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코로나 특수’ 맞았던 글로벌 게임시장, 왜 중국만 역성장?[K비즈니스 가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5.25 19:03:46
조회 1969 추천 6 댓글 21
80억 인구가 기다리는 글로벌 시장은 무한한 기회의 땅입니다. 본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KOTRA)는 K팝, K뷰티, K푸드 등의 뒤를 이은 새로운 K트렌드의 등장을 응원하기 위한 공동기획, ‘K비즈니스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KOTRA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경제 정보 포탈인 ‘KOTRA 해외시장뉴스’에 최근 올라온 소식 중, 주목할 만한 것을 소개합니다. 이와 더불어 각종 용어에 대한 해설,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분석을 덧붙여 글로벌 시장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합니다.


(출처=셔터스톡)



참고: 콘텐츠산업 x 해외시장뉴스+ (2023. 4. 20, KOTRA)

요약: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글로벌 게임 시장은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으며, 특히 모바일 게임 시장의 비중이 커지며 게임계의 판도를 바꾸고 있음. 이와 더불어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의 최신 기술과 결합에 적극적인 일본,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게임 시장이 특히 눈에 띔.

[IT동아 김영우 기자] 3년여간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해 많은 산업이 침체에 빠졌으나, 오히려 호황을 누린 산업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게임 분야입니다. 올해 초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의 내용에 따르면, 국내 게임 산업 매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된 2021년, 전년도 대비 5.8% 증가한 20조 9913억원을 기록했으며, 2022년은 22조 7,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려 국내 게임 시장 규모가 사상 최초로 20조원을 돌파했다는 의미죠.

글로벌 시장도 대부분 비슷한 흐름을 이어갔는데, 가도카와 아스키종합연구소에서 작년 8월 발간한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 게임 콘텐츠 시장은 2020년도에 전년도 대비 20%가량 성장해 2조엔을 돌파했습니다. 2021년에는 전년 대비 0.8%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2조엔대를 유지했죠. 그 외에 인도네시아 게임 시장 역시 2021년도에 전년대비 16.7% 성장했고, 2022년도에는 9.2% 성장이 예상된다고 글로벌 컨설팅 기관 PwC는 보고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엔데믹(풍토병화)으로 전환된 2023년부터는 게임 시장의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는 보고도 적지 않습니다만, 전반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글로벌 게임 시장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집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예전보다 더 많이 게임을 하게 되었다는 의미죠.


(출처= 더방증권연구소)



그런데, 대부분 국가의 게임 산업이 ‘코로나 특수’를 맞은 반면, 같은 시기에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이 두드러진 국가도 있었습니다. 이는 다름 아닌 중국입니다. 앞서 소개한 KOTRA의 ‘콘텐츠산업 x 해외시장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게임 시장은 2022년, 10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그 규모도 커서 전년도 대비 10.3%나 매출이 줄어든 2659억 위안을 기록했죠.

매출액 감소와 더불어 게임 산업에 투자하는 비용 역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중국 현지의 게임 개발 규모가 전년도보다 13.1% 줄어든 2223억 7000만 위안에 그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위와 같은 현상이 왜 유독 중국에서만 나타난 걸까요? 중국 게이머들이 게임을 하지 않게 된 것일까요?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중국 게임 시장 관련 지표가 눈에 띄게 하락한 가운데, 같은 시기 중국 온라인 게임 이용자 수는 전년도 대비 0.33% 줄어든 6억 6,400만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개발 및 출시되는 게임의 수가 줄고, 매출액도 줄어들었지만 정작 게임을 즐기는 인구 자체는 큰 변화가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유를 알아보려면 해당 시기 동안 중국 정부에서 발표된 각종 게임 관련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2018~2022년 사이, 중국 정부는 새로운 게임의 출시를 막고, 미성년자 게이머들의 게임 플레이 시간을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 다양한 시장 통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2018년 3월, ‘게임신고 신사비준 중요사항 통지’를 발표해 모든 게임 판호(서비스 허가) 발급을 잠시 중단하기도 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아동청소년 근시 종합 예방통제 실시방안’, 2019년 11월에는 ‘미성년자의 온라인게임 중독 방지에 관한 통지’를 발표해 게임의 총량 및 미성년자의 게임 플레이 시간을 제한할 것을 예고했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윽고 2021년 6월에는 새로운 ‘미성년자 보호법’을 의결했습니다. 이는 미성년자의 심신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콘텐츠의 제작과 배포를 막는 것과 더불어, 18세 미만 청소년이 휴일은 하루 3시간, 그 외의 날에는 하루 1.5시간만 온라인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도타2(DOTA2)’ 게임을 플레이하는 중국 게이머들 (출처=게임동아)



이런 강력한 규제와 더불어 2021년 8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게임판호의 심사비준을 다시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중국 게임 시장을 급속히 냉각시켰는데, 출시되는 게임의 수가 급감하고 이미 서비스 중인 게임의 상당수는 이용자들의 플레이 시간이 크게 줄었습니다. 일부 게임은 서비스를 중단하기도 했죠.

