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질컴퍼니, '산업맞춤형 AI 인력양성, 공급·수요기업 모두에 윈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13 11:17:12
조회 88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민간의 우수한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교육 기업과 기술을 도입하려는 수요 기업을 매칭하는 ‘2022년 산업 맞춤형 AI 인력양성 바우처 지원’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사업을 통해 공급 기업은 AI 교육 역량을 확보하고, 수요기업은 AI·SW 도입 전략부터 입문, 특화에 이르는 실무 교육을 제공받았습니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바우처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AI·인공지능 역량 확보는 물론 장기적으로 우리 산업 전반의 경쟁력의 강화를 도모합니다. 2022년 산업 맞춤형 AI 인력양성 바우처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 중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을 선정해 집중 조명합니다.

바질컴퍼니는 2018년 3월 설립된 인공지능 유지보수 전문 플랫폼으로, 로보틱스와 인공지능,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동화 서비스 구축 시 필요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손쉽게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고 엣지(Edge, 말단) 인공지능 장비와 연동해 배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브릿지AI(Vridge AI)’를 통해 제조산업 전반의 스마트 제조, 역량 강화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인터뷰에 참여한 박경호 선임 연구원은 웹 클라우드 팀의 리드 개발자로, 바질컴퍼니의 인공지능 장비와 연동되는 브릿지 AI의 클라우드 ML Ops(기계학습 모델의 개발과 지속적 배포)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로봇 관련 솔루션, 컨설팅에 강점··· 차세대 산업 교육도 준비 중



바질컴퍼니 박경호 선임연구원. 제공=바질컴퍼니



바질컴퍼니가 보유한 기술과 역량에 대한 설명을 먼저 부탁했다. 박 연구원은 “노후된 제조 산업 전반에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산성과 효용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바질컴퍼니는 부산동명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교육 기관과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마산로봇랜드 등에서 진행하는 로봇 관련 교육, 전시 시스템 구축을 다년간 진행해온 경험을 토대로 산업용 로봇 도입에 대한 컨설팅이 필요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로봇과 자동화 시스템도 제공하고 있다”라며 설명을 시작했다.

박 연구원은 “여기에 적용되는 브릿지 AI는 2022년 10월 공인인증 기관의 시험인증을 통과해 GS(Good Software) 1등급, 범용으로 인증을 취득했으며 세 건의 핵심 특허와 7건 이상의 파생특허를 출원 접수한 상황이다. 현재 소프트웨어와 제품 모두 NET(신기술 인증)과 NEP(신제품 인증)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도 활용 할 수 있도록 조달상품으로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내년 상반기부터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에 대한 공구 수명예측, 챔버 온도 관리 등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도 상용화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바질컴퍼니는 인공지능 및 소프트웨어는 물론, 로봇 하드웨어 유통 및 개발 등 스마트팩토리 전반에 대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공=바질컴퍼니



바질컴퍼니는 솔루션 제공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교육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바질컴퍼니는 부산동명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은 물론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마산로봇랜드 등의 공공연구기관에서 진행하는 로봇 관련 교육, 전시 시스템 구축을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부산 경남지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산업용 로봇 도입에 대한 컨설팅 및 로봇, 자동화시스템 도입을 진행한다. 자연스럽게 교육 과정이 더해지면서 AI 바우처, 데이터바우처, AI인력양성바우처 지원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된 것이다.

