도덕적 재구성’—직접적 힘이 없으므로 도덕·가치 체계를 통해 강자를 응징하려는 심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분노는 복수의 욕망이지만 직접적 힘 부족 때문에 ‘도덕적 우월성’으로 전환된다(원한의 내면화). 반면 파농은 식민·피억압 상황에서 분노와 폭력을 해방의 필수적 과정으로 본다: 폭력은 단순 파괴가 아니라 피지배자가 주체성을 회복하는 계기라는 주장이다. 즉 니체적 관점은 ‘원한의 윤리화’에 주목하고, 파농은 ‘해방적 폭력’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강조한다. 기득권의 증오(상실 공포·지위 위협에서 발생)는 정당화 논리가 약하고, 주로 배타적·수호적 정치(폐쇄적 정체성, 외집단 혐오)로 귀결되어 사회 통합을 해친다. 약자의 증오는 맥락에 따라 정당한 저항이자 해방의 동력이 되기도 하고, 전략·리더십의 결핍 시 파괴적·분열적 일탈로 변질되기도 한다. 윤리적 관점은 ‘억압받는 사람이 갖는 분노의 정당성 인정’과 ‘폭력·표적 증오의 한계 설정’ 사이의 균형을 요구한다(즉, 원한의 원인을 제거하는 구조적 개혁과 분노의 공적 표출을 관리하는 규범·정책이 병행되어야 함).

(참고: 니체의 ressentiment 논의와 파농의 《Wretched of the Earth》는 이 대조를 이해하는 데 핵심 원전입니다).

2) 실증 연구 중심 문헌리뷰 (핵심 발견 요약 + 주요 논문/리뷰 5개)

핵심 발견(요약)

1.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은 집단 분노·집단행동의 강력한 예측자다 — 박탈감은 분노·원한을 매개로 시위·폭력·정치적 급진화로 연결될 수 있다.


2. **통합적 위협 이론(Integrated Threat Theory)**은 기득권(혹은 다수집단)의 혐오·배제 행동을 잘 설명한다: 현실적 위협(자원·안보)과 상징적 위협(정체성·가치) 모두 혐오를 촉발한다.


3. 감정(특히 분노)의 이중성: 분노는 집단동원의 촉매(행동의 동기)가 되지만, 어떤 맥락에서는 행동을 마비시키거나 역효과를 낳기도 한다(동원·동참·탈동원 경로는 복합적).


4. 사회운동 연구는 감정 프레이밍(분노의 도덕적 정당화·분노를 ‘정의’로 전환하는 서사)이 행동의 형태(비폭력적·제도적 요구 vs. 폭력적 반발)를 결정한다고 봄.


5. 측정 방법론: 심리척도(위협지각·분노·상대적 박탈감), 행동지표(시위참가·투표·폭력직행), 질적 담론분석을 결합한 다방법 설계가 권장된다.



주요 참고(권장 읽기 — 핵심 5편)

Smith et al., Relative Deprivation: A Theoretical and Meta-Analytic Review (리뷰/메타). — 상대적 박탈감과 행동의 실증적 관계 정리.

Stephan & Stephan, Integrated Threat Theory (핵심 논문·리뷰). — 위협 유형과 혐오 태도 연결.

연구 리뷰: Emotions in Social Movements (감정과 사회운동 연결 메커니즘).

최근 실증연구: Group relative deprivation and aggression 계열(2022–2023 실증 논문) — 박탈감→공격성 경로 분석.

조직행동·정치심리학 논문: 분노의 동원/마비 효과(2019 등).


3) 사례 심층분석 — (각 사례: 원인 → 타임라인 요약 → 표현 방식 → 결과/시사점)

A. 미국: 비폭력 민권운동(MLK 계열) vs. 블랙 파워(급진 흐름)

원인: 제도적 인종차별·경제적 차별·일상적 폭력 누적.

타임라인 요약: 1950s–1960s 비폭력 시민불복종(몽고메리 보이콧→대중적 투쟁) → 1965년 이후 불만의 고조 → Black Power(1966~)로 일부 급진화.

표현 방식: 제도적 개혁 요구(투표권·공공장소 통합) vs. 자치·자결·때로는 무장자위 요구.