2022년 11월에 와서야 중국 정부가 새로운 미성년자 보호법이 성과를 거두었다며 온라인 게임의 감독을 완화해 게임 시장이 한숨을 돌리긴 했습니다만, 2021년에만 14,000개에 달하는 중국 게임 업체가 문을 닫는 등의 타격이 발생했죠.

물론 중국 게임시장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이 꼭 정부 정책 때문만은 아닙니다. 업계 전반의 투자가 활성화되지 않았고 인건비 등 원가상승의 압력으로 신제품 출시가 감소한 원인도 크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독 중국만이 글로벌 시장과 정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 것은 중국 게임 시장에서 정부의 입김이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시사하는 사례입니다.

중국 게임 시장 진출을 노리는 대한민국 기업이라면 이러한 시장 특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할 것입니다. 우선 중국내에 외국 게임을 서비스하기 위한 기본 조건부터 엄격합니다. 2016년 중국 국가신문출판서에서 발표한 ‘인터넷출판서비스관리규정’ 제10조에 따르면, 외국 기업은 온라인 게임을 비롯한 인터넷 출판 서비스에 종사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대다수의 외국 기업들은 중국내 기업과 손잡고 게임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 온라인 게임을 유통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은 만만치 않습니다. 우선 중국 국가신문출판서에 '게임운영비안(온라인게임의 출판경외저작권 권한부여 신청서, 온라인게임 스크린샷 등)'을 제출하고, 비준이 되면 '컴퓨터소프트웨어저작권등기증', 'ICP 허가증', '게임판호(ISBN)'를 등록해야 합니다.

이 중 게임판호가 특히 발급받기 어려운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중국 국가신문출판서 발급하는 서비스 허가권의 일종으로, 판호가 없을 경우 온라인 테스트만 할 수 있고 유료 서비스는 할 수 없으니 필수 조건이나 다름없죠. 게임의 품질이나 내용이 중국 당국에서 정하는 기준을 통과해야 하는데, 그 기준이 상당히 엄격합니다. 특히 채점 기준 중에는 게임의 내용이 사회주의적 핵심가치관에 부합하는지를 따지는 ‘관념 지향’이라는 항목도 있을 정도입니다. 때문에 중국에 출시되는 외국 게임들은 게임 주제나 연출, 플레이 방식 등을 수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유령’과 같이 유물론에 어긋나는 존재, ‘해골’과 같이 신체 훼손을 연상시키는 요소, ‘붉은 액체’와 같이 피를 연상시키는 표현 등이 포함된 게임은 판호 발급이 거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나라 기준으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유독 중국 시장에서만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외의 외부요인, 특히 정치적인 문제로 외국 게임의 판호 발급이 거부되는 사례도 많습니다. 2016년 주한미군 사드 배치로 인해 촉발된 이른바 ‘한한령(限韓令, 한류 제한령)’이 대표적이죠. 이를 통해 중국내 한국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나는 등, 타격이 컸습니다.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 발급도 한동안 중단되었죠. 물론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한령을 지시한 바 없다고 밝히고 있습니다만, 암암리에 이런 분위기를 유도한 정황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작년 12월 중국 판호를 통과해 출시가 가능해진 스마일게이트의 MMORPG ‘로스트아크’(출처=텐센트)



하지만 2022년 12월에 한국 게임 7종이 판호를 발급받는 등, 한한령도 어느정도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한국 게임 업체들은 다시 중국 시장 진출을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간만에 중국 판호를 통과한 ‘로스크아크’, ‘블루아카이브’ 등의 한국 게임은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구가하던 작품이라 중국 내 게이머들의 관심도 매우 높죠.

