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업그레이드 확장성이 향상된 4베이 나스, 시놀로지 DS9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1.03 18:17:04
조회 3548 추천 2 댓글 26
[IT동아 남시현 기자]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는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기 내부에 저장된 하드디스크의 저장공간에 접근하는 방식의 외장 드라이브다.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본인이 보관하고 관리하고, 또 클라우드 등의 네트워크 기반 저장 서비스보다 가격 대비 용량이나 가용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클라우드가 데이터 서버에 본인의 데이터를 맡기는 방식이면, 나스는 본인만의 데이터 서버가 생긴다고 볼 수 있다.


AMD 라이젠 R1600을 탑재한 시놀로지 DS923+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출처=IT동아



이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거나, 한 번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특정 데이터에 접근해야 하는 조건에서 나스를 많이 활용한다. 취급 데이터의 용량이 큰 사진 및 영상, 3D 등의 업종은 물론 일반 데이터를 다루는 중소기업까지 모두 포함된다. 나스는 1~2개의 저장 장치가 들어가는 가정용 제품부터 십수 개의 저장 장치를 동시에 탑재하는 기업용 제품까지 다양하며, 작업 조건에 맞는 하드디스크 지원 개수나 프로세서 성능, 메모리 용량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게 된다.

중소기업이지만 중앙집중식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고, 향후 업그레이드 요소까지 고려하는 조건이라면 작년 11월 출시된 시놀로지의 4베이 나스, DS923+ 수준의 제품이 좋다. DS923+를 직접 활용해 제품 구성을 살펴봤다.

AMD 라이젠 기반의 4베이 나스, 시놀로지 DS923+



총 네 개의 HDD를 탑재하며, 핫스왑을 지원해 동작 중에도 빼낼 수 있다. 출처=IT동아



시놀로지는 대만의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전문 제조사며, 디스크스테이션 매니저(Disk Station Manager)라는 고유의 네트워크 기반 운영체제와 백업 용도의 시놀로지 C2 클라우드를 제공해 일반 사용자는 물론 전문가와 기업 사용자까지 널리 쓰이는 제품이다. 11월 출시된 DS923+는 대용량 가정용 및 소규모 기업 환경에 적합한 DS 시리즈의 고성능 4베이 나스로, 4베이 기준 54TB에 DX517 외부 확장 스토리지를 사용해 최대 126TB까지 확장할 수 있다. 내부에 캐시 및 스토리지 용도의 NVMe 슬롯 2개가 있고, 기본 1GbE에 최대 10GbE까지 네트워크 성능을 확장할 수 있다.


DS923+ 전면 및 후면. 출처=IT동아



외관은 금속 재질이며, 높이 166mm 너비 199mm, 깊이 223mm에 무게 2.24kg으로 어디든 놓기 좋다. 전면에는 4개의 하드디스크(HDD) 베이가 배치돼 있고, 전원 버튼과 USB 3.2 Gen 1 포트가 하나있다. 후면에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폭 두 개를 연결해 속도와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는 1GbE 랜포트 2개, USB 3.2 Gen 1 포트, eSATA 포트가 있다. 하단에 2개의 NVMe 포트가 있어서 캐시 용도의 SSD 및 저장 장치 용도로 연결할 수 있다. 10GbE 기능은 ‘E10G22-T1-Mini’를 구매해 별도로 장착해야 활성화된다.


메모리와 NVMe는 각각 두 개씩 장착할 수 있다. 이중 NVMe는 저장공간이 아닌 캐시 메모리 용도다. 출처=IT동아



CPU는 최대 3.1GHz로 동작하는 AMD 라이젠 R1600 듀얼코어 프로세서가 탑재되며, 기본적으로 4GB DDR4 ECC 메모리가 장착돼 있다. 메모리 슬롯은 총 두 개로, 최대 32GB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전 세대인 DS920의 경우 4GB가 보드에 고정돼 있고, 추가 슬롯 하나만 있었는데 여기서 더 확장성이 좋아졌다. 이전 세대까지 주로 사용된 인텔 셀러론 J4125와 비교해 단일 코어 성능은 뛰어나므로 단순 성능은 약 30% 향상됐지만, 코어 수가 4코어 4스레드에서 2코어 4스레드로 바뀌어 다중 코어 성능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DSM으로 완성되는 시놀로지 나스



시놀로지 나스에 탑재되는 DSM 7.1 메인 화면. 출처=IT동아



나스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최적화한 형태의 초소형 컴퓨터며, 제조사들은 제품의 손쉬운 활용과 설정을 돕기 위해 윈도우같이 활용할 수 있는 별도의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시놀로지 나스는 웹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활용하는 ‘디스크스테이션 매니저’가 제공되며, 제품 초기 설정부터 관리, 데이터 보호까지 일관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설정은 스마트폰의 ‘DS파인더’ 앱을 활용하거나, 노트북 및 데스크톱 웹 브라우저에서 ‘find.synology’ 관련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이때 나스에 연결한 네트워크와 연결 기기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돼있어야 한다.


