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독일·스웨덴·영국·프랑스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08 17:06:15
조회 177 추천 0 댓글 0
[IT동아 차주경 기자] 세계 각국 정부는 여러 가지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편다. 자금 직간접 지원과 세제·규제 특례, 기술·제품 연구 개발과 네트워킹 공간으로 쓸 스타트업 특구 조성, 해외 투자금과 인재 유치 정책 등이 골자다.

세계 각국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의 내용은 대개 비슷하지만, 나라별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지원 정책도 있다.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성민 주임교수,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은 세계 각국의 최신 스타트업 육성·지원 정책을 조사, 정리했다. 이 가운데 해외의 정책 가운데 우리나라에 도입할 만한 것을 찾아 제언할 목적이다.

독일 - 베를린 중심으로 풍부한 자금 지원, 창업보육센터도 활약

독일은 시장조사기업 스타트업블링크가 선정한 ‘유럽에서 스타트업에 가장 적합한 생태계’를 가진 국가다. 독일 정부는 200억 유로(약 27조 7,600억 원)를 투자해 이 기조를 강화한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이 세계를 휩쓸자, 독일 정부는 어려움에 빠진 스타트업을 도울 지원금 120억 유로(약 16조 6,510억 원)를 편성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스타트업이 경제 발전을 이끌 것이라는 확신 덕분이다.

독일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유럽 회복 계획(ERP)’은 독일 개발은행이 펀드 하나당 5,000만 유로(약 700억 원)를 VC에 투자하도록 이끈다. 스타트업이 시리즈 C, D 이후의 투자금을 유치하도록 ‘독일미래기금’도 35억 유로(약 4조 8,580억 원) 규모로 만들었다.


독일 베를린의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Berlin Startup Stipendium. 출처 = Berlin Startup Stipendium



독일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허브는 베를린이다. 최대 5만 유로(약 7,000만 원) 상당의 ‘창업 보너스’는 베를린 소재 영리 기업 설립자와 스타트업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독일의 유명 사회적 기업 슈퍼쿱(Super Coop)이 이 프로그램 덕분에 성장했다. 1만 5,000 유로(약 2,100만 원) 상당의 수공업자 대상 ‘마이스터 창업 보조금’도 돋보인다. 독일 장인 시험에 합격한 수공업자가 4년 이내 창업 시 받는 보조금이다. 수공업자가 새 일자리를 만들면 7,000유로(약 980만 원)를 더 보조한다.

독일 베를린은 혁신 스타트업의 지분을 사려는 개인 투자자를 도울 ‘인베스트 벤처캐피탈 보조금’, 학생과 연구자의 창업을 돕는 ‘EXIST 창업인 장학금’도 운영한다.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세우면 대학교가 인건비와 인프라,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베를린 스타트업 보조금’도 있다. 덕분에 독일 스타트업 투자금 유치 건수의 40%가 베를린에서 이뤄졌다.

독일 스타트업 지원을 맡은 기관 창업보육센터는 1983년부터 기업 부흥을 위해 힘썼다. 이어 1998년 독일 혁신기술창업센터협의회(ADT) 발족 후, 이를 중심으로 연구소와 기술이전 사무소, 금융 기관과 전문가들이 연합해 스타트업 지원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이들은 자금 지원을 기본으로 창업 기관과 단체를 한 몸처럼 운영, 국가 전체의 경쟁력으로 만들자는 목표를 공유한다.

조사 : 유상준 수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팀장 /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베를린 스타트업인큐베이터, IBB 비즈니스팀

스웨덴 - 창업 친화 정서, 스케일업 지원해 유니콘 선진국으로

무선 통신 앱 스카이프(Skype),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스포티파이(Spotify), 배터리 개발 기업 노스볼트(Northvolt). 이들은 모두 스웨덴 스타트업이다. 스웨덴 창업 생태계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 ▲우수한 창업 지원 제도와 인프라 ▲스케일업과 투자 유치 특화 ▲전문 연구 인력을 앞세워 세계 혁신 리딩 ▲창업 친화적인 문화다.

스웨덴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단체도 창업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인프라를 구축한다. 대학교, 연구 기관과 금융권이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 지식재산권 보호 제도를 함께 만든다. 스웨덴에는 상속세와 부유세가 없다. 스톡옵션 급여세도 면제여서 창업하기 좋은 나라로 꼽힌다. 무상 의료와 교육 등 사회안전망도 함께 구축해 창업 실패 부담을 줄인다.