정리하자면, 중국 게임 시장은 굉장히 크고 그만큼 해외 기업들의 관심도 역시 높습니다. 다만 각종 시장 규제가 촘촘하게 존재하며, 특히 외국계 게임의 경우는 더욱 장벽이 높습니다. 이와 더불어 정부 정책이나 외교 관계를 비롯한 정치적 이슈에 따라 시장 분위기 및 비공식적인 규제의 기준이 급격하게 변화합니다. 중국 게임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대한민국 기업이라면 이러한 점을 고려해 신중한 접근을 하길 바랍니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중국, 美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제재··· '기로에 선 한·미 반도체 기업들'▶ MS, 블리자드 인수 무산 위기에…"집안 단속이나 잘해라" 불만 폭발▶ ‘인도>중국’이라는 새로운 상식, 아십니까?[K비즈니스 가이드]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08 [뉴스줌인] 엑스박스 인증받은 빔프로젝터, 뷰소닉 X1-4K, X2-4K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7 464 1
2807 PC 해킹·랜섬웨어 대비는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7 2131 11
2806 [주간투자동향] 베스트그래핀, 8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7 74 0
2805 [IT신상공개] 뇌파로 스트레스·수면장애 다스린다 ‘LG전자 브리즈’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7 1675 3
2804 ‘발암가능물질’된 아스파탐, 적당히 먹는 건 괜찮다지만… [17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9945 15
2803 국가 중요시설에 날아드는 드론…"초정밀 위치 파악·고유식별정보로 대응"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242 0
2802 수면 추적·제어로 충분한 수면 돕는 슬립테크 솔루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196 0
2801 생성형 AI로 위상 높아진 CVPR, 그 자리를 빛낸 국내 스타트업 세 곳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115 0
2800 [스케일업] 아일로 [1] “디지털 굿즈 올인원 플랫폼 ‘하플’을 아시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99 0
2799 [농업이 IT(잇)다] 닥터트루 “스테비아·스윗비아, 無설탕 건강한 식탁”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4 962 0
2798 서울진로직업박람회에서 만난 확장현실 체험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3 118 0
2797 [SCS] 현대산업개발·웍스메이트가 ‘건설업 디지털 전환’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3 100 0
2796 [스케일업] 내일의쓰임 [2] 더볼트 김보라 대표 “커뮤니티 기반 친환경 플랫폼 되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3 95 0
2795 [IT 신상공개] 갤럭시Z폴드 대항마, 아너 매직 V2 성능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3 1936 2
2794 뒷면에 더 눈길? ‘낫싱 폰(2)’ 한국 상륙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2 2504 6
2793 [IT 신상공개] 구직자와 기업 담당자가 직접 소통하는 커리어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2 95 0
2792 [뉴스줌인] 썬더볼트4 독과 똑 닮은 USB 멀티 허브, 쓸 만할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1595 2
2791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티아이 “오차 없는 백내장 수술…핵심은 절개 장치 규격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196 0
2790 국회 통과한 가상자산법, 규제 공백 채워 이용자 보호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1138 3
2789 서울과기대 해커톤 개최, '환경 문제 대한 젊은이들의 열정과 기술 펼쳤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102 0
2788 [스케일업] 챕터서울 [2] 케이브레인 “교육 사업, 현장 수요 찾아 신뢰 줘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97 0
2787 메타 스레드 ‘가짜 앱’ 주의하세요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2157 0
2786 민세희 경기콘텐츠진흥원 원장, "콘텐츠 업계에 공공의 역할 중요··· 퇴임 후에도 기여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1 101 0
2784 휴일/야간에 병원이나 약국을 찾아야 한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0 904 3
2782 [농업+IT=스마트팜] 7. 나만의 스마트팜 본격 구축하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0 99 0
2780 GS25이어 이마트까지, ‘금 자판기’ 경쟁 막 올랐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222 0
2779 [농업이 IT(잇)다] 그라스메디 “의학의 힘으로 반려동물 삶의 질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123 0
2778 [IT강의실] 뼈로 듣는다 ‘골전도 이어폰’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1282 3
2777 [스케일업] 리하베스트 [1] 리너지 가루 앞세워 업사이클링 대표주자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113 0
2776 동국대 창업기술원 유광호 원장, “스타트업의 질적 성장을 고민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113 0
2775 [리뷰] ‘디아블로4’도 어디서나 플레이, 에이수스 ROG ALLY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7 794 2
2774 K뷰티, ‘가성비’ 넘어 ‘프리미엄’ 노릴 때[K비즈니스 가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6 95 0
2773 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 최용석 원장, “전북에는 콘텐츠 정책 전문가가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6 262 0
2772 AWS 이기혁 총괄 "’정글’은 우리의 MVP, 더 나은 프로그램 되도록 고민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6 107 0
2771 귀를 막지 않아 편한 이어폰, 샥즈 오픈핏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5 3029 0
2770 에어컨 대신 제습기 써볼까? 제습기 구매 전 알아야 할 '포인트'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5 1953 1
2769 자동차 속에서 콘텐츠를 보고, 듣고, 즐기는 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5 141 0
2768 [스케일업] 지엠씨랩스 [1] “쉽고 편한 가상자산 자동매매 시스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5 111 0
2767 [IT애정남] 취미용 영상 편집 위한 노트북, 골라주세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4 1031 1
2766 AWS “스타트업·중소기업 클라우드 비용 부담 줄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4 124 0
2765 [IT애정남] 어느 순간 흐리게 보이는 렌즈, 문제는 광축 틀어짐?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4 843 1
2764 유클리드 우주선, 제임스 웹과 은하의 신비 푼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4 494 3
2763 마우스 고장? 키보드로 마우스 조작은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3614 15
2762 인공지능으로 RISC-V 반도체 자체 개발··· '인간의 천 배 속도로 설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125 0
2761 [스케일업] 니어브레인 [1] AI·VR 뇌혈류 예측, 뇌혈관질환 극복 선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115 0
2760 [주간투자동향] 팀블랙버드, 85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1291 1
2759 [뉴스줌인] 생성형 AI가 바꾸고 있는 일상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03 3762 1
2758 [뉴스줌인] 지포스 RTX 4060에 적합한 드라이버는 게임 레디? 스튜디오?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30 271 2
2757 티빙, 웨이브, 왓챠… 벼랑 끝 몰린 토종 OTT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30 245 0
2756 [리뷰] 서서 일하는 습관을 위한 책상, 카멜 핏쳐 모션데스크 S1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30 1218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