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로스트아크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로스트아크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오사카 박람회 화장실이 논란 SabreGDS
- "尹, 파면 뒤 거의 매일 외부인 불러 식사" ㅇㅇ
- 유명아이돌 '딥페이크 영상물' 제작·유포한 남성 100여명 검거 ㅇㅇ
- 좀전 끝난 오늘자 미국 국무회의 요약본 ㅇ
- 싱글벙글 삼성전자식 프리미엄화 방법 ㅇㅇ
- 돌고도는 DC 수스쿼와 MCU 썬더볼츠 관계..jpg ㅇㅇ
- 일본 코카콜라, "짱구는 못말려" 첫 공식 실사 CM 공개 ㅇㅇ
- 日, 짱구는 못말려 실사화 발표... 애니 실사화의 악몽 이어지나 난징대파티
- 이재명 국민의 도구"...'감성 다큐' 출마 선언과 지지율 XIOM
- 얼탱얼탱 비버비유법으로 폭동난 쌀숭이 본진 메이플 인벤 ㅇㅇ
- (jtbc단독) 대통령실과 안가 cctv를 지우고 있음. 나무
- "트럼프, 한덕수 유력 대선후보로 소개받고 전화" ㅇㅇ
- 새만금 잼버리 파행, 여가부 허위보고 영향 나무
- 싱글벙글 요즘 연애문화가 기괴하다는 언냐 초신성
- "수틀리면 빠꾸, 아빠한테 냅다 뛰어와" ㅇㅇ
깜짝깜짝 이슬람을 억누르는 이슬람 국가.JPG
바로 중앙아시아의 '타지키스탄' 어떤 정책이 있을까? 1. 국가차원의 이슬람교 관리 정부에 '종교 관리부처'가 있음 이슬람이 필요 이상으로 깝치면 법으로 조져버림 2. 이슬람 사원 대거 폐쇄 미국에 9.11 테러가 터지니까 갑자기 모스크를 대부분 없애버림 이유는 테러단체에 타지키스탄인이 한 명 있었기 때문 3. 여성의 검은색 패션 금지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르카마냥 개지랄 난다고 여자들 아예 검정색 못 입게 함 4. 여성의 히잡 착용 금지 여자들 히잡 못 쓰게 다 벗겨버림 히잡 쓰면 아예 '성매매 여성'으로 규정해서 사회적 낙인 갈김 다른 이슬람 국가들이랑 완전 반대 5. 남자들 수염 금지 이슬람 남자들 턱수염 수북하게 기르는거 좆같다고 수염 많이 기르는거 법으로 금지시킴 기르는건 상관없는데 테러리스트마냥 기르면 자름 아예 13000명한테 본보기로 강제 면도형 내린적도 있음 6. 이슬람식 작명 금지 '무함마드'니 '알리' 같은 아랍향 물씬 나는 이름 죄다 금지시킴 옛날에 소비에트 연방이라 이름 다 러시아 느낌 남 7. 미성년자 종교시설 금지 아직 애새끼인데 이슬람 시설 데려가면 부모님 바로 조져버림 성인이 되어서 자기 발로 가야함 8. 이슬람 근본주의 야당 해산 이 새끼들 100% 테러리스트 된다고 정당 강제로 해산시켜버림 ㄷㄷ 얘들이 왜 이렇게 민감하냐면 하필 '아프가니스탄'이랑 국경 바로 붙어있음 ㅋㅋㅋ 방심하면 바로 탈레반, 알카에다 넘어옴 ㄷㄷ이런 정책이 어케 가능하냐? 이 새끼가 혼자 33년동안 독재중임 ㅋㅋ 근데 국민 지지율은 ㅈㄴ 높음 97% 찍은 적도 있음 ㅋㅋ 이번에 아예 종신집권 해버리고 뒤지면 북한처럼 아들이 계승한다고 함 중동새끼들은 아프간이고 이란이고 민주주의 함부로 하다가 좆망하는게 태반이라 그냥 다 독재자 지지한다고 함...
