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애정남] 스마트폰 보호 필름, 필수가 아니라 상술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3.18 15:20:35
조회 173 추천 1 댓글 1
[IT동아 권택경 기자] IT 전반에 관한 의문, 혹은 제품 및 서비스의 선택에 고민이 있는 독자의 문의 사항을 해결해드리는 ‘IT애정남’입니다. 몇 년전만 해도 스마트폰을 사면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이는 게 필수이자 상식인 것처럼 통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 자체 강화유리도 상당히 품질이 높다 보니 화면 보호 필름, 강화유리 무용론까지 심심찮게 등장하곤 합니다. 그러다 보니 소비자들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때도 있는데요. 과연 정답은 무엇일까요? ehrrxxxxx님의 사연입니다. (일부 내용 편집)

스마트폰을 사면 당연히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여야 하는 거로 알고 있었는데요. 최근 이런 제품들이 대부분 과장, 허위광고이며 별로 효과가 없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렇다고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안 붙이려고 하니 뭔가 불안하네요. 뭐가 사실인가요?

필수 아닌 선택, 개인차에 따라 효용성 달라져



출처=셔터스톡



현재 출시되는 스마트폰 화면은 대부분 제조사 차원에서 이미 상당히 품질이 높은 강화유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경도(Hardness)로 따지면 모스 굳기계로 6~7 정도입니다. 모스 굳기계란 광물의 딱딱함을 가르는 기준으로, 두 물질을 서로 긁었을 때 어느 쪽에 흠집이 나느냐에 따라 순서를 매긴 값입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 화면의 모스 경도가 6이라는 뜻은 6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로 화면을 긁으면 흠집이 난다는 뜻입니다.

모스 굳기계에 따르면 동전은 3~3.5, 칼날은 5.5~6.5 정도의 경도를 지닙니다. 실제로 최신 스마트폰으로 실험하면 화면을 대놓고 칼날로 그어도 흠집이 잘 나지 않을 정도로 단단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주머니에 스마트폰에 동전이나 열쇠를 넣어도 흠집이 생길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막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언제 어디서 생겼는지 모를 흠집을 발견할 때가 많습니다. 이는 대부분 먼지에 의해 발생합니다. 모래, 미세먼지 등은 스마트폰보다 경도가 높은 광물 성분을 흔히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런 먼지가 화면에 마찰되면서 소위 ‘생활기스’라 부르는 미세한 흠집들이 발생하곤 하는 거죠.

그렇다면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는 이런 흠집이 발생하는 걸 막아줄 수 있을까요? 일단 페트나 우레탄 재질 필름은 두께도 얇고 경도도 유리보다 낮으므로 보호 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강화유리는 사정이 낫지만, 스마트폰 자체 강화유리보다 경도가 높은 건 아닙니다.


강화유리 제조사들이 내세우는



시중에 판매되는 강화유리 상당수는 ‘경도 9H’라는 수치를 내세우며 홍보합니다. 모스 굳기계로 따지면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그런데 이 9H라는 수치는 모스 굳기계가 아닌, 연필 경도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측정한 수치입니다. 일종의 마케팅 용어라고 할 수 있는 셈입니다. 원래 자동차 유리막 코팅 업계에서 경도를 돋보이게 표현하려 쓰던 표현이 그대로 넘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강화유리들의 실제 경도는 대부분 스마트폰 자체 강화유리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 강화유리를 부착하더라도 부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흠집이 덜 나지는 않습니다. 예외적으로 사파이어 글래스 재질로 제작된 제품은 더 높은 경도를 지니고 있지만, 이런 제품은 잘 나오지도 않고 가격도 다른 제품보다 훨씬 비쌉니다.

이런 의미에서 화면 보호 필름이나 부착식 강화유리의 보호 효과가 다소 과장된 건 어느 정도 사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일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건 조금 섣부른 결론입니다.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여두면 적어도 스마트폰 맨 화면에 흠집을 나는 걸 막을 수 있으니깐요. 일종의 1차 방어막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스마트폰 맨 화면에 흠집이 나면 돌이킬 길이 없습니다. 수리점에 방문해서 화면을 교환하는 수밖에 없죠. 그리고 이는 적어도 십만 원이 넘는 비용이 드는 일입니다. 하지만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여놓았더라면, 이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물론, 비용은 훨씬 더 저렴하죠.

