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호주·미국 단합에 중국 희토류 패권 흠집··· '사이버 공격에 여론 조작도 시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05 10:17:19
조회 955 추천 11 댓글 17
[IT동아 남시현 기자] 중국의 3대 주석인 덩샤오핑은 1992년 남방 시찰 당시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中东有石油,中国有稀土)”라는 말을 남겼다. 희토류를 석유나 천연자원처럼 무기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후 중국은 희토류 시장의 대부분을 장착했으며, 지금은 완제품 제조를 통한 공급망 확보나 생산량을 통한 가격 조정 등을 통해 본격적인 물리력 행사에 나선 상황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사이버 공간에서도 경쟁 국가의 희토류 기업들을 노린 사이버 공격도 감행하고 있다. 왜 중국은 희토류를 무기화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격까지 진행하면서 시장 장악을 꿈꾸는 걸까?


출처=셔터스톡


안보 자산 된 희토류, 중국은 패권 추구의 도구로 쓰는 중


희토류는 주기율표의 15개 란탄족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 이트륨, 스칸듐까지 포함된 17개의 금속을 의미한다. 희토류는 희귀한 광물이라는 이름과 다르게 지각 속에 풍부하게 분포하지만, 다른 광물의 구성 성분으로 발견되기 때문에 별도로 추출해야 한다. 희토류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독특한 화학적, 전기적, 자성적 특징 덕분이다. 기본적으로는 석유 정제나 디젤 첨가제, 영구 자석인 네오디뮴 등의 생산에 쓰이며 연료 전지와 배터리 등의 전자기 분야와 기술 분야, 의료 및 농업, 에너지, 군수, 항공 우주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촉매나 자석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희토류 채굴 시작 이후 채굴된 총량 및 비율. 출처=미 육군



하지만 생산 과정에서 유독한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선진국보다는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는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이었지만, 2014년 이후부터는 80%에 가까운 수요를 중국에서 충당하고 있다. 중국이 희토류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이유는 전 세계 매장량의 약 37%를 중국이 보유하고 있으며, 낮은 환경 기준과 저임금 노동, 국영화 등을 통해 희토류 채굴에 최적의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2009년에는 중국이 전세계 희토류 생산의 97%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고, 2021년에도 전 세계 수요의 60% 이상을 공급할 정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는 전세계 점유율이 90%를 넘긴 2010년을 기점으로 시작됐다. 2010년 중국과 일본이 조어도(센카쿠/댜오위다오)로 인한 영토 분쟁 당시, 일본이 중국인 트롤어선 성장을 체포한 데 반발해 중국이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금지했다. 당시 일본은 국내 수요의 90%를 중국에서 가져오고 있었고, 2010년 여름까지 이전 수준의 수십배에 달하는 가격에 희토류를 가져와야 했다. 결국 2012년 세계무역기구가 무역협정을 위반했다고 지적하면서 문제는 해결됐지만, 본격적으로 희토류가 무기화됐음을 알리는 시작점이 됐다.


일본 히타치 메탈은 중국과의 희토류 분쟁 이후, 자석 제조에 쓰이는 디스프로슘을 절반만 소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출처=히타치 메탈



그러자 각국 정부는 공급망을 다원화하는 방식으로 중국의 희토류 독점에 대처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일본은 베트남과 호주 등의 희토류를 수입하기 시작했고, 미국은 자체 생산량을 늘리기 시작했다. 그러다 2019년 5월, 트럼프 행정부가 화웨이를 블랙리스트에 올린지 일주일이 지난 시점에 시진핑 국가주석은 희토류 처리 공장을 방문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희토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실상 무기화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자체생산 나선 미국, 중국은 사이버 공작까지 감행


시진핑 주석의 발언이 있은지 몇주 후, 미국 상무부는 자국내 희토류 광업 허가에 대한 규제 승인 및 가속, 연구 개발 지원, 국내 공급 증가, 희토류 지식 개발, 동맹국과의 무역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행동 촉구 보고서를 발표했고, 호주 정부도 동맹국의 공급 확보를 위해 생산량을 늘리기로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미국 MP 머티리얼 사는 마운틴 패스 광산에 희토류 가공 공장을 열었고, 블루 라인과 텍사스 마이너 리소스가 올해 혹은 내년에 처리 시설을 열 예정이다. 호주의 희토류 기업인 라이너스 레어 어스와 캐나다의 아피아 레어어스&우라늄도 관련 산업에 진출한 상태다.


