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케이파워 김지훈 부사장, “베트남에서 친환경 산업용 보일러만 가져 오랍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8.31 16:15:53
조회 101 추천 0 댓글 0
[IT동아 권명관 기자]

“베트남에서 제품만 가져 오라더라구요.”

약 3개월만에 다시 만난 케이파워 김지훈 부사장(이하 김 부사장)이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 무슨 뜻이냐는 조용한 물음에 김 부사장이 숨을 골랐다. 그는 “8월초 약 열흘 동안 베트남을 다녀왔습니다. SBA 서울창업허브와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공동 주최한 한국 스타트업 밋업 행사에 초청받아 다녀왔거든요. 이에 베트남 현지 기업과 예상 고객사 등을 방문했는데, 반응은 여전했습니다. 시장 반응을 다시 한번, 재확인한 셈이죠”라고 말했다.


케이파워 김지훈 부사장, 출처: IT동아



케이파워는 지난 2018년 설립한 산업용 보일러를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기존 석탄, 석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산업용 보일러를 바이오매스(우드 펠릿)로 바꿔 환경 오염을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장기화되고 있는 고유가 사태로 인해 가격 연료 경쟁력 측면에서 보다 저렴한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는 자연스럽게 대안책으로 떠올랐다. 실제로 산업용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는 국내외 공장 및 에너지 기업 등으로부터 투자 및 사업 제안도 많이 받았다.

다만, 케이파워의 상황은 예상과 달리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베트남 현지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해 하늘길이 끊기면서 관계를 깊게 다지지 못했다. 또한, 제조 스타트업이 겪어야 하는 자금 문제도 발목을 잡았다. 제조업은 타 산업 대비 투자해야 하는 비용과 인력이 많다. 산업용 보일러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금이 필요한 셈이다.

김 부사장은 “여러 곳에서 투자 제안을 받으며 움직이고 있는 단계입니다. 제품만 완성하면, 바로 계약해 판매할 수 있는 상황이죠. 매출 예상 및 자금 흐름, 흑자 전환 시기도 확인했습니다”라며, “이번 베트남 재방문을 통해 시장성을 다시 한번 재확인한 것이죠. 베트남 기업과 LOI(공급의향서)를 다수 작성한 상황이에요”라며 웃었다.

탄소절감을 향한 베트남의 능동적 움직임


IT동아: 베트남 현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김 부사장: 8월 3일부터 11일까지, 행사와 함께 베트남 현지 기업을 여러 곳 둘러보고 왔다. 방문 당일 SBA 서울창업허브와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공동 주최한 한국 스타트업 밋업 행사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 산하 SATI 의 Mr. DO BINH ANH 책임자와 미팅을 진행하며,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 공급 서비스의 베트남 시장 확장에 필요한 베트남 정부부처 네트워크 및 베트남 기업의 협조 약속받았다.


SATI의 DO BINH ANH 책임자와 케이파워 김지훈 부사장, 보소이 매니저, 김대휘 과장(왼쪽부터), 출처: 케이파워



이후 한국에 돌아오기 전, 베트남 자원환경부 기후변화국(DCC)의 TANG THE CUONG 국장과 만나 케이파워가 목표로 하고 있는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의 친환경 의의에 대해서 소개할 수 있었다. 현장에서 TANG THE CUONG 국장은 베트남이 추구하는 2021-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바이오매스 연료 전환사업을 포함하고 있다며,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여담이지만, 앞으로 베트남 정부와 지방의 지원이 많을 것이라고 미리 준비를 잘해야 한다는 팁(?)도 받았다(웃음).

*베트남의 2021-2030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지난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2021-2030 국가온실가스감축 목표를 수립했다. 온실가스 감소를 위해 에너지, 농업, 토지이용·토지지용 변화 및 임업(LULUCF), 폐기물, 산업공정 등 포괄적인 부문을 포함하는 내용이다. 오는 2030년까지 국내자원으로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9%를 감축하고, 양자·다자 간 협력을 통해 국제적 지원을 받을 경우 최대 27%까지 감축하는 것이 베트남 NDC의 골자다.

그 전에 한베환경산업협력센터 하노이 손동엽 소장과도 만나 케이파워의 서비스를 도입하는 베트남 기업의 친환경 기업 인증과 베트남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친환경 인증 획득 지원을 위한 업무 협력과 베트남 정부 협조에 대해서도 논의했고…, 정신 없었던 일정이었다. 덕분에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고, 준비해서 갔던 많은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IT동아: 베트남이 목표로 하고 있는 NDC에 바이오매스 연료 전환 사업도 포함되어 있다고?

