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고] 블록체인은 암호화폐가 아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9 18:05:24
조회 109 추천 0 댓글 0
[IT동아]

1995년, 인터넷이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많은 부분이 급속도로 디지털화됐다. 기기/장치 분야에서 시작된 디지털 전환은 이제 소프트웨어 분야로 확산됐고, 디지털의 편의성과 확장성은 순식간에 인류의 일상을 장악해버렸다.

너무나 잘 아는 것처럼, 디지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무한한 '복사 및 붙여넣기(Copy & Paste, '복붙')'다. 큰 수고 없이 사진과 문서와 같은 파일들을 무한대로 간편하게 복사할 수 있다. 게다가 대가도 지불하지 않고 말이다. 물론 이로 인해 여러 부작용도 발생했지만, '디지털=무료'라는 공식은 우리의 사고에 깊게 자리 잡았다.

당연히, 이 복붙이 허용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계약서나 주식, 채권, 적립 포인트, 그리고 돈/화폐가 그러하다. 마음대로 복사해버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유가증권의 영역이다. 하지만 이후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이 금기의 영역도 디지털화가 될 것이 자명하다. 향후 20년 안에는 대부분의 유가증권도 디지털 영역으로 들어올 것이다. 그 근거는 블록체인의 주요 혁신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 속 '이중지불(Double-spending) 문제 해결'이다.


출처=셔터스톡



오프라인에서는 불가능하지만, 디지털 거래는 하나의 자금을 다수의 거래처에 동시에 지불을 하는 시간차 공격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데이터를 쉽게 복제하고 공유할 수 있어 데이터 원본이 무엇인지 알 수 없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 금융거래에서는 이중지불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금융기관과 같은 제3자가 꼭 필요했다면, 블록체인 기술로는 중앙 운영자가 없는 디지털 분산 거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공개된 거래장부의 집합을 통해 노드(Node, 컴퓨터 참여자)가 모든 금융 정보의 원본을 확인, 관리할 수 있고, 하나의 거래가 이루어지면 그 거래 내역이 모두에게 동기화되어 검증되기 때문에 이중지불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이 모든 걸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을 이야기할 때 동시에 연상되는 몇 가지 이미지가 있다. '화폐'와 '코인', '불투명함', 그리고 '아나키즘(무정부주의)'까지... 이런 부정적 이미지는 블록체인을, 탈중앙화를 꿈꾸는 아나키즘적인 암호화폐의 대명사로 자리 잡게 했다.

하지만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정반대에 위치해 있다. 암호화폐는 철저하게 가리는 기술이고, 블록체인은 그와 반대로 드러내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의 특징은 투명성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모든 거래 기록은 투명하게 공개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에 의해 검증을 받을 필요가 없다. 이 투명성에서 탈중앙화와 보안성, 확장성 확보도 가능해진다. 투명하고 명료함을 추구하는 자는 애써 가리려 하지 않는다. 화폐의 거래 정보를 가리려고 하는 걸 암호화폐라 하는데, 불투명한 특성의 이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도, 보안성도, 확장성도 보장할 수 없다. 블록체인의 탄생 목적에 아예 맞지 않는 것이다.

얼마 전 아주 의미 있는 이슈가 있었다. 업비트 등 국내 대다수 거래소가 라이트코인을 동시에 상장 폐지한 것이다.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의 기본에서 몇 가지 수정을 거쳐 배포한 오픈 소스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비트코인과 함께 블록체인을 대표하는 가상자산이다.


출처=해시넷



그런 비중 있는 가상자산인 라이트코인이 폐지된 이유는,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거래 내역을 공개 또는 비공개 중에서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얼핏 들으면 사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해 주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익명거래를 금지하는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에 관한 법률(특정금융거래정보법)'을 위반할 수 있는 환경을 열어버린 것이다. 한마디로, 암호화폐를 허용한 것인데, 이는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조건인 투명성을 훼손시킨 것이다.