가짜 계정을 통해 희토류 생산이 환경 오염과 건강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게시물. 출처=맨디언트



하지만 중국은 자국의 정치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도 이빨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의 사이버보안 기업 맨디언트(MANDIANT)에 따르면, 친중 성향의 공격 그룹인 ‘드래곤브릿지’는 2019년 6월부터 수천 개에 이르는 가짜 계정을 동원해 중국의 희토류 시장 지배력에 도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공격하고 있다. 드래곤브릿지 캠페인은 희토류 채굴을 반대하는 페이스북 공개 그룹인 ‘STOP LYNAS! NO to Lynas Exporting and Creating Another Toxic Legacy’에 비판적인 글을 게시해 여론을 호도하고, 지난 3월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방위생산물법이 잘못됐다는 주장을 서술했다.


말레이시아인들이 라이너스 레어 어스를 보이콧하고 있다는 주장이 담긴 글로 여론을 호도하는 가짜 계정. 출처=맨디언트



특히 드래곤브릿지의 계정은 사용자들의 의심을 피하기 위해 동물이나 만화 사진 등 다양한 프로필 사진을 활용해 신원을 모호하게 만들고, 가짜 이름과 신분을 토대로 현재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피력해 의심을 피했다. 사람들은 이들이 올린 게시물의 의견에 동조하고, 좋아요를 표시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였다. 다만 드래곤브릿지가 리이너스 레어 어스의 공장 설립을 반대하는 시위를 선동했지만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실제 청중을 조종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를 보여주었다.

중국의 희토류 패권, 모든 산업이 대상


중국이 희토류 패권을 추구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것은 국제 무대에서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단순히 경제적 영향력 뿐만 아니라 상대국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려는 등 산업 전반을 잠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우리 사회에 큰 문제를 야기했던 요소수 사태가 중국이 희토류 패권을 통해 추구하는 그림과 일치한다.

하지만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는 양날의 검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가 조사한 2021년 전 세계 희토류 점유율은 중국이 60%, 미국이 15%, 미얀마가 9.38%, 호주가 7.94%, 태국이 2.89%로 나뉜다. 중국의 희토류 독점으로 인한 폐혜를 우려해 각국이 자체 생산을 추진하거나 수입처를 다원화했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연합이 20230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비율을 규제에 나선다던가, 촉매나 합금 등에 쓰이는 양을 줄이는 기술이 고도화하는 등 중국의 희토류 패권을 약화시키는 요인들이 고도화하고 있다.

결국 이런 요인들이 쌓이면서 중국의 희토류 패권은 10년 전보다는 약화한 상태다. 중국이 경제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한 사이버 공격과 여론 조작을 진행하는 이유도 희토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 몸부림인 셈이다. 친 중국계 그룹의 조직적인 행동은 비단 희토류 문제 뿐만은 아니며, 정치나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경계의 목소리에 꾸준히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상위 1000대 제조사 150곳 "자사 공급망 경쟁력 점수는 58점"▶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부품 공급난·러 침공 직격, 유럽 스마트폰 출하량 10년만에 최저