김 부사장: 맞다. 베트남은 NDC의 일환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 전력공사(EVN)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베트남의 전력 총설비용량은 69.3GW다. 이중 발전원별 용량을 살펴보면, 석탄 20.4GW(29.4%), 수력 20.7GW(29.9%),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 17.8GW(25.8%), 천연가스 7.1GW(10.2%)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상당 부분 끌어올렸다.


출처: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 베트남 산업무역부,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이어서 같은 맥락으로 8차 국가전력개발계획 초안에 2045년까지 석탄 19.4%, 수력 11.1%, 신재생에너지 28.4%, 천연가스 21.2%로 비중을 조정하는 방안을 중앙정부에 제출한 상황이다. 다년간 적극적인 대체자원 투자 장려 정책 결과물로 베트남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려는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2045년 전력발전원을 살펴보면, 석탄과 수력 발전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 발전 비중을 크게 높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민간 및 국영 기업과 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IT동아: 현지 기업에도 방문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 부사장: 현재 케이파워는 베트남 남부(DOTAB)와 북부(VIRIC)에 현지 에이전시(영업, 마케팅 협력사)를 두고 고객사를 관리하고 있다. 먼저 DATAB과 함께 베트남 호치민 인근의 동나이성 비엔호아시 근교에 위치한 가구 생산기업 NANO를 방문했다. NANO는 생산 제품의 대부분을 수출하는 기업으로, 현재 석탄 및 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해 산업용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베트남 현지에서 점차 강화하고 있는 친환경 기조와 탄소세, 탄소국경조정세 시행 등을 예상하며 수출에 불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우리가 제안한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로 전환하기를 원했다. 현장에서 계약서를 작성하자는 얘기까지 나온 상황이다(웃음).


베트남 동나이성 비엔호아시에 위치한 가구 생산기업 NANO 방문 사진, 출처: 케이파워



이후 VIRIC과 함께 DAM HA BAC(베트남 국영기업, 베트남 비료생산 1위 기업)에도 방문했다. DAM HA BAC은 이미 지난 4월에 방문해 미팅했던 업체다. 이번에는 기술팀과 진행사항에 대해 회의한 뒤, 담당 임원, 부회장과 함께 향후 일정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고로 DAM DA BAC 은 베트남 중앙정부가 97% 지분을 보유한 국영기업으로 베트남 NDC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앞장서야 하는 위치다.


베트남 국영 비료 생산기업 DAM HA BAC을 방문한 케이파워, 출처: 케이파워



현재 DAM HA BAC은 130톤/h 규모의 석탄보일러 3기를 운용 중이다. 이 곳에서 사용하는 하루 석탄 사용량만 1,000톤을 훌쩍 넘는다. DAM HA BAC은 1차로 우리에게 120톤/h 규모의 산업용 보일러 스팀 공급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다. 이를 안정적으로 완료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130톤/h 규모의 석탄보일러도 순차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여담이지만,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는 베트남에 꼭 필요한 탄소중립 기술이라며 공식적으로 LOI(공급의향서)를 발부하겠다고 화답했다.


DAM HA BAC의 산업용 보일러 설비 및 제어센터를 방문한 모습, 출처: 케이파워



DAM HA BAC은 아무래도 국영기업이다 보니 정부 정책과 동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마침 한국에 돌아오고 난 뒤, 베트남 총리가 DAM HA BAC에 방문해 일침을 놓고 갔다. 우리가 방문한 일정 그대로 돌면서 지난 5년간의 적자, 탄소 배출 등을 지적했다. 예상하지 못한 기회라고 생각한다(웃음).

베트남 왕겨를 활용, 저렴한 비용으로 펠릿을 공급합니다


IT동아: NANO, DAM HA BAC과 같은 예정 고객사도 중요하지만, 현지에서 스팀 공급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 연료공급원도 필요할텐데.

김 부사장: 맞다. 지난 인터뷰에서 얘기했던대로,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는 연료 공급 서비스가 핵심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일반적인 우드 펠릿으로도 안정성과 고효율을 보장한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관리해줄 수 있어야 한다. 베트남 시장에 집중한 것도 여기서 시작했다. 대표적인 벼농사 국가인 베트남에서 한해 버려지는 엄청난 양의 왕겨를 활용해 펠릿을 제작, 이를 구독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연료공급원을 확보하기 위해 베트남 현지 펠릿 제조기업 여러 곳을 방문했다.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스팀 구독 서비스’, 출처: 케이파워



베트남 남부 빈증성 부근에서 가장 오랜 업력을 자랑하는 PUMPKIN은 월 6,000톤의 상급 펠릿을 생산하는 업체다. PUMPKIN에 방문해 우리가 원하는 일반(중급, 저급) 펠릿 생산에 큰 어려움은 없으며, 원자재 확보도 용이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또한, PUMPKIN은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 운영에 필요한 펠릿에 대해 장기 구매 계약을 체결해준다면, 생산시설 확장에도 투자할 의향을 밝혔다.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펠릿 생산기업 PUMPKIN을 방문한 케이파워, 출처: 케이파워