공급 기업과 수요기업 매칭, 서울창경이 힘 보탰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추진한 2022년 산업맞춤형 AI 인력양성 바우처 사업에 참여하게 된 것도 마찬가지다.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인 수요기업이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한 이후, 생산공정 자동화 과정에서 바질컴퍼니의 솔루션이 필요해 바우처로 참여하게 된 것이다. 교육 과정에 대해 박 연구원은 “도입 목표는 브릿지 AI를 통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클라우드로 배포하는 과정이었으며,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AIDA 석박사 연구동아리와 함께 추진했다. 교육은 총 두 건의 프로젝트에 대해 여덟 개의 이론 과정, 프로젝트 과제 발표가 있었다”라고 말했다


바질컴퍼니의 인공지능 솔루션이 제조 과정에서 불량률을 낮추는 과정에 투입됐다. 출처=바질컴퍼니



바우처 수요 기업에서 바질컴퍼니의 기술이 어떻게 적용됐는가에 대한 설명을 부탁했다. 박 연구원은 “수요 기업은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으로, 불량이 발생하면 폐기하는 게 원칙이다. 폐기에 따른 손해를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데이터 증강 전처리 AI 모델과 비전(시각, Vision) 검사 기반의 인공지능 결함 탐지 두 가지 모델이 목표로 수립됐다”라며 설명을 시작했다. 그는 “첫 번째 모델은 인공지능이 가상의 데이터를 생성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변수들을 예측하고 학습해서 불량을 검사하는 모델이다. 두 번째는 비전 검사 장비가 정상을 비정상으로 인지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불량을 학습해 오류를 줄이는 인공지능 모델이다”라고 말했다.

산업맞춤형 교육 과정, 기업 간 협업에 큰 의미



박 연구원은 이번 바우처 사업이 기업 대 기업으로 진행되는 업무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한다. 제공=바질컴퍼니



산업맞춤형 AI 인력양성 바우처 지원사업은 바질컴퍼니로서도 의미 있는 경험이 되었다고 한다. 박 연구원은 “인공지능 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아울러 산업맞춤형이라는 사업 취지에 부합하도록 현장에 맞춰 교육 시수나 방법, 절차 등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라면서, “수요와 공급 관계를 넘어 기업과 기업이 함께 하는 과정인 만큼, 교육 과정에서 집행되는 예산을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공정하게 집행하고, 교육이 끝나더라도 꾸준히 프로젝트와 관련해 의견을 주고받는 등 원만한 소통과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됐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경호 선임 연구원은 바질컴퍼니가 추구하는 방향에 대해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바질컴퍼니처럼 스마트 팩토리 전반에 하드웨어와 솔루션,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까지 제작하는 기업은 흔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뿌리 산업인 제조 산업을 다시금 돌게 하는 윤활유가 될 수 있도록 성장해 우리나라에 제2의 제조산업 전성기가 도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