작성자 : ㅇㅇ고정닉
스압)싱글벙글 상남자의 랠리카들을.Araboza
https://youtu.be/zYtOIAblUHs?si=5teOg4fF9mr1u7_- Heartbeat / Nathalie? ? We've just created a special playlist named *Eurobeat catalog* in order for you to listen to all songs from *SinclaireStyle* ’s entire Eurobeat catalog...youtu.be(보면서 같이 들으면 좋은 노래) 예아 반갑다 게이들아 오늘은 1980년대 그룹 B 시절보다 더 진또배기 상남자들 시절인 1960년대 초중반 *랠리에 참여했던 자동차들을 알아보자 (* 랠리(Rally) 란? 본디 집회라는 말로서 1890년대~1900년대 초반 각종 자동차 메이커에서 본인들의 기술력 증명을 위해 집회를 열어 경주를 한 것이 유래가 되어 현재까지 내려오게 됨) 특히 이 시절에는 그나마 안전 규정이라도 잡혔던 WRC 발족 시기와 달리, 자동차도 양산차에서 큰 개조를 거치지 않은데다,(기껏해야 라이트 몇개 추가) 드라이버의 목숨을 보장해 줄 하이바나 안전장치도 없었고, 더티플레이도 횡행하던 시기기에 랠리 도중 리타이어하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는 드라이버도 굉장히 많았다. 1960년 몬테 카를로 랠리, 참가번호 284, 차종은 모리스 미니 마이너, 드라이버는 알렉 피츠(Alec Pitts)와 토니 앰브로즈(Tony Ambrose) 2인. 경주 도중 사고로 인해 차체가 찌그러지고 개박살이 난 상황에서도 리타이어 선언 없이 끝까지 완주에 성공하여 영국인 특유의 곤조를 세상에 알린 것으로 유명하다. 해당 랠리에는, 사진의 284번 말고도 몇 대가 더 참가했으며, 몬테 카를로 랠리에 참가한 이 미니들은 비록 1등을 하지 못했지만 완주에는 성공했다. 특히 티코만한 작달만한 차체에 850cc 엔진을 박고, 전륜구동이라는 특성 덕에 험지에서 강한 미니는 본인보다 두배가 넘는 크기의 벤츠나, 미국의 포드 등에게도 지지 않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1960년 몬테 카를로 랠리, 참가번호 28번, 차종은 시트로엥 DS 19. 드라이버는 스투레 노토르프(Sture Nottorp)와 보 헬버그(Bo Hellberg) 2인. 해당 랠리에 참여한 유명 차량은 비단 미니 뿐만 아니라 시트로엥도 있었는데, 당시 시트로엥이 참가시킨 차량은 관용차와 고급 대형차로 판매되었던 DS 19였다. 이 차도 미니처럼 전륜구동이었는데, 한가지 특징으로 멈춰있을 때 내려앉은 서스펜션이 시동을 걸면 위로 올라가는 유압식 서스펜션을 사용하고 있었다. 당시 이 차도 사고를 당해 후방 펜더가 떨어져 처참한 몰골이 되었지만 리타이어하지 않고 완주에 성공하였다. 1962년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 참가번호 40번, 차종은 폭스바겐 비틀, 드라이버는 토미 피아스타드(Tommy Fjastad).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는 아프리카 특유의 지랄맞은 환경과, 맹수들이 우글거리는 늪지, 사바나, 사막을 돌파하는 당대 자동차를 극한으로 몰아붙이는 시험대라고 할 수 있으며 중간에 차가 퍼진다면 맹수 때문에 생명을 잃을 수도 있던 극악의 랠리라고 할 수 있었다. 