추천 비추천

11

고정닉 1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545 여름방학 맞은 아이들과 ‘항공역사 교육’ 떠나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27 0
1544 [IT신상공개] 2세대 구성으로 영상 시장 노린다, 삼양옵틱스 AF 85mm F1.4 FE I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63 0
1543 인텔, 와이파이 6E 이어 와이파이 7 시대도 선도할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49 0
1542 커머스, 택시, 가전부터 대체육까지…인간 뺨치는 펫코노미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7 0
1541 [모빌리티 인사이트] 하늘길도 친환경으로 - 지속가능 항공 연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43 1
1540 행정 혁신의 시작은 '협업 툴', 카이스트가 두레이를 선택한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32 0
1539 킬사글로벌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AtoZ 맡겨주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25 0
1538 물류∙유통 업계, ‘친환경 동맹’ 형성 위해 팔 걷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20 0
1537 앱으로 버스 하차벨 누르고 지하철 통과하는 '태그리스 시대' 임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3 0
1536 "가상자산을 담고, 탈중앙 서비스의 인프라이기도 하고"... 가상자산 전자지갑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23 0
1535 프리미엄 노트북 '요가' 7세대 국내 출시한 레노버…"콘텐츠 크리에이터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4 0
1534 그린미네랄 “폐배터리, 미세조류와 만나면 자원의 보고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39 0
1533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3부 - 인공지능 산업/기업을 지원,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87 0
1532 디지털전환 나선 ESG 경영 관리..."국내 ESG도 발전하려면 ESG지표 표준화 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21 0
1531 [기고]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 위해선 조속히 제도화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5 0
1530 AI가 짜 주는 여행일정...관광 앱 '터치수원' 써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37 0
1529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291 4
1528 [리뷰] MX 시리즈 첫 기계식 키보드, 로지텍 MX Mechanical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146 2
1527 ‘게임 체인저’ 될 줄 알았던 그 물건들, 지금은 어디로?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4433 8
1526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큐어버스 “치매 특효 저분자 신약으로 삶의 질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7 0
1525 레트로 열풍, ‘보물’로 거듭난 과거의 유물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73 0
1524 [뉴스줌인] 480Hz 주사율에 최상급 성능, 델 에일리언웨어 m17 R5·x17 R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58 0
1523 [기고] 아트 테크가 던진 혁신, 예술 문화 보급 이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16 0
1522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 도대체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41 0
1521 개인정보의 범위...어디까지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887 0
1520 [주간투자동향] 비바리퍼블리카, 3,000억 원 규모의 투자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62 0
1519 [뉴스줌인] 게이밍 그래픽카드의 끝자락, 지포스 GTX 1630 이모저모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4 2639 5
1518 저출생·고령사회 한국…'돌봄 공백' 메우는 스타트업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1 0
1517 헬스스윗 "단백질 풍부하고 맛있는 간식, 꾸준하게 단백질 챙기는 좋은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97 0
1516 [IT애정남] 어댑터 없이 충전하는 노트북은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5 0
1515 반월·시화 산단 교통난에 청년 인력 기피…마이크로 모빌리티 해결책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3 0
1514 [스타트업-ing] 서사 정도성 대표, “책을 읽지 않아도, 책을 읽은 것처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52 0
1513 [김 소장의 ‘핏(FIT)’]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 서로를 향한 진흙탕 싸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569 1
1512 [농업이 IT(잇)다] 크레이지피넛 “건강과 맛 주는 국산 케이올 땅콩 전도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12 0
1511 [리뷰]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의 기준선, 인텔 코어 i7-12700H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651 2
1510 [앱으리띵] 안 쓴 기프티콘 쌓이고 있다면? 기프티콘 거래 앱 '기프티스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4 0
1509 [NFT산업현장] 5. "운동하고 게임하면서 보상 받는다"... 일상생활로 돈도 번다는 X2E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28 0
1508 세탁특공대 “세특 없이 어떻게 살았지? 이 말이 절로 나오는 세상 올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284 0
1507 미래 식품산업 주연으로 떠오른 대체육…시장·기술·소재 3박자 모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09 0
1506 오라클 OCI 데이터베이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곧바로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21 1
1505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기부상열차처럼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622 4
1504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3) RE100은 새로운 무역 장벽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3 0
1503 아틀라스랩스, “음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센트로이드’로 고객 의도까지 파악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81 0
1502 세컨드브레인연구소 이임복 대표 "NFT, 인증서와 커뮤니티 멤버십으로 유용하게 쓰일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95 0
1501 전기차 차주 '충전 불편' 한목소리...충전 인프라 현황과 전망은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2007 1
1500 중소기업의 하이브리드 근무, 클라우드 아닌 'NAS'로도 구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141 0
1499 남녀노소 모두 쓸 ‘착한 키오스크’ 스마트 상점계가 해법 찾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122 0
1498 LTE(셀룰러) 버전 스마트워치, 월 요금까지 내며 쓸 만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81 0
1497 기술 인력난 심화에 업계 "계약학과 포함 지원 늘려야 "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64 0
1496 작가의 창작을 지원하는 NFT... 드래프트헙의 도전 시작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9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