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01 18:51:30
조회 159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사람의 인상은 착용한 안경에 따라 변한다. 메탈 안경을 쓴 사람을 보면 ‘지적이고 비즈니스적’이라는 느낌이 난다. 플라스틱 재질의 안경은 부드러운 사람이라는 인상을 준다. 둥근 얼굴형은 날렵한 사각형 안경을 착용하면 또렷한 인상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각진 얼굴형은 강한 인상을 중화시키고 싶다면 둥근 안경이 잘 어울린다. 피부색도 어울리는 안경을 찾을 때 중요한 포인트다. 어두운 피부색은 연한 골드, 브라운 계열의 안경 프레임이 좋다고 한다.

안경은 눈이 좋지 않을 때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패션의 한 요소로 보는 사람도 늘고 있다. 렌즈 없이 안경을 쓰거나, 실내에서도 선글라스를 벗지 않는 사람에게 안경은 시력을 보조하는 도구 이상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물론, 안경을 단순히 시력 보조 도구로만 보는 사람도 많다. 안경 업계에선 국내의 안경 평균 착용 기간을 2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안경을 교체하는 시기는 더 느려진다. 안경은 패션처럼 상황이나 기분에 따라 교체하거나, 유행에 민감한 상품은 아니다. 하지만, 안경을 필요 이상으로 오래 쓰는 건 스타일링만의 문제는 아니다. 안경을 오랫동안 교체하지 않으면 눈 건강에도 좋지 않다. 안경 관련 전문가들은 “비싼 렌즈를 오래 착용하는 것보다 괜찮은 제품으로 자주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한다. 안경과 선글라스 렌즈는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2~3년이 지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코팅이 벗겨지게 된다. 렌즈 코팅이 벗겨지면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돼 각막 손상이 일어나게 돼 주의가 필요하다.


아이즈그램 최영준 대표, 출처=아이즈그램



아이즈그램(대표 최영준)은 캐나다에서 1년 동안 398달러(캐나다 달러)를 지불하면 3개의 안경을 받을 수 있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 대표는 "무도수 선글라스 구독 서비스는 북미에 존재하지만 도수 안경 구독 서비스는 세계 최초다"라고 설명했다. 2023년부터 북미 전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아이즈그램은 눈 건강을 챙기는 것과 더불어 자신에게 어울리는 안경을 찾을 수 있도록 시간, 장소, 경우(TPO)에 맞는 안경을 제공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안경은 1개당 300~500달러 정도로 비싼 편이다(국내도 안경 평균 가격은 15~22만 원 정도 된다). 아이즈그램을 통하면 안경 1개를 살 수 있는 비용으로 1년에 3개의 안경을 받을 수 있다. 국내는 온라인 도수안경 판매가 금지돼 있지만, 캐나다와 미국 등의 해외에선 온라인 판매가 가능해 나올 수 있던 서비스다.

최영준 대표는 “기존 시장 상품의 1/3~1/4정도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유는 소량의 프레임 제품을 직접 생산하기 때문이다. 외주 생산의 경우 최소주문수량이 있으며, 컬러별로 생산하면 어쩔 수 없이 재고가 많이 남게 된다. 북미에서 가장 성공한 온라인 안경 서비스도 중국에서 외주 생산을 하고 있다. 아이즈그램은 진정한 D2C(Direct to Customer)를 통해 가격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줄인 비용은 다시 렌즈의 품질을 높이는 투자로 이어졌다.


아이즈그램의 안경, 출처=아이즈그램



아이즈그램은 이용자가 눈이 나빠서 고굴절 렌즈를 사용해야 하더라도 비용을 추가로 받지 않는다. 네 번 압축한 렌즈인 1.74 렌즈(안경원에 따라 부르는 이름은 다르다)도 추가 비용 없이 제공하고 있다. 북미에선 일반적으로 멀티코팅이라 부르는 UV코팅을 비롯해 긁힘방지, 반사방지. 초발수코팅 등 모두 비용을 추가로 내야 하지만, 아이즈그램은 이를 무상 옵션으로 넣었다.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눈 건강을 위해 필수품이라고 하는 청광차단렌즈도 비용을 추가로 요구하지 않는다(북미에서 청광차단렌즈는 30~100 달러까지도 추가 요금이 붙기도 한다). 최 대표 본인이 라식 수술 전 1.74 렌즈를 추천받을 때 고민했던 부분이라 비용적인 부분에서 타협을 하지 않았다.