스웨덴 혁신청 VINNOVA 홈페이지. 출처 = 스웨덴 혁신청 VINNOVA



스타트업의 내실을 다지고 성장을 유도하는 스케일업 사업도 활발하다. VC 투자와 CV 협업 모두 활발하며, 이 덕분에 세계 각국의 투자금이 스웨덴으로 쇄도한다. 이 유동성으로 정보통신 시설과 인재를 육성한다. 스웨덴은 유럽에서 글로벌 혁신 지수 1위(2021년)에 올라선 나라다. 정보통신 접근성과 활용성, 대학교의 연구 능력과 교육 투자액, 고급 기술 인력의 비율과 영어 사용 인구 비율, R&D 지출과 신규 특허 출원 수 모두 수위를 기록한 결과다. 이는 자연스레 창업에 친화적인 정서, 문화로 이어진다.

스웨덴은 지금까지 유니콘 스타트업 35곳을 배출한, 인구 1인당 유니콘 스타트업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다. 그 중심에 스웨덴 혁신청 VINNOVA가 있다. 지역별 특화 클러스터에서는 지금도 제조와 바이오, 로봇과 식품산업 등 부문별 전문 지식을 연구하는 스타트업이 태어난다. 스타트업간 인수합병과 기업공개도 활발하다. 2022년 1월~2022년 10월까지 스웨덴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액은 43억 유로, 약 6조 원에 달한다.

조사 : 이정민 (주) 라비돌 / 출처 : Kotra, World Economic Forum

영국 - 혁신 기술에 풍부한 금융 자금 더해 스케일업에 집중

영국 스타트업의 중심은 런던이다. 나아가 런던은 5,900여 개의 스타트업이 활동 중인, 유럽 기술의 수도로도 불린다. 세계 금융 센터로 불릴 만큼 자금 운용 규모가 큰 이 곳에 예비 창업자와 기술자들이 모이면서 자연스레 스타트업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2017년 기준, 런던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 금액은 총 24억 5,000만 파운드(약 3조 8,000억 원)에 달한다.

스타트업 문화는 런던 외 다른 영국 도시에도 긍정 효과를 끼쳤다. 도시마다 각기 다른 유형의 스타트업이 발전한 것도 눈에 띈다. 캠브리지는 인공지능, 브라이턴은 창조 산업을 주로 다룬다. 맨체스터에는 하드웨어 스타트업이, 글래스고에는 컴퓨터 사이언스와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많다. 뉴캐슬과 리버풀 등 영국 주요 도시에서도 각각 디지털 콘텐츠와 5G·VR 스타트업들이 활동 중이다.


영국 테크 네이션 홈페이지. 출처 = 테크 네이션



이는 영국의 창업 클러스터 육성 정책 ‘테크 네이션’과 연관이 있다. 미국 실리콘 밸리 조성을 목표로 2010년 이 정책을 마련한 영국 정부는 2011년, 이를 고도화해 TCIO(Tech City Investment Organisation)을 세운다. 이 조직은 2014년 테크 시티 영국(Tech City UK)로 이름을 바꾸고, 바람직한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를 만들려 노력 중이다. 테크 네이션은 ▲창업 초기 네트워킹 프로그램 ▲창업 중기 업스케일 프로그램 ▲창업 마무리 퓨처 50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해외 우수 인력과 스타트업을 유인할 테크 네이션 비자도 운용한다.

영국 정부는 ‘소수의 리더급 스타트업이 성장하면 여러 개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인식 하에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스케일업에 집중한다. 세계 최초로 스케일업 육성 전담 기관 ‘스케일업 인스티튜트(Scale Up Institute)’를 세워 2034년까지 일자리 15만 개, GDP 2,250억 파운드(약 359조 4,900억 원) 증대라는 목표를 세웠다.

스케일업 인스티튜트의 지원은 ▲40여 개의 멘토링 프로그램과 400만 파운드(약 64억 원)의 기금을 운용하는 ‘CEC(Carrers & Enterprise Company)’ ▲10개월간 경영 전문성을 강화할 코칭과 멘토링, 워크샵을 제공하는 ‘스케일업 리더스 아카데미’ ▲고성장 기업과 전문가, 투자자 사이 커뮤니티를 만들어 성장과 투자 유치를 돕는 ‘Elite Programme’ 등이 있다. 영국 BBB(British Business Bank)도 단계별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출처 : Kickstart Asia

프랑스 - 민간과 정부 힘 합쳐 대형 스타트업 지원 사업·공간 조성

프랑스 스타트업들은 2021년 투자금 115억 유로(약 16조 1,078억 원)를 확보했다. 벤처 투자 자본이 프랑스의 핀테크, SaaS 스타트업을 주목한 덕분이다. 스타트업 육성이 나라의 미래를 좌우한다는 마크롱 대통령의 주장 아래, 프랑스는 2017년 이후 여러 스타트업 지원 전략을 꾸렸다. 중추는 ‘La French Tech’다. 스타트업 선정과 지원은 물론 유망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선발 지원 프로그램 마련, 공동 펀드 조성과 해외 기업의 투자를 이끌 국제 행사 참여 보조금 정책을 이 기관이 만들어 운용 중이다.