이어서 지난 2021년부터 인연을 맺고 있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펠릿 생산기업 VK BIOMASS의 Tuan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그는 “3개월 내 월 5,000톤 생산을 목표로 확장할 것”이라며, 케이파워의 북부 지역 사업에 필요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펠릿 공급을 약속했다..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펠릿 생산기업 VK BIOMASS를 방문한 케이파워, 출처: 케이파워



이외에도 한국의 공장 폐수슬러지 연료화 기술을 베트남에 도입하기 위한 계획도 세웠다. 베트남에서 가동되는 수많은 공장은 공장 폐수를 건조시킨 뒤 발생하는 폐수슬러지를 비용을 지불해 매립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폐수슬러지를 연료로 바꿔 활용한다. 폐수슬러지 처리 비용을 받고, 슬러지를 가져와 발효, 안정화 단계를 거쳐 펠릿으로 생산해 국내 발전소에 혼소용 연료로 납품한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계획안을 수립해 준비 중이다.

베트남 현지에서 산언용 보일러를 생산할 수 있는 기틀도 마련했다. 베트남 과학기술부 소개로 스팀/온수 보일러를 제조하고 있는 NP BOILER를 만나 MOU를 체결했다. 베트남 남부 빈증성에 위치한 NP BOILOER는 4개의 공장을 운영중이며 10년 이상 산업용 보일러를 생산한 경험을 지닌 기업이다. 다만, 지금까지 자체 브렌드 없이 OEM 위주로 사업해왔는데, 앞으로 우리와 함께 전략적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고객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베트남 보일러 생산기업 NP BOILER와 MOU를 체결한 모습, 출처: 케이파워



IT동아: 지난 미팅 이후 3개월 정도 지났을 뿐이지만… 뭔가 많은 것을 준비한 느낌이다.

김 부사장: 바빴다. 정말 많이 바빴다(웃음). 예정 고객사, 연료공급원을 확보를 위해 정신 없이 뛰었다. 케이파워의 바이오매스 산업용 보일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도 여러 방면으로 고민했고… 쉴 수 없는 일정이다. 특히, 케이파워와 같은 제조 스타트업은 초기 설비 자금을 위해 다방면으로 뛰어야 한다. 잠시 숨을 돌려 멈춰 설 경우 그대로 주저 앉을 수도 있지 않나.


케이파워 김지훈 부사장, 출처: IT동아



앞서 언급한 사례 이외에도 베트남 펠릿 제조기업 2개사와 연료 공급에 대한 LOI를 맺었고, 베트남에서 4개 공장을 운영하는 의류 공장과도 LOI를 맺었다. 지금 무슨 LOI냐며 당장 본 계약을 맺자는 예정 고객사도 상당수다. 보일러 착수금만 확보하면, 바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단계다.

