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0·20대 난청 환자도 증가세... "주요 원인은 너무 큰 이어폰 볼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27 14:54:59
조회 5528 추천 10 댓글 86
[IT동아 정연호 기자] 의료계에서 과도한 이어폰 사용으로 소음성 난청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소음성 난청은 큰 소음에 장기적,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달팽이관의 청각세포인 ‘유모세포’가 손상돼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과거만 해도 소음이 심한 건설 현장이나 지하철 운행 종사자 등에서 많이 관찰됐지만, 최근엔 장시간 이어폰 사용으로 젊은 연령층의 난청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소음성 난청은 완치가 어려워 예방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출처=엠브레인 모니터



엠브레인 모니터가 전국 13~59세 남녀 1000명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들은 일상생활의 3분의 1을 이어폰과 헤드폰을 끼고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와 20대는 각각 41.7%, 36.4%로 조사 대상자 중 이어폰 사용시간이 가장 많은 집단이다. 주로 이어폰 볼륨을 높여서 듣는 청소년들이 난청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오승하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이 2016년 중·고교 1학년생 2879명의 청력을 검사한 결과, 10명 중 2명의 학생이 난청이었다(17.2%). 청소년기의 난청은 수업 내용을 듣는 데 문제가 발생해 학업 성적이 떨어지고, 친구와의 소통 능력도 저하돼 인간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

WHO(세계보건기구)는 지난 2019년 전세계에서 10대를 포함한 청년층의 약 50%가 청력에 위험할 만큼 음량을 키워서 사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할 때 소리 크기를 75~80dB (최대 볼륨의 60%)로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80dB는 길가의 큰 소음이나 큰 식당의 소음 정도이며, 큰 트럭이 지나가는 소리는 90dB에 달한다. 미성년자의 경우엔 볼륨 크기를 75dB로 하는 게 적당하다.

한양대 이비인후과 이승환 교수는 KBS 라디오 ‘건강365’에서 “85dB를 기준으로 소리가 3dB증가할 때마다 청력이 손상되는 시간은 반으로 줄어듭니다. 88dB에서는 4시간, 91dB에서는 2시간처럼 말입니다. 거리 혹은 지하철에서 이어폰을 듣는다면 90~95dB가 넘어가는데, 1시간 이내가 최대 허용치가 됩니다”라고 설명했다. 차도나 지하철에 있을 경우엔 주변 소음 때문에 이어폰 소리를 높이는 경우가 많아 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이다.


출처=셔터스톡



큰 소음에 노출됐거나 귀가 피로하다면 조용한 장소에서 귀를 쉬어 주는 게 필요하다. 이어폰을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하루 1시간 정도 사용하는 게 적당하다. 전문가들은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해야 한다면 소리 음량을 80dB 이하로 낮추고, 1시간 사용 후 10분 정도 쉬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시끄러운 곳에서는 볼륨을 높이는 경우가 많아서 이어폰 사용 자체를 자제하는 게 좋다.

음향기기의 형태가 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까? 핑이비인후과 전문의 권오진 원장은 "요즘 학생들은 인터넷 강의나 원격 수업을 듣거나, 스터디카페에서 공부를 하면서 이어폰을 쓸 일이 많아졌다. 그래서, 귀에 들어가는 커널형보단 헤드폰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커널형은 귀에서 소리가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헤드폰이나 귀를 덮는 형태의 이어폰 사용을 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픈형 이어폰이나 헤드폰이라도 귀에 들어가는 소리의 볼륨이 크다면 청각세포에 손상을 주는 건 동일하다. 음향기기의 형태보단 음량을 줄여서 사용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있는 이어폰은 볼륨을 낮춰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귀 전체를 덮는 오버이어 헤드폰도 주변 소음을 막아줘서 볼륨을 낮춰서 사용하기에는 좋다. 다만, 노이즈캔슬링 이어폰과 외부 소음을 막는 헤드폰을 쓰면 거리에서 차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니, 외부에서 사용 시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고막이 아닌 뼈의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 이어폰도 소음성 난청을 막는 것에 큰 도움이 되진 않는다. 난청이 발생하는 원인은 달팽이관 유모세포 손상되기 때문이다. 골전도 이어폰도 달팽이관을 자극해 소리를 듣는 원리다. 볼륨을 크게 하거나, 장기간 사용할 때 청력을 보호할 수는 없다.

이어폰을 착용했을 때 귀가 아프면 사용을 중단하고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이전보다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경우에도 빠른 시일 내에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청력검사를 받는 게 좋다. 소음성 난청의 초기 증상은 고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다만, 초기엔 증상이 크게 느껴지지 않아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하고 방치하는 건 위험하다. 소리가 잘 안 들리니 볼륨을 크게 하면 귀 건강은 더 나빠지니, 악순환이 생기고 청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 초기 치료를 통해서 청력이 계속 저하되는 걸 막아야 한다.

난청의 주요 증상으로는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할 때 어려움이 있다 ▲여자, 혹은 아이가 말하는 높은 톤의 목소리가 잘 안 들린다 ▲전화통화를 할 때 예전보다 잘 안 들린다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듣기 위해서 귀를 기울여야 한다 ▲다른 사람이 말할 때 중얼거리는 것처럼 들린다 ▲TV 시청 시, 다른 사람들이 볼륨이 너무 크다고 지적한다 ▲귀에서 이명현상(외부자극이 없어도 귀에서 들리는 소리)이 들린다 등이 있다.

글 / IT동아 정연호(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젠하이저 이종석 상무 “유튜버가 스튜디오급 음향? 노이만과 함께하면 가능”▶ 스튜디오 음향기기의 강자 노이만, 1인 미디어 시장도 노린다▶ [IT애정남] 이어폰 마이크, PC에서만 인식 안 되는 이유는?