2019년 만들어진 French Tech Next 40/120은 매년 120개 스타트업을 1차로 선정하고, 이 가운데에서도 매출 규모가 꾸준히 늘고 3년간 1억 유로(약 1,400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유지한 우수한 스타트업 40곳을 2차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프랑스 노동청과 관세청, 중앙은행 등 정부 부서 역시 이들을 전폭 지원한다.


French Tech Next 40/120 기업 명단과 홈페이지. 출처 = French Tech Next 40/120



스타트업의 성장을 이끄는 공간 ‘Station F’도 눈에 띈다. 2017년 문을 연 이 곳은 프랑스 주요 인터넷 기업 Free 그룹의 창시자가 2억 5,000만 유로(약 3,500억 원)를 들여 만들었다. 여기에 구글과 메타, 네이버 등 세계 정보통신 기업은 물론 프랑스 대학교와 투자자들도 힘을 보탰다. 여의도 공원 15개를 합친 것만큼 넓은 이 공간에 스타트업 1,000여 곳이 입주했다. 매년 600여 개의 스타트업 행사가 이뤄지는 Station F는 프랑스의 스마트 시티 계획을 이끄는 엔진 역할을 한다.

Station F가 운영하는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도 있다. ‘Lunch by Station’은 창업 시 필요한 도구를 무상 지원하고 비즈니스모델 선정, 상표와 홍보 전략 수립을 돕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Founders Program’은 초기 단계 스타트업 가운데 우수한 곳을 선정해 네트워킹과 워크샵, 멘토링으로 성장을 돕는 프로그램이다. 어려운 환경에서 고군분투하는 스타트업과 대표를 돕는 ‘Fighters Program’, 여성 건강 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하는 ‘Fem Tech Program’도 운영한다.

프랑스 정부는 경기 부양 정책, 미래 투자 프로젝트 등 대형 지원 사업을 꾸준히 펼 예정이다. 기업 활동을 진작할 세제 혜택, 해외 인재를 유치할 비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어서 프랑스에 진출하려는 우리나라 스타트업들이 참고할 만하다.