2022년 산업 맞춤형 AI 인력양성 바우처 지원사업에는 총 25개의 공급기업이 참여했으며, 61개의 수요기업이 혜택을 받았다. 올해 사업 성과는 오는 15일, ‘2022년 산업맞춤형 AI인력양성 바우처 지원사업 성과공유회’를 통해 보고될 예정이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내년에도 ‘2023년 산업맞춤형 혁신바우처 지원사업’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알고리즘랩스 "AI 제작은 현업자의 '불편함'에서 시작돼야 한다"▶ 솔트룩스 "기업의 AI 도입, 맞춤형 교육으로 조직 내부의 AI 이해도 높여야"▶ [스케일업] 나인브릿지 [3] 제조기업도 새로운 아이디어로 도전할 수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243 [CES 2023] MSI 게이밍 노트북으로 혁신상 4관왕, 한층 업그레이드된 신제품 성능 증명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016 2
2242 [CES2023] 최고 혁신상으로 살펴본 2023 기술 트렌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2472 0
2241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1. 웹3.0과 가상자산과의 관계 이해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138 0
2240 [CES 2023] 넥스트페이 "스마트 POS, AI로봇으로 미래 상점 청사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93 0
2239 [스케일업] 엘핀 [2] 배상완 신보 “기술 기업, 레퍼런스·자금 확보해 장기 계획 세워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6 82 0
2238 [CES 2023] 소니, 가전 제품 대신 엔터테인먼트에 초점…전기차도 깜짝 공개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522 2
2237 [CES2023] BMW “주행·기능 정보, 전방 유리 전체에 제시”…콘셉트 ‘i 비전 디’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04 0
2236 [CES2023] AMD 리사 수 박사, "반도체, 코로나 19 계기로 현대 생활의 중심 돼"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344 6
2235 국립암센터 장윤정 부장, “메타버스와 의료의 연결, 닥터메타를 개발한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95 0
2234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4. 게임과 유튜브에 집중하는 아이들의 속마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225 5
2233 [CES 2023] 삼성전자, 스마트홈 생태계로 사용자 일상 파고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212 0
2232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추구하는 활동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81 0
2231 [CES2023] 투명 올레드 TV에 업 가전까지··· 신상 뽐낸 'LG전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50 0
2230 [CES2023] 미리 만나 본 MSI의 노트북 신제품 라인, "기대 이상의 성능이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5 1031 0
2229 [CES2023] 엔비디아, AI로 게임 프레임, 동영상 해상도까지 높인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1916 3
2228 [CES2023] 엔비디아, RTX 4070 Ti 및 모바일 RTX 40 시리즈 전체 공개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2379 2
2227 [스케일업] 세븐미어캣 [2] 홍기훈 교수 “ESG, 스타트업의 목적이 아닌 방법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84 0
2226 [CES2023] 인텔, 신형 13세대 데스크톱·모바일 CPU 32종과 새 이보(evo) 규격 선보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4 341 1
2225 시도 쓰고 코드도 짜줘? AI 챗봇 ‘챗GPT’가 보여준 가능성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569 0
2224 [리뷰] 업그레이드 확장성이 향상된 4베이 나스, 시놀로지 DS923+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3549 2
2223 [시승기] 엔트리 전기 SUV에 녹여낸 벤츠 헤리티지…‘더 뉴 EQA’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106 0
2222 [스케일업] 본투비 [2] “그림 작가와 손 잡고 새로운 시장으로 도전한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612 0
2221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6. 블록체인 프로젝트 검증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93 0
2220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바이옴에이츠 “미생물 복합 균주 의약품의 리더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3 84 0
2219 [IT애정남] 70만원대 이하의 업무용 소형 노트북 추천해 주세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943 0
2218 미중 패권 싸움 휘말린 틱톡…'회사 팔거나, 사업 접거나' [3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2577 14
2217 계묘년 새해...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123 0
2216 [주간투자동향] 온더룩, 7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91 0
2215 밝아온 2023년, 올해 바뀌거나 시작하는 IT 제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2 3432 1
2214 [먹거리+IT] 이티튜드, “걱정 없이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찾았습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96 0
2213 [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허브', 다양한 모빌리티간 연계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9 0
2212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를 모아서 본다, '금융상품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7 0
2211 어플러드 “사과와 함께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제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3 0
2210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2] “타겟에 맞춘 채널에, 신뢰성 있는 콘텐츠로 접근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6 0
2209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왜 발생할까?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5711 3
2208 [스타트업-ing] 바다드림이 보낸 제주도의 1년, “여전히 도전 중인 산지와의 연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0 0
2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T 스타트업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5 0
2206 [먹거리+IT] 마스플래닛 전창호 대표, “쿠클리는 고객과 대화하는 식품 브랜드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5 도약 거듭한 2022년 IoT 시장, 내년부터 판 더 커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54 0
2204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2022 메이커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개관식’ 및 ‘성과 공유페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203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0. '루나/테라 사태' 정확히 이해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2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1 0
2201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9 0
2200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199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085 0
2198 [IT강의실] 코로나 진단용으로 주목받은 바이오센서, 이젠 수산물 배달 서비스에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8 0
2197 앱과 게임으로 암·당뇨·ADHD·트라우마 치료한다... 디지털 치료제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8 0
2196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농산업 기업 스케일업 지름길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57 0
2195 전자레인지와 스마트폰의 전자파, 정말로 암을 유발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3 0
2194 [농업+IT=스마트팜] 1. 스마트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2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