특히 사진의 폭스바겐 비틀은 라디에이터가 없이 오로지 공기로만 엔진을 식혀야 하는 공랭식에, 엔진이 뒤에 있는데다 험지에서 쥐약인 후륜구동이었지만 수많은 경쟁자를 따돌리고 당당히 1위로 랠리를 완주했다. 1964년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 참가번호 3번, 차종은 포드 코티나 GT, 드라이버는 피터 휴즈(Peter Hughes)와 빌리 영(Billy Young). 1964년 사파리 랠리 당시 참가 차량은 94대였으나 완주 차량은 21대에 불과했다. 참고로 이 사진의 주인공들은 해당 랠리에서 1등으로 완주하여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964년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 참가, 참가번호 74번, 차종은 머큐리 코멧 칼리안테, 드라이버는 불명. 총 2대가 참가하여 각각 18등, 그리고 21등을 차지했다고 한다. 당시 미국 자동차, 그것도 머슬카가 랠리에 참여하는 것도 이례적인데 완주까지 해서 화제가 되었다. 특이하게도 유럽 번호판이 아니라 미국 번호판을 그대로 끼고 출전했다. 1965년 몬테 카를로 랠리, 참가번호 52번, 차종은 모리스 미니 쿠퍼 S, 드라이버는 티모 매키넨(Timo Mäkinen)과 폴 이스터(Paul Easter) 2인. 65년 몬테 카를로 랠리는 폭설로 인해 코스가 빙판길이 되는 하드코어 난이도가 되었지만, 핀란드 출신의 티모 매키넨은 그 동안 여러 랠리에서 숱하게 단련된 드라이빙 실력과 조수석의 코드라이버인 폴 이스터의 어시스트로 우승컵을 들여올렸다. 당시 이들이 탔던 미니는 1960년 몬테 카를로 랠리 우승으로 만들어진 고성능 사양 미니 쿠퍼 S로, 티코만한 차체에 1.1L 짜리 엔진을 쑤셔박아 만들어진 괴물같은 성능으로 일명 거인 사냥꾼(Giant Hunter)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티모 매키넨은 이후에도 핀란드인으로서 여러 랠리에 참여하여 국위선양에 큰 이바지를 하였으며, 이 덕에 뛰어난 기량을 보이는 핀란드인을 칭하는 플라잉 핀(Flying Finn)이라는 단어가 생겼다. 1966년 동아프리카 사파리 랠리, 참가번호 5번, 차종은 푸조 404 세단, 드라이버는 베르트 샤클랜드(Bert Shankland)와 크리스 로스웰(Chris Rothwell) 2인. 1960년대 푸조의 기함이라고 할 수 있던 404가 처음으로 우승한 랠리로, 이 당시 E클래스에 맞먹는 크기에도 민첩하게 움직이면서 극한의 환경에서 경쟁자들을 모두 재끼고 1등으로 완주하였다. 추가로 푸조 404는 절대로 안뒤지는 푸조로 현지에서 유명세가 자자하다. 1966년 이후로는 랠리에 안전 규정들이 속속 잡히면서 이전처럼 노빠꾸로 하이바도 안쓰고 뛰는 랠리카들은 차츰 사라지게 된다. 비록 야만과 낭만의 컴퓨터 따위 없이 기계가 부딫히는 소리만 가득하던 시기였지만 이 때가 있었기에 현재 WRC가 있게 된 것이라 봐도 무방하다. 작년 WRC에서 뛰는 랠리카 움짤을 마지막으로 이만 글을 마치겠다. 항상 안전운전해라 게이들아. -끝-
작성자 : 림송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창술 오래할거면
둘다
사멸이 답이다 블레ㄱ
창술
둘다 템 맞출수록 쌔지는캐릭이라 ㄱㅊ
사멸 너프먹을텐데 창술 ㄱ
2주 뒤 블레 상향 예정
로갤러는 갤러리에서 권장하는 비회원 전용
갤닉네임입니다. (삭제 시 닉네임 등록 가능)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