최 대표가 ‘구독’과 ‘온라인 판매’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소비자가 고품질 안경을 실패 없이 구매하는 새로운 혁신을 만들자”는 취지에서다. 소비자가 온라인으로 고품질 안경을 여러 개 구매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아이즈그램은 마진이 적더라도 소비자가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가격을 저렴하게 설정했다. 그는 “소비자 경험이 축적되면 변화에 익숙해지고, 이런 변화가 수십 년간 변하지 않았던 안경 산업을 혁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 대표는 “온라인/모바일 시장의 성장은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오프라인의 불편함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전화 주문이 불편한 MZ 세대는 배달 앱으로 배달음식을 주문하듯, 이들이 오프라인에서 안경을 구매할 때의 불편함을 벗어나기 위해 온라인을 찾게 될 것이란 뜻이다. 그는 “안경을 구매할 때 본인 의사보단 안경사 추천에 의해 상품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안경원에 안경이 아무리 많이 있어도 이를 하나씩 써보면서 본인에게 무엇이 잘 어울리는지 직접 판단하기도 쉽지 않다. 미용실에서 남자 손님이 ‘어떤 스타일로 해드릴까요?’라는 질문에 잘 답하지 못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했다.

최 대표가 생각하는 ‘구독’은 VVIP를 위한 케어 서비스다. 고객 케어의 핵심은 고객이 제품을 편하게 선택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용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렌즈를 안경사가 고객 맞춤으로 제공하게 하고, 프레임 크기와 모양을 편하게 고르면 된다. 여기서 원하는 프레임과 최적화된 렌즈를 받을 때 비용을 추가로 내지 않는다는 점에 이용자는 만족하게 되고, 상품을 받고서 마음에 들지 않으면 반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비스를 부담 없이 쓸 수 있다. 아이즈그램은 구독 동안 변심, 소비자 파손 등 이유를 묻지 않고 2회의 무상 교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는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첫번째로 받은 안경에 만족하지 못하면 교체가 아니라 구독료 전액을 환불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아이즈그램



구독 서비스는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안경 도수, 프레임, 청색차단기능 등의 옵션과 관계없이 1년에 안경 3개를 제공하는 베이직 플랜이다. 둘째, 프리미엄 플랜은 1년에 3개 안경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글라스 착용률이 높고 운전이 생활화된 북미 특성에 부합하는 특수렌즈를 고를 수 있는 방식이다. 실외와 실내에서 색이 변하는 변색렌즈, 미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도수 선글라스, 드라이빙 렌즈 등이 제공된다. 셋째, 노안 문제를 겪는 소비자를 위해서 제공되는 비싼 누진다초점 안경을 1년에 2개 제공하는 프로그래시브 플랜이다.


출처=아이즈그램



구독 서비스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어떨까? 아이즈그램은 지난 1년간 캐나다 현지 안경원과 안경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를 진행했다. 소비자들은 높은 품질의 메이드인 코리아/재팬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고, 샘플 안경을 제공했을 때 코 높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아이즈그램의 안경 프레임은 아시아인에게 가장 편안하게 설계돼 있어 이들이 특히 만족했다고 한다. 동양인의 얼굴 윤곽은 서양인과 다르다. 동양인은 두상 옆부분이 넓기 때문에 안경 다리가 더 벌어져야 착용할 때 편하다. 서양인에게 특화된 기존 안경 프레임은 불편한 구조다. 아이즈그램의 안경 프레임은 동양인에게 특화됐기 때문에 이들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그는 “현재 아이즈그램의 안경은 동양인 중에서 동북아시아인에게 최적화돼 있다. 해외에 있는 한인이 1차 타깃이지만, 다민족국가인 북미 특성상 범아이사권 시장에만 진출해도 큰 성공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후로는 인종별로 특화된 코 높이, 두상 모양에 맞춰진 안경 프레임을 개발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최 대표에게 사람들이 안경을 여러 개 갖고 있어야 하는 이유를 물었다. 그는 “현재 안경을 5개 정도 갖고 있는데, 기분과 장소 그리고 만나는 사람에 따라 안경을 바꿔서 착용하고 있다. 이처럼, 정장에 어울리는 안경, 레저/운전 등을 위한 캐주얼한 안경, 집에서 쉬면서 TV나 책을 볼 때 착용하는 안경 등 TPO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안경이 여러 개 있으면 기능성과 패션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안경에 따라 인상이 바뀌는데, 그런 측면에서 가장 손쉬운 성형과 같다”고 했다. 그가 말하는 안경은 마치 SPA 브랜드의 옷처럼 느껴진다. 옷과 신발도 매일 TPO에 맞춰서 갈아입는데, 안경이라고 그러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다. 그가 구독 서비스를 통해서 안경의 패션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이유도 이 지점에서 시작한다.