낙하 시 깨지는 걸 방지하는 효과는 어떨까요?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가 낙하충격을 줄여주는 효과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있어서도 의미가 없지는 않습니다. 유리라는 건 결국 미세한 흠집과 균열이 쌓이다 보면 내구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스마트폰 화면도 마찬가집니다. 아주 낮은 높이에서 떨어뜨린 스마트폰이 허무할 정도로 쉽게 깨졌다는 사례가 종종 나오곤 하는데, 미세한 균열이나 흠집이 쌓이고 쌓인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소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붙여두고 스마트폰 화면을 새것처럼 유지했다면 이런 일을 줄일 수 있겠죠.


출처=셔터스톡



물론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부착하면 화질이나 터치 감도도 떨어지고, 여러모로 사용성이 떨어집니다. 이게 싫어서라도 맨 화면을 선호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물건이라는 게 쓰다보면 닳기 마련인데, 흠집 좀 난다고 대수냐’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고요. 이런 분들은 굳이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부착할 필요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물건을 애지중지 여겨서 작은 흠집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분이거나, 추후 중고 판매를 계획하고 있는 분이라면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부착하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개인 습관도 고려해야 합니다. 물건을 비교적 험하게 다루거나, 자주 떨어뜨리는 분들이라면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부착하는 편이 낫습니다.

결론적으로 화면 보호 필름이나 강화유리를 반드시 붙여야 하는 건 아니지만, 반대로 쓸모가 없는 것도 아닙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득보다 실이 클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화면 보호 필름이 없어도 괜찮다는 남의 말만 믿고 붙여놓은 필름을 뗐다가 어느 순간 생긴 흠집을 발견하며 후회하는 사례도 드물지 않게 접합니다. 순전히 개인 선호 문제일 뿐, 정답은 없습니다. 자신의 성향이나 사용 환경을 잘 생각해보고 신중히 선택하길 권해드립니다.