그동안 암호화폐 등에 대한 규제가 전무했던 우리나라는 가상자산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가상자산을 이용한 금융거래의 불투명성,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거래나 자금세탁 행위에 대한 감시와 추적을 본격화하려, 특정금융거래정보법을 만들어 2021년 12월 28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이용자 보호를 강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해당 규정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는 엄격한 고객알기 및 자금세탁방지 정책을 시행해야 하며 익명거래 역시 금지된다. 자칫 규제가 블록체인 산업을 저해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처럼 블록체인이 규제의 영역으로 들어왔다는 것은, 사회 전반에서 블록체인을 받아들인다는 의미가 된다. 규제가 가진 순기능이 블록체인의 정착을 돕고 있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그동안 디지털화되지 못했던 것들이 디지털화될 수 있다. 2022년의 대한민국은 블록체인의 아주 기본적인 기능을 잘 정의하고 정리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웹 3.0 시대가 도래했다. 웹 3.0은 그 동안 개인 일상이나 사진 등을 공유하는 공간 정도에 불과했던 인터넷을 가치 있는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진화시켰고, 가치 있는 정보를 생산한 자들에게 그 가치를 지불하는 이른 바 '가치 인터넷 시대'를 열었다.


출처=셔터스톡



웹 3.0 시대의 핵심은 오너십(Ownership, 소유)이다. 나의 정보가 가치가 되고 그 가치를 소유한 다수의 '나'가 만나 토큰도, NFT도, 메타버스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 디지털이 아닌 진짜 '디지털경제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의 특별교수인 레베카 헨더슨은 자신의 저서 '자본주의의 대전환'에서, 주주의 이익만을 극대화하는 주주 자본주의 시대가 끝나가고, 파이를 잘 키우고 잘 분배하는 체제로의 전환이 임박했다고 언급했다.

파이를 키우고 잘 분배하려면, 반드시 투명성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그 역할을 블록체인이 담당할 것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이고, 암호화폐는 오직 탈중앙화를 외치는 아나키즘의 상징이라는 왜곡된 정보를 강요받는다.

'눈에 보이는 현상이 전부가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몇 개의 잘 설계된 이해관계가 모이면 눈에 보이는 건 얼마든지 왜곡시킬 수 있다. 사람들은 자기가 믿고 싶은 대로 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 왜곡된 현상을 바로잡을 수 있는 건 열린 마음, 열린 시선을 가진 젊은 세대들이다. 자신의 가치를 알고 그 가치가 디지털 경제시대의 핵심 소스가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 소스를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는 그런 젊은 세대 말이다.

정부와 미디어의 역할도 중요하고, 기성세대의 역할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바른 정보에 대한 획득 의지가 서지 않는다면, 블록체인은 아나키즘이라는 왜곡된 껍데기를 뒤집어쓴 최신 유행 기술에 불과할 것이다.

파란 선글라스를 끼고 세상을 바라보면 온통 파란색, 빨간 선글라스라면 온통 빨간색이 된다. 하지만 열린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세상은 생각보다 많은 기회를 투명하게 드러내놓고 있다. 잡는 사람이 임자다.