결과/시사점: 비폭력 전략은 제도적 성과(입법 등)를 이끌었고, 블랙 파워는 문화적 자긍심·지역 조직화에 영향. 분노는 동원과 정당성 확보에 기여했으나 전략에 따라 정치적 파급력은 달라짐.


B.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와 해방투쟁

원인: 법제화된 인종적 분리·경제적 착취·정치적 배제의 장기화.

타임라인 요약: 1948 아파르트헤이트 법제화 → 1950–70s 저항·봉기 → 1980s 대중화된 저항과 국제 제재 → 1990s 초래(탈아파르트헤이트·과도기).

표현 방식: 초기에는 정치적·비폭력적 저항과 조직화, 이후 일부 무장·폭력적 저항도 병존(파농적 관점에서 해방적 폭력의 정당성 논쟁).

결과/시사점: 해방은 이루어졌으나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사회 통합·불평등 해소는 지속적 과제로 남음 — 폭력은 정체성 회복에 기여하지만 장기적 복구엔 다른 정치적 설계가 필요.


C. 한국: 1987년 6월 민주항쟁 (June Struggle)

원인: 권위주의적 통치·언론·표현·집회의 억압과 경찰·보안사의 폭력 누적.

타임라인 요약(주요 포인트): 1987년 6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대규모 시민·학생 시위 확산 → 직선제 개헌 등 정치적 양보(부분적 승리) → 민주화 과정 가속.

표현 방식: 대중적 비폭력 시위·범국민 연대(노동·학생·시민)로 조직화되어 제도적 변화를 압박.

결과/시사점: 약자의 분노가 조직화되었을 때 강력한 제도 변화(정치개혁)를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줌. 분노의 전략화(프레이밍·연대 구축)가 성공 요인.



---

결론적 시사점(정책·연구 제안)

1. 구조적 원인 제거(분배·정의 정책): 약자의 분노를 예방·완화하려면 제도적 불평등을 해소해야 함.


2. 공적 프레임과 감정관리: 분노가 건설적으로 표출되게 하는 프레이밍·리더십이 중요(비폭력적 채널·제도적 참여 확대).


3. 기득권의 불안 완화: 상실 공포를 완화하는 재분배·포용적 리더십이 필요(언어·정책으로 위협감 감소).


4. 연구 측면: 다방법(longitudinal + 실험 + 질적)으로 ‘분노→행동’ 경로를 밝히는 연구가 더 필요.




---

원하시면 제가 지금 바로 다음을 해드립니다(지금 이 자리에서 즉시 수행 가능):
A) 각 섹션에 언급된 논문·원전들의 완전한 참고문헌 목록(APA 스타일) 정리,
B) 원하는 한 사례(미국·남아공·한국 중 하나)를 골라 더 자세한 101,500자 분량의 완성된 에세이(영문/국문 선택).