'IT애정남'은 IT제품의 선택, 혹은 사용 과정에서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님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PC, 스마트폰, 카메라, AV기기, 액세서리 등 어떤 분야라도 '애정'을 가지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기사화하여 모든 독자들과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도움을 원하시는 분은 IT동아 앞으로 메일(pengo@donga.com)을 주시길 바랍니다. 사연이 채택되면 답장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글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한 손에 쏙, 실속·성능 갖춘 ‘소형 스마트폰’에 주목▶ [IT애정남] 최신 스마트폰 성능 발목잡는 스로틀링, 개선 방안은?▶ 발뮤다 폰 연이어 수난, 판매 중단 이어 가격 30% 인하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059 금성오락실에서 만난 42형 LG 올레드 evo…’게이머들 홀릴만하네’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1729 2
1058 [WIS 2022] 국내 ICT 최전선을 가다…월드IT쇼 20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732 0
1057 [뉴스줌인] PC 튜닝의 필수요소 된 RGB LED, 그런데 ARGB는 또 뭐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74 0
1056 [스타트업-ing] 브이스페이스 조범동 대표 “UAM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40 0
1055 [뉴스줌인]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이미지생성 AI 'RQ-Transformer'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57 0
1054 한국기술벤처재단 이영호 사무총장 “창업 지원 20년, 기술창업 기반을 마련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49 0
1053 AMD, 라이젠 프로 6000 CPU로 기업 시장 공략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82 0
1052 러시아 침공·부품 수급난 속 스마트폰 시장, 2022 1Q 11% 감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0 531 2
1051 최초로 QD-OLED 적용한 ‘끝판왕’ 게이밍 모니터, 델 에일리언웨어 AW3423DW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1740 5
1050 박선기 퍼밋 대표 “사람이 최우선, 농민들 고민 해결하는 스마트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74 1
1049 [스타트업ing] 패밀리 김주희 대표, “당신에게 맞는 건강한 음식을 추천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95 0
1048 모바일 게임으로 브랜드/제품을 알리는 '애드버게이밍'의 부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57 0
1047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D 동화체험, 디지털기술이 아이의 세계를 넓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52 0
1046 [스타트업-ing] 칼렛바이오 권영삼 대표, “친환경 포장재, 쉽게 주문하고 제작할 수 있습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1155 0
1045 트위터 입맛대로 주무르려는 머스크…이사회는 '독약 처방'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2727 13
1044 [리뷰] 디지털로 한계를 극복하다, 후지필름 인스탁스 미니 에보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1367 0
1043 [주간투자동향] 파스토, 80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115 0
1041 [스케일업] 웍스메이트 (1) 건설 인력 '양과 질' 확보가 승패 가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52 0
1042 [스케일업] 웍스메이트 (1) 건설 인력 '양과 질' 확보가 승패 가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519 0
1040 홍익대 학생들, 가비아와 손잡고 ‘글꼴’ 제작 나선 이유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119 1
1039 AI 산업 트렌드와 발전상 한눈에…제5회 국제인공지능대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107 0
1038 [IT애정남] 현장 증거 확보하는 바디캠, 일반인이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133 0
1037 [스타트업-ing] 참약사 김병주 대표, “그저 약만 판매하던 약국을 바꾸고자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82 0
1036 [IT운영관리] 6.속도 못내는 디지털전환, 기업 위기감은 커져.. "국내도 클라우드 기반 IT운영관리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89 0
1035 [스타트업人] “미술품의 가치를 콘텐츠로 전합니다”, 테사 에디터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70 0
1034 라이브 커머스 경쟁력, 콘텐츠·상품만큼 '기술력'도 챙겨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105 0
1033 상상우리, "중장년 세대의 재취업, 협업 툴 잔디로 가능성 심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78 0
1032 [리뷰] 300시간 배터리, 이 정도면 혁신…하이퍼엑스 클라우드 알파 무선 헤드셋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169 3
1031 ‘타다 넥스트’ 정식 출시, 서비스 고급화 및 택시 기사와의 공생 강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083 1
1030 [스타트업-ing] 모픽 신창봉 대표, “평면 디스플레이에 3D를 구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77 0
1029 [리뷰] GPU 경쟁 시작됐다··· 베일 벗은 '인텔 A350M 그래픽 카드'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889 6
1028 [모빌리티 인사이트] 도심항공 모빌리티(UAM)는 어디에서 타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202 0
1027 5G만큼 빠른 Wi-Fi 7 시대 성큼, 브로드컴 샘플 칩 출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89 0
1026 요즘 2030세대는 AI로 투자한다.. 다만, 전문가는 "고수익 좇긴 어렵다" 당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726 2
1025 델컴퍼니 “IoT로 범위 넓히는 조명 업계, 파트너십과 신제품 발굴이 관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120 0
1023 [리뷰] LED로 밝히다, 카멜마운트 고든 HMA2 RGB 싱글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75 0
1022 [스케일업] 드리머리 (1) BM분석 - 뷰티, 커머스가 아닌 콘텐츠 플랫폼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3 46 0
1021 뱅앤올룹슨의 한국 사랑, 아시아 최대 매장에 주문 제작 서비스까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1779 3
1020 플링크 "화상회의, 실시간의 이점을 살려야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50 0
1019 [IT애정남] 외장 SSD, 완제품과 조립형 케이스 중 어떤 게 좋을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145 0
1018 비보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 ‘X 폴드’ 삼성 갤럭시 Z 폴드3와 비교해보니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1364 1
1017 [BIT 인사이트저널] 집 앞까지의 마지막 한 걸음, '뉴빌리티'의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61 0
1016 [스타트업-ing] 로드시스템 장양호 대표, “스마트폰 속 여권을 인증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52 0
1015 삼성전자, 재생 부품 활용해 갤럭시 수리비 줄인다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1151 2
1014 인공지능의 진화, 설명·목소리만 듣고 사진 한 장 뚝딱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2 1442 2
1013 [리뷰] 샤오미 버즈 3T 프로, 강력한 노이즈 캔슬링에 하이파이 음질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27 0
1012 [주간투자동향] 이스크라, 420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49 0
1011 '채굴 빙하기' 앞둔 이더리움, 가상자산 시장에도 친환경 물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03 0
1010 교육용 컴퓨터도 성능 고려해야, '학습용 컴퓨터'를 고르는 기준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72 0
1009 [스케일업] 딥파인 (2) 증강현실 상업이냐 기술이냐, 방향 정하고 차별화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33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