DSM 상에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DSM 상에서는 윈도우나 맥OS처럼 추가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세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다루는 기능에 집중돼있어서 뷰어나 재생 프로그램, 파일 편집기, 백업, 서버 구성, 설정 변경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고급 사용자를 위해 데이터 서버나 메일 서버 등을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물론, 데이터의 다중 보호를 위한 백업 시스템도 잘 마련돼 있다. 모든 연결된 장치를 관리하고 백업하는 ‘액티브 백업 포 비즈니스’나 시놀로지 C2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이중화하는 ‘하이브리드 쉐어’, 여러 백업 버전을 관리하는 하이퍼 백업 등이 대표적이다.


함께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저장공간에 보관된 사진이나 영상, 문서 등의 데이터도 DSM 상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시놀로지 포토를 설치하면 기기에 저장된 사진 및 영상을 자동으로 나열해서 볼 수 있고, 문서 뷰어를 설치하면 저장된 문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는 웹브라우저로 접속하는 ‘시놀로지 퀵커넥트’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는 물론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등의 수단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된 CCTV의 데이터 서버로 이용하거나, DNS 서버를 구축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활용처 인상적··· 전 세대 대비 아쉬운 점 있어


시놀로지 DS923+은 시놀로지의 4베이 나스 제품군에서는 가장 상위 등급의 제품이다. 저장공간도 최대 54TB까지 지원하는 건 물론, 메모리도 최대 32GB까지 확장하고 NVMe SSD 슬롯도 두 개나 마련돼 있다. 확장성 측면에서는 4베이 제품으로는 가장 좋다. 8베이 구성의 DX517를 활용해 최대 126TB까지 확장하거나, 10GbE 랜카드를 활용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DS923+는 서버 용도 혹은 데이터 백업 등의 용도에 더 적합한 구성이다. 출처=IT동아



하지만 업그레이드된 부분만 있는 건 아니다. 프로세서가 교체되면서 단일 코어 성능은 올랐으나 다중코어 성능이 역으로 내려가 고부하 작업에는 아쉬울 수 있다. 게다가 라이젠 R1600 코어에 내장 그래픽 유닛이 없어서 하드웨어 트랜스포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드웨어 트랜스포트가 없으면 고해상도 영상을 다른 네트워크 장치에서 바로 보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랜 포트가 2.5GbE가 아닌 1GbE인 것도 단점이다.