이렇게 생각하고 싶다. 해가 뜨기 전이 가장 어둡지 않나. 제조업 특성상 초기 자금이 꽤 필요한 상황이지만… 만반의 준비는 마쳤다고 생각한다. 이번 베트남 현지 방문을 통해 그동안의 계획도 대부분 마무리했다.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도 우리 케이파워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강신호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본부장 “스마트·치유 농업, 그린 바이오 스타트업 선도”▶ 한국MS, 국내 스타트업 지원 발표…"데카콘 나올 것"▶ [스타트업 리뷰] 입맛 까다로운 반려동물 입맛도 사로잡는 건강 펫푸드 ‘푸티’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841 배터리, 스포츠 기능 강화한 어메이즈핏 4세대 스마트워치, GTR 4 & GTS 4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6 145 0
1840 한컴의 선택엔 이유가 다 있더라, 직접 들어본 'NHN 두레이' 활용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6 604 0
1839 [리뷰] 비로소 GPU 시장이 바뀔 것, 인텔 아크 A770 그래픽 카드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506 6
1838 [리뷰] 구독으로 완성되는 액션캠, 고프로 히어로11 블랙 크리에이터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99 0
1837 [스타트업 in KB] 딥네츄럴 박상원 대표 "인공지능을 가르치는 레이블러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02 0
1836 엡손, 영화관 품질의 가정용 4K 레이저 프로젝터, ‘EH-LS12000B’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42 0
1835 자동차 기능의 핵심 ‘반도체’의 신뢰성은 어떻게 확보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78 0
1834 포스코 IMP “10년 경험 토대로 글로벌 유니콘 등용문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21 0
1833 [스타트업人] "팬 입장에서 팬덤 플랫폼을 만들도록 돕고 있어요"...비마이프렌즈의 CS팀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173 0
1832 직접 인공지능 그림 그려보니··· '문외한도 작가 됐다'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5 5316 17
1831 '메타 퀘스트2' 왕좌 빼앗기나…피코, 신제품 '피코4' 한국 출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1545 1
1830 차 보험 대차료 합리화...친환경차 기준도 생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98 0
1829 충성도 높은 실시간 방송 팬덤... '트위치 마케팅은 성공 문법 중 하나' [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2556 1
1828 젠하이저 이종석 상무 “유튜버가 스튜디오급 음향? 노이만과 함께하면 가능”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2801 8
1827 [스케일업] 프롬차일드 [1] "믿고 먹는 식물성 단백질 보충제 선두 되려면?"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1693 0
1826 [주간투자동향] 서울로보틱스, 308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4 88 0
1825 스튜디오 음향기기의 강자 노이만, 1인 미디어 시장도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214 1
1824 넥스트페이먼츠 “스마트 상점, 주문 통합 이어 무인 상점 시대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139 0
1823 팩트체크를 하고 싶다면?... "악마의 대변인처럼 반론을 제기해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333 2
1822 '음악·글·사진'도 AI가 만든다... "AI 창작물에도 약한 저작권 보호가 필요해"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3175 0
1821 [리뷰] 합리적 가격에 전문가용 모니터 찾는다면, 벤큐 PD2506Q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3028 2
1820 [농업이 IT(잇)다] 울릉브루어리 “울릉도만의 청정 맥주·문화 콘텐츠 기대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128 0
1819 [리뷰] 망가져도 데이터 살려주는 외장하드, 씨게이트 원터치 HDD 데이터복구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2465 1
1818 [홍기훈의 ESG 금융] ESG와 채권 (4) ESG가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133 0
1817 [시승기] 볼보 전동화 신호탄, ‘XC40 리차지’ 타보니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1211 1
1816 [스케일업] 푼타컴퍼니 [1] “식후경 2.0 서비스, 이제 맛보고 구매하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132 0
1815 게이밍 시장 잡는다··· 인텔, 신형 CPU와 그래픽 카드 동시 공개 [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2800 6
1814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 가상자산을 제대로 알기 위한 첫 단계 - 용어 이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9 148 0
1813 공공 부문의 해외 클라우드 진출, '실리와 명분' 모두 챙겨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183 0
1812 조선업계, 신개념 돛 ‘로터세일’로 탄소 배출 저감 추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147 0
1811 NFT 비즈니스는 진화한다..."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 것이 중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185 0
1810 중요 데이터 암호화하고 협박하는 랜섬웨어, 피해 어떻게 줄여야 할까?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2098 0
1809 체인지업 그라운드 “1조원 가치 스타트업의 요람, 퍼시픽 밸리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151 0
1808 한층 진화한 사진 놀이, 인스탁스 미니 링크2 포토 프린터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1911 0
1807 유료 이용률 정체, 만족도 하락...OTT 옥석은 ‘콘텐츠’와 '가격'이 가린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195 0
1806 [IT신상공개] 접히는 노트북 시대 온다, 에이수스 젠북 17 폴드 OLED [2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3331 4
1805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9. '이더리움 2.0'의 첫걸음, '더 머지(Merge)'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121 0
1804 [모빌리티 인사이트] 스스로 음주운전을 단속하는 자동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109 0
1803 [스케일업] 레디블룸 [1] “여성 위한 단백질의 모든 것 줄 운영 전략 원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7 115 0
1802 [리뷰] 상위 1%를 위한 초고성능 공유기, 넷기어 오르비 RBKE963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2533 4
1801 [리뷰] 5nm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시작점, AMD 라이젠 9 7950X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156 0
1800 VR 시장 다시 기지개 펴나…소니, 메타, 피코 등 신제품 출격 대기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2157 6
1799 [기고] 주목할 만한 미술가와 작품 세계 소개 - 해외 현대 미술 작가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1743 3
1798 [먹거리+IT] 네이처랩 오경주 대표, “맛있고 건강한 주스 추천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104 0
1797 [주간투자동향] 슈퍼브에이아이, 22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95 0
1796 한국IBM 이지은 전무 “맞춤형 광고 집행, AI 윤리까지 고려해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147 1
1795 [스타트업人] 초소형 전기차를 홍보하다…복지영 마이브 영업팀장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3 180 1
1794 춘천 원도심 상권르네상스 사업단 “70여년 전통 상권의 재생과 혁신 동시에 이룰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3 125 0
1793 [IT애정남] 무료 소프트웨어로 인한 피해, 보상 받을 수 있나요?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3 5395 4
1792 [농업이 IT(잇)다] 새벽배송보다 빠른 퀵커머스로 승부한다…‘패스캣’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3 14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