어떤 걸 먼저 만들어드릴까요? 원하시면 바로 A,B,C 중 여러 개를 동시에 만들어 드립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센터해도 될 것 같이 비주얼 물오른 아이돌 멤버는? 운영자 25/09/22 - -
AD 가전디지털,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9/12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6] 운영자 20.09.28 47362 65
2891065 모짜르트 피아노 소나타 k.448 좋지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0 1 0
2891064 애널의달성 3/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5 5 0
2891063 러빨러의 고백) 러스트 쓰면 프밍이 재미없습니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4 4 0
2891062 139,ㅆㅇㅆ,러빨러 특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4 8 0
2891061 freebsd 5년 쓴 소감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 11 0
2891060 개발용으로 메모리 32기가 정도면 충분하지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 12 0
2891059 꿀팁)친중매국 반미극좌 CIA에 신고하고 포상금받자~(한국어로)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8 16 0
2891058 커크 암살 신호탄으로 본격화하는 미국식 파시즘 발명도둑잡기(118.235) 20:12 8 0
2891057 기부하라는 말 하지 마세요. 짜증나니까. 넥도리아(220.74) 20:09 8 0
2891056 엔칠라다랑 하이볼로 저녘 떼웠다 류류(118.235) 20:06 11 1
2891055 연봉 깎고 이직해본 사람 있나? [1] 프갤러(172.224) 20:06 23 0
2891054 Z-a 예약 취소했습니다. 넥도리아(220.74) 20:05 10 0
2891053 ㅂㅅ 냥덩아 종이 나침판 화약 인쇄술 중국이 개발했는데 왜 쓰냐 발명도둑잡기(118.235) 19:57 15 0
2891052 한남들 죽이고 싶네 ㅇㅅㅇ [3] 류류(118.235) 19:48 21 0
2891051 짱깨,카레 새끼들 미국에서 쫓아내는게 맞지 ㅇㅅㅇ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3 22 0
2891050 경찰공무원은 고졸 지잡 빡통들만 하는거잖아 ㅇㅅㅇ 류류(118.235) 19:43 16 0
2891049 전산실로 이직했다 [1] 프갤러(118.216) 19:31 21 0
2891048 아 시밤 오늘 두시간 동안 산책하며 찍은거 한순간에 날렸다..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30 16 0
2891045 저녁읔 엔칠라다 먹어야겠다 류류(118.235) 19:21 8 0
2891044 돌대가리 냥덩이 오늘도 가짜뉴스 한 건 했네 발명도둑잡기(39.7) 19:20 15 1
2891043 꿀팁)친중매국 반미극좌 CIA에 신고하고 포상금받자~(한국어로)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 18 0
2891042 강아지들 이 사진 어때보임? [2] 메쿠이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7 27 0
2891037 고졸 백수 그냥 쉬었음 인데 류류(118.235) 18:24 32 1
2891036 그냥 더닝크루거 정점 인증용 맞네 류류(118.235) 18:23 26 1
2891035 뀨❤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7 15 0
2891034 121.139 애미뒤진 벌레 아직도 나대냐 류류(118.235) 18:16 25 0
2891033 늙고 역겨운 극좌 영포티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8 13 0
2891032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4 15 0
2891031 백종원 보니까 생각나네. 프갤러(121.139) 17:29 40 1
2891029 어차피 대부분 쉐이더는 권장 문법이라는게 있어서 쓰는 문법이 비슷해 [2] ㅆㅇㅆ(124.216) 17:15 43 0
2891028 shader lab 써도 되고 그냥 hlsl 기반인 유니티 [3] ㅆㅇㅆ(124.216) 17:10 35 0
2891027 제 인생 암만 남한테 물어봐도 의미없죠?? 닥치고 할일이나 할까요?? ㅇㅇ(223.39) 17:08 13 0
2891026 쉐이더 그래프 이거 어렵냐? [4] 루도그담당(118.235) 17:08 35 0
2891025 확실히 WSL 키고 코덱스 쓰니까 속도 존나 빠르네 ㅆㅇㅆ(124.216) 17:02 26 0
2891024 유니티 잘하고 싶다 [3] 루도그담당(118.235) 16:58 48 0
2891023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7 17 0
2891022 아 몰랐는데 Rancher Desktop은 디스트로가 [2] ㅆㅇㅆ(124.216) 16:48 28 0
2891021 바보 새끼들 ㅋㅋ [2] 프갤러(121.139) 16:40 52 1
2891020 금연하면 피로감 줄어들고 체력 올라감?? ㅇㅇ(223.39) 16:40 18 0
2891019 4년차 580에 이직했는데 대박친거냐?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8 68 0
2891018 소넷 개별로네 [2] 프갤러(211.224) 16:31 25 0
2891017 성실은 기본만큼은 하는것 프갤러(211.234) 16:27 24 0
2891016 성실과 노력의 가치는 안될때도 이악물고 하는것을 얘기하나... ㅇㅇ(223.39) 16:05 17 0
2891015 꿀팁) 친중매국 반미극좌 CIA에 신고하는법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4 58 0
2891013 오랜만이다 친구들아 [2]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6 36 0
2891012 행님들 팅커캐드 학교과제로 하고있는데 코드가 잘 안짜집니다 도움좀 ㅠ [5] 프갤러(223.194) 15:31 69 1
2891010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6 23 0
2891009 전산직 이직하니 개발은거의 안하네 [1] 프갤러(115.21) 15:05 58 0
2891008 나님 리포스팅된거 3만명 ㄷㅅㄷ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9 34 0
뉴스 손예진, 맥퀸 드레스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레드카펫 룩 완성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