하드웨어 트랜스포트 미지원이나 랜 포트 등의 단점에 대해서는 구매 전에 숙지할 필요가 있고, 그 다음 사용자가 나스를 적용할 환경을 고려해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가격은 하드디스크를 포함하지 않은 구성이 91만 4천 원대로 4베이 나스 중에서는 고급형에 속한다. 따로 미디어 재생 성능 등에 구애받지 않는 데이터 공유 및 작업 환경이나, 서버 및 백업 용도, 추후 업그레이드까지 감안해서 구매해야 한다면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신형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프로'로 살펴본 NAS용 HDD의 현주소▶ 시놀로지, 데이터 관리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영역 넓혀▶ 중소기업의 하이브리드 근무, 클라우드 아닌 'NAS'로도 구현 가능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2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343 [주간투자동향] 엠지알브이, 125억 원 규모의 시리즈B 브릿지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106 0
2342 갤럭시S23 시리즈 예약 판매, 구매처별 혜택은?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3814 9
2341 요금제 바꾸면 낭패? '가성비' 너무 좋아 폐지/개편된 통신 서비스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304 1
2340 2023 스마트 상점, 인공지능 ‘리테일 솔루션’으로 진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46 0
2339 초등학생도 노출되는 '음란물'... 세계적으로 경고등 켜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440 6
2338 IT기기의 재활용 소재 도입, 단순 활용 넘어 창조적 접근해야 살아남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61 2
2337 코로나19 극복한 디카 시장, 고부가가치 미러리스가 견인 [2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8129 3
2336 리팟 박정훈 공동대표, “에어팟 연결이 끊기시나요? 배터리를 교체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67 0
2335 ‘울트라’만 챙겨? 하위 모델 차별 논란, 갤럭시S23에선 달라졌을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305 1
2334 [IT하는법] 서랍 속의 문화상품권, 네이버페이로 전환하는 법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3068 2
2333 [모빌리티 인사이트] “서빙은 저에게 맡기세요”, 서빙용 모빌리티 로봇의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16 0
2332 "복잡해지는 클라우드 관리, AI 자동화 필수"... 베스핀글로벌 '옵스나우360'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12 0
2331 다시 주목 받는 메타버스, 가상세계 속에서 범죄자 잡고 불 끈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188 2
2330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에 대한 정리와 소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90 0
2329 [IT애정남] 안전하게 하드웨어 제거, 진짜 할 필요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67 3
2328 삼성전자 갤럭시S23 시리즈 vs 갤럭시S22 시리즈 차이 한 눈에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2914 4
2327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3. 또 하나의 가상자산 NFT의 명과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1998 3
2326 토스뱅크, 구성원 누구나 입출금하고 카드 쓰는 금리 2.3% '모임통장'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195 0
2325 새 레이아웃·기능 갖춘 안드로이드 오토 '쿨워크', 직접 써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155 0
2324 [스케일업] 엘핀 [3] 학교·기업·근로자 출결관리의 모든 것 ‘아임히어·아임히어워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104 0
2323 MZ세대를 위한 미래기술은?...'가짜뉴스 판별', '문해력 향상', '디지털 치료' 등등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2075 1
2322 로커스 홍성호 대표, “제주도에는 유미의 세포들이 춤을 춥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1547 1
2321 의료시스템에서 빠져 있는 '여성'... 여성 건강 위해 나선 '펨테크' [5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2673 4
2320 [뉴스줌인] 공공 DaaS가 뭐길래? ‘1호 인증’ 취득한 가비아가 웃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107 0
2319 역대급 돈벌이로 떠오른 챗GPT, 인공지능 악용 시작됐다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2614 5
2318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트윈피그 바이오랩 “풍부한 연구 성과·IP로 혁신 면역항암제 선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92 0
2317 [불황 이기는 검색광고 노하우] ④ 광고주는 무엇을 해야 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106 0
2316 칼렛바이오 “혁신 담은 친환경 포장재 솔루션, ‘미래의 당연함’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90 0
2315 무인계산기 '키오스크'... 연령과 장애 여부 관계 없이 '모두'에게 어려워 [10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3415 9
2314 [주간투자동향] 에너지엑스,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98 0
2313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7.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두 번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154 0
2312 [메타버스에 올라타자] 1. 메타버스 관련 연재를 시작하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170 0
2311 메타버스를 통한 생생한 경험... 교육에 몰입감을 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105 0
2310 [IT애정남] 멀티허브 꽂아 노트북 화면 3개로 확장, 나는 왜 안되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5347 8
2309 [스케일업] 본투비 [3] 패러블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와 대화부터 나눠야 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97 0
2308 셔터스톡 인공지능 사진 생성 도구, 업계 상생 이끌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931 0
2307 ‘게이밍 저장장치’ 지향하는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시리즈 이모저모 [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2472 2
2306 메타버스, 가상과 현실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쫓는다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1857 0
2305 CES 2023 달군 고려대 ‘호랑이 스타트업’ 큐심플러스·아이노클·블루랩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119 0
2304 [주간투자동향] 피플펀드, 247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89 0
2303 [불황 이기는 검색광고 노하우] ③ 광고주가 검색광고를 알아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98 0
2302 [뉴스줌인] 4K 시대인데 게이밍 모니터는 왜 아직도 풀HD급?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1126 2
2301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웰스메디텍 “세계 첫 LED 치주질환 치료기 세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91 0
2300 폴더블 스마트폰, 침체기 구원투수 되려면 가격 낮춰야 [7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3 6832 10
2299 [르포] 靑 주변 달리는 자율주행버스 타보니…”무료 운행 유용·편의 개선은 과제”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1817 6
2298 북한 핵무기의 새로운 돈줄은 '사이버공격'.."한국도 국가적 대응 체계 마련해야"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1769 7
2297 [스타트업 리뷰] IT운영 전문가가 평가한 인포플라의 ‘AI장비헬스체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143 0
2296 [리뷰] 라이젠 R9 6900HS로 성능·휴대성 다 잡은 '레노버 요가 슬림 7 프로 X'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518 1
2295 불황을 기회로, 농식품 벤처육성지원사업 역대 최대 규모 모집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4113 2
2294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지닌 차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11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