조사 : 조정숙 (주)삼성플라텍 / 출처 : 프랑스 경제부, EY France,KOTRA 파리 무역관(KOTRA&KOTRA),프랑스 경제부 사이트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을 가르치는 김성민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주임교수.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은 우리나라와 창업 선진국의 지원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가장 알맞은 창업 지원 정책을 발굴해 정부에 제언한다. 중소벤처기업 맞춤형 자금확보 로드맵 설계도 다룬다. 이를 토대로 창업자들의 실패를 최소화하고 정부 정책을 적재적소에 추천하는 창업 전문가를 육성하는 과목이다. 나아가 스타트업 성장 단계에 따라 창업·금융·인력·기술·R&D·판로·수출지원 등 정책자금 확보를 위한 실전 전략과 출구(EXIT)전략인 IPO, M&A 노하우도 전수한다. 국책과제 심사위원, 스타트업 CEO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실전 위주 교육과 멘토링을 제공, 스타트업의 자금 확보 실전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목이기도 하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1] “전자파, 방사선 차폐는 이제 현실 속 이야기입니다”▶ 초기 창업자의 동반자,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2)▶ [스케일업] 엘포박스 [1] 차세대 스마트 홈스쿨 ‘톡톡박스’의 차별화 콘텐츠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116 [스케일업] 본투비 [1] “트웬티는 그림작가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안식처이고 싶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80 0
2115 [스케일업] 카파바이오사이언스 [3] 양성은 대웅제약 “의료 스타트업, TIPS로 기회 잡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74 0
2114 솔트룩스 "기업의 AI 도입, 맞춤형 교육으로 조직 내부의 AI 이해도 높여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71 0
2113 데브즈유나이티드게임즈 최민경 대표, "VR 게임 시장의 성공 공식 세울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85 0
2112 [IT애정남] 아이폰에서도 '통화 녹음' 가능한가요?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8 2710 2
2111 라온로드 “교통 체계의 클라우드 전환, 자율주행차 고도화 앞당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8 65 0
2110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이란 무엇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8 86 0
2109 [스케일업] 서울먹거리창업센터 스타트업 “스케일업 딛고 2023 도약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8 102 0
2108 다이슨의 6년 연구 집약된 최초 헤드셋 '다이슨존'..."공기청정과 음악감상 가능해" [5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8 3718 7
2107 “철저 검증 거치니 SW 경쟁력 껑충” 제29회 SW품질 인사이트 컨퍼런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102 0
2106 위밋모빌리티 "모빌리티에 대한 기대감 전세계적으로 커지는 중... 효율화 필요한 시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93 0
2105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1] “치아교정 20년, 아프지 않은 투명교정기기를 개발했습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2039 4
2104 [스케일업] 코스모블라썸 [3] 김병주 아모레퍼시픽 “성장·투자의 기본은 선택과 집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98 0
2103 라이브커머스 그립과 손잡은 테사 에셋…“새로운 아트 시장 개척하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81 0
2102 [리뷰] 초소형·초경량이 매력적인 이어폰, 소니 링크버즈 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151 0
2101 [고려대 스타트업 2022] 아라레연구소 “감마카메라로 암 수술 혁신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7 74 0
2100 전기이륜차 배터리 자판기 써보니…”50초 만에 새 배터리로 교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111 0
2099 보다에이아이 “클라우드와 AI 기반 품질 검사 플랫폼, 베트남에서도 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96 0
2098 마이크로닉스 손정우 팀장 "게이밍 기어 제품도 디자인 혁신이 필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161 0
209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동훈 총장, “산업 현장과 호흡하는 대학을 꿈꿉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113 0
2096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케이바이오헬스케어 “내 손 안의 주치의, 리터리시 M’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154 0
2095 [IT애정남] 모니터의 IPS 패널과 나노 IPS 패널, 무엇이 다른가요?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6 1757 3
2094 [스케일업] 케이파워 [1] “친환경 산업용 보일러에 전기 생산 설비를 더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5 75 0
2093 [월간 자동차] SUV 강세 여전했던 11월…국산·수입 신차 등록 모두 늘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5 70 0
2092 [주간투자동향] GFFG,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5 2086 0
2091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3] 전문가 제언 “100명을 만나 1명의 파트너를 찾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5 74 0
2090 K-스마트공장의 현주소는? 5~7일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5 85 0
2089 경기콘텐츠진흥원 서부권역센터, 제조·콘텐츠 융복합 기업 육성에 팔 걷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104 0
2088 '디자인에 콘텐츠를 더하다'...융합 콘텐츠 창작 지원 '북부 경기문화창조허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96 0
2087 겨울철 자동차 히터, 내연차 연비에 미치는 영향 거의 없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106 0
2086 작지만 강한 기업, 스마트공장으로 ‘큰 꿈’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467 0
2085 [스케일업] 엘포박스 [3] 이성준 PM “산학협력, 스타트업에게 부족한 전문성 채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82 0
2084 [농업이 IT(잇)다] 에이아이포펫 “1등 반려동물 행복 플랫폼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99 0
2083 [스타트업人] “급성장하는 친환경 시장, 함께 커가는 보람 느껴”…칼렛바이오 손지영 매니저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95 0
2082 서랍에 보관된 스마트폰...'나눔폰' 서비스로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722 2
2081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4. 블록체인 생태계인 '메인넷'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91 0
2080 [리뷰] 상단 투사까지 지원하는 휴대용 빔프로젝터, 벤큐 GV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2267 1
2079 블루라이트 차단, 과학적 근거는 없다... 스마트폰 사용 시 눈은 어떻게 보호해야 하나? [3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7277 21
2078 [2022 창구] 애기야가자 오세정 대표, "아이와 갈 수 있는 곳, 우리가 찾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86 0
2077 2년차 성과 낸 춘천 원도심 상권르네상스사업, 스마트 상권 본격화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98 0
2076 [스케일업] 휴로틱스 [3] 전문가 제언 “로봇슈트 적용 분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102 0
2075 'ICT에 콘텐츠를 더하다' 판교 경기문화창조허브, 스타트업 육성 마중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91 0
2074 신형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프로'로 살펴본 NAS용 HDD의 현주소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862 0
2073 간과되기 쉬운 스타트업의 'ESG 경영', 성남시 창업보육센터가 협력 보조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96 0
2072 [스타트업-ing] 컬쳐커넥션 유현식 대표 “메타버스 속 공연, 현장의 소리를 담았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102 0
2071 [2022 창구] 미리내테크놀로지스, "전 세계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우리가 해낼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146 0
2070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엠티엠이엔티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로 나스닥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105 0
2069 [농업이 잇(IT)다] 디보션푸드 “분자요리 기술로 만든 ‘대체육’으로 맛과 건강 동시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9 751 0
2068 [주간투자동향] 의식주컴퍼니, 490억 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104 0
2067 스마트폰 배터리, 길어야 2년이다?... 배터리 길게 쓰는 방법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8 3214 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