추천 비추천

10

고정닉 2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43 성균관대 K-디지털 플랫폼 개소, 공유와 개방 통해 메타버스 시대 인재 육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26 0
2042 [IT하는법] 게이밍 모니터, 최초 한 번은 주사율 직접 바꿔줘야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3196 6
2041 제2의 카카오 먹통 막을 ‘전고체 배터리’…日선두·韓 맹추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216 1
2040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2] BM분석 “작고 강한 벤처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82 0
2039 스마트시티 꿈나무 자란다, 성동 퓨처포밍 코딩 경진대회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1 1810 0
2038 참사 앞에 등장한 '누칼협'... 더는 가벼운 농담으로 보기 어려운 '밈(Meme)'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354 0
2037 [모빌리티 인사이트] 1인 1비서의 시대가 열린다, 자동차에 탑승하는 AI비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9 0
2036 늘어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개인은 환경을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0 0
2035 [농업이 IT(잇)다] 에이엠알랩스 “AI와 로봇 기반의 첨단 농업, 확장성 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00 0
2034 [리뷰] 백색 인테리어에 제격, 카멜마운트 고든 GDA2 디자인 모니터 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305 0
2033 [지스타 2022] 게임쇼에서 조연으로 존재감 뽐낸 하드웨어 업체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45 0
2032 [2022 창구] 내일 입을 옷 고민 'AI 코디'가 해결…손 안의 옷장 ’스타일봇'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20 0
2031 [지스타 2022] 불쑥 커진 회의론에도…메타버스, XR, NFT 존재감 여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34 0
2030 [스케일업] 엘포박스 [2] 톡톡박스, 디바이스가 아니라 ‘Playground’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8 156 0
2029 [시승기] 가솔린 엔진 얹고, 공간을 더하다…’신형 티구안 올스페이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32 0
2028 [지스타 2022] 인텔, 레노버, 스틸시리즈까지…게이밍 기기 모인 인벤 전시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42 0
2027 [지스타 2022] 역대 최대 전시관 마련한 삼성…SSD, 게이밍 모니터 앞세워 관람객 맞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77 0
2026 경기도일자리재단, 협업 툴 '두레이'로 업무 혁신·보안 달성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114 0
2025 [스타트업in과기대] 홀린 김창경 대표, "온라인 합주용 플랫폼 만들 것"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7 2123 2
2024 에이수스, 13세대 코어를 위한 최상위급 메인보드, Z790 시리즈 다수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8 0
2023 [2022 창구] 로플리 “막막한 미국 이민, 앱 하나로 맞춤형 서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7 0
2022 '전기 먹는 하마' 오명 붙은 데이터센터... 친환경 전환 필요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35 0
2021 [스케일업] 휴로틱스 [2] BM 분석 “웨어러블 로봇, 성장의 열쇠는 파트너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39 0
202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6. 비트코인에 관한 기본 지식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256 3
2019 퀄컴 스냅드래곤 8 2세대는 스마트폰을 어떻게 바꿀까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575 4
2018 에이비씨써클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스타트업 성장의 디딤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00 0
2017 [리뷰] 레이저 넘은 기업용 잉크젯, 엡손 워크포스 프로 WF-C879R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6 102 0
2016 올해의 농식품 혁신 주역들을 만나다…’2022 A-벤처스’ 시상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38 0
2015 [스케일업] 엣지케어 [1] “초음파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13 0
2014 ASML 피터 베닝크 CEO, "반도체 시장 앞으로 10년 간 두 배 성장"··· 한국에 2천400억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157 0
2013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3.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5 93 0
2012 [르포] '볼보' 토슬란다 생산 공장…"1,400대 로봇과 6,500명 작업자의 조화가 ‘핵심’"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372 2
2011 [2022 창구] 소셜인베스팅랩 "개미투자자 위한 주식정보는 쉬워야 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43 0
2010 "프리미엄 시장 잡아라" 中 스마트폰 기업 신제품 파상공세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755 2
2009 [스케일업] 푼타컴퍼니 [3] “식후경 속 고객 행동 데이터는 시식의 또 다른 가치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03 0
2008 [주간투자동향] 스픽이지랩스, 38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4 1640 0
2007 AMD 4세대 에픽 프로세서 출시 관련 질의응답 정리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2 7325 10
2006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7) 채권과 ESG에 대한 핵심 질문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34 0
2005 [농업이 IT(잇)다] 그린 “중소/청년 농업인 정착을 위한 맞춤형 토털솔루션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25 0
2004 한국차양산업협회, 애니온넷과 MOA 체결 “IoT+차양, 진정한 융복합 산업으로 거듭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15 0
2003 [IT신상공개] 라이카 렌즈를 스마트폰으로 ‘라이츠 폰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41 0
2002 [스케일업] 카파바이오사이언스 [1] 신소재 합성 기술로 원료의약품 혁신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87 0
2001 AMD, 4세대 에픽 프로세서 공개··· '115조 서버 시장 놓고 경쟁'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119 6
200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5. 전자지갑의 이해와 사용 실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114 0
1999 [모빌리티 인사이트] 보다 안전한 세상을 만든다, 생명을 수호하는 '인간형 로봇'의 등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03 0
1998 스웨덴 볼보 ‘EX90’ 공개 현장…첨단 기술과 전동화에 담은 미래 청사진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825 0
1997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제품을 찾아서, 서울과기대 해커톤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18 0
1996 스마트한 교통 관리 체계의 완성, 해답은 클라우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0 114 0
1995 시놀로지, 데이터 관리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영역 넓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27 0
1994 [스타트업-ing] 주식회사 쉼 김희진 대표, “1인 창업가를 위한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09 15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