글 / 직톡 심범석 대표

미국 뉴욕에서 잉글리시 라운지와 코리아컬쳐센터를 설립해 운영했고, 현재는 약 100만 사용자를 확보한 블록체인 기반의 숏폼 비디오 플랫폼인 '직톡'을 운영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이문규 (munc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중개 없는 디파이(DeFi), 저렴하고 편하다... "다만, 금융안정 위해선 제도 필요해"▶ KDA "정부는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하고, 이용자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코인’ 열풍 시들, 그래픽카드 가격 정상화 단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567 [앱으리띵] 소문난 맛집, 편하게 예약하고 싶다면? 캐치테이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3 95 0
1566 [리뷰] 인공지능 품은 짐벌 웹 캠 '인스타360 링크'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3 1818 2
1565 [뉴스줌인] 커세어에서 새로 출시한 튜닝용 DDR5 메모리, XMP 3.0 기능을 탑재했다는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132 0
1564 PC, 가전, 스마트 기기 가격 줄줄이 인상…원자재 부족·물가 상승 직격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3007 6
1563 [IT애정남] 채널 전환 시 뜨는 TV 전환 광고, 없앨 수 있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135 1
1562 [IT강의실] 스마트폰 고화소 카메라,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141 0
1561 케이팝팩토리, "AI 기반 보컬 평가로 전 세계 케이팝 팬덤 모을 것"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2 1832 1
1560 [리뷰] 75인치 TV도 전동으로 높낮이 조절, 카멜마운트 ESB75 TV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2354 1
1559 [IT애정남] VR 헤드셋, 어떤 걸로 고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1879 4
1558 일반·친환경 농가 ‘온라인 유통 개척 도우미’ 나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100 0
1557 [주간투자동향] 토스뱅크, 1,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의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2177 0
1556 [서평] 스타트업 창업/운영에 가장 궁금한 질문 30개,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30문 30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193 1
1555 수원대 글로벌창업대학원 “실전 교육으로 창업 성공을 이끌 인재 배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1 106 0
1554 헤나스 “IoT 더하니 가구도, 매장도 똑똑해졌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3143 1
1553 HDR10+와 돌비 비전, 어느 게 더 활용도 높을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3848 3
1552 기승부리는 불법주차에 "IT·초소형전기차 등 활용한 단속 방안 마련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140 0
1551 [NFT산업현장] 6. 멤버십이 된 NFT... '어떤 커뮤니티에 들어가는게 좋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141 0
1550 [김 소장의 ‘핏(FIT)’] 틱톡 열풍의 명과 암, 틱톡은 미디어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125 0
1549 파리 날리던 동네 빵집, ‘SNS 핫플’된 비결은? 틱톡 마케팅에 있었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1219 0
1548 [농업이 IT(잇)다] 한국도시농업 “디지털 농업으로 만든 가치, 농가와 나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9 128 0
1547 [IT애정남] DSLR은 이제 살 필요가 없나요?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896 2
1546 미세먼지 분해·충격흡수하는 인조잔디.. 웰니스 "잔디에선 안전하게 뛰놀아야 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41 0
1545 여름방학 맞은 아이들과 ‘항공역사 교육’ 떠나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26 0
1544 [IT신상공개] 2세대 구성으로 영상 시장 노린다, 삼양옵틱스 AF 85mm F1.4 FE I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9 0
1543 인텔, 와이파이 6E 이어 와이파이 7 시대도 선도할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47 0
1542 커머스, 택시, 가전부터 대체육까지…인간 뺨치는 펫코노미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6 0
1541 [모빌리티 인사이트] 하늘길도 친환경으로 - 지속가능 항공 연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39 1
1540 행정 혁신의 시작은 '협업 툴', 카이스트가 두레이를 선택한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30 0
1539 킬사글로벌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AtoZ 맡겨주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23 0
1538 물류∙유통 업계, ‘친환경 동맹’ 형성 위해 팔 걷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19 0
1537 앱으로 버스 하차벨 누르고 지하철 통과하는 '태그리스 시대' 임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2 0
1536 "가상자산을 담고, 탈중앙 서비스의 인프라이기도 하고"... 가상자산 전자지갑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21 0
1535 프리미엄 노트북 '요가' 7세대 국내 출시한 레노버…"콘텐츠 크리에이터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4 0
1534 그린미네랄 “폐배터리, 미세조류와 만나면 자원의 보고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37 0
1533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3부 - 인공지능 산업/기업을 지원,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86 0
1532 디지털전환 나선 ESG 경영 관리..."국내 ESG도 발전하려면 ESG지표 표준화 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9 0
1531 [기고]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 위해선 조속히 제도화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2 0
1530 AI가 짜 주는 여행일정...관광 앱 '터치수원' 써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36 0
1529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288 4
1528 [리뷰] MX 시리즈 첫 기계식 키보드, 로지텍 MX Mechanical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143 2
1527 ‘게임 체인저’ 될 줄 알았던 그 물건들, 지금은 어디로?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4431 8
1526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큐어버스 “치매 특효 저분자 신약으로 삶의 질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6 0
1525 레트로 열풍, ‘보물’로 거듭난 과거의 유물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72 0
1524 [뉴스줌인] 480Hz 주사율에 최상급 성능, 델 에일리언웨어 m17 R5·x17 R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56 0
1523 [기고] 아트 테크가 던진 혁신, 예술 문화 보급 이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14 0
1522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 도대체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40 0
1521 개인정보의 범위...어디까지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885 0
1520 [주간투자동향] 비바리퍼블리카, 3,000억 원 규모의 투자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61 0
1519 [뉴스줌인] 게이밍 그래픽카드의 끝자락, 지포스 GTX 1630 이모저모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4 2631 5
1518 저출생·고령사회 한국…'돌봄 공백' 메우는 스타트업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