아이즈그램 가상피팅 서비스, 출처=아이즈그램



“얼굴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패션 아이템인 안경은 왜 매번 똑같을까?”

최 대표는 그 이유를 ‘가격’에서 찾았다. 사람들은 과감하게 스타일을 바꾸고 싶어하지만, 실패를 피하기 위해 전과 같은 제품을 관성적으로 구매한다. 아이즈그램은 구독 서비스로 안경 구매 가격을 낮추었다. 또한, 고객 얼굴 윤곽을 분석해 가상으로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가상피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스마트폰/노트북 카메라로 얼굴 사진을 찍고 아이즈그램 홈페이지에서 가상피팅 서비스를 이용하면, 안경을 미리 착용해보고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 안경을 받았더라도 무상 교체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안경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새로운 시장 창출이다. 정보 인지의 80% 이상이 눈을 통해 이루어진다. 안경은 생활 필수 보조기구임에도 불구하고, 안경에 대한 정보 불균형은 심하다. 안경원에 방문한 소비자는 알아듣기 힘든 옵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처음 들어왔을 때보다 훌쩍 올라간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가 처방전만 제공하면 나머지는 아이즈그램이 알아서, 비용 상승 없이 해당 시력에 최적화된 안경렌즈를 제공한다. 소비자가 보다 편하게, 다양한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독 서비스다”라고 했다.

최 대표에게 아이즈그램의 핵심 전략은 ‘낮은 가격’인지를 물었다. 그는 “북미의 온라인 안경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10% 밑돈다. 안경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착용해보고 구매하는 소비패턴이 여전히 강세다. 또한, 보수적인 국가인 캐나다는 변화가 거의 없다. 온라인 안경 시장이 커지길 바라기 때문에 다른 업체들도 함께 성장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면서 “이들과 저가 경쟁을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더 좋은 제품을 판매해서 온라인은 저품질의 상품을 싸게만 파는 곳이라는 인식을 바꾸고 싶다”고 했다.

그는 안경과 관련이 없는 영화, 게임 마케팅, 데이터분석 산업에서 일을 했다. 그가 안경 산업에 진출하게 된 이유는 안경 기업을 컨설팅하면서 이 산업에 새로운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보수성이 강한 산업이라는 생각에 그렇다면 역으로 ‘작은 변화도 혁신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했다. 3년간 안경 산업과 새로운 아이템을 분석하고 북미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

최영준 대표는 “한국 안경 산업은 한때 글로벌 경쟁력이 막강했고, 세계 3대 안경 도시에 대구가 속해 있었을 정도다. 지금은 중국산, 베트남산 제품에 시장 점유율을 뺏기고 있다. 한국 안경 산업이 다시 글로벌 도약을 할 수 있길 바라며, 해외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라고 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넷플릭스 하루에 600원"…구독 서비스 '역린' 건드렸다▶ 위기 맞은 구독 서비스…'게임 구독'에도 회의론 슬금▶ "4인팟 때문에 작품에 투자할 돈도 줄어" 넷플릭스, 계정 공유에 추가 요금 받는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543 인텔, 와이파이 6E 이어 와이파이 7 시대도 선도할 그림 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49 0
1542 커머스, 택시, 가전부터 대체육까지…인간 뺨치는 펫코노미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7 0
1541 [모빌리티 인사이트] 하늘길도 친환경으로 - 지속가능 항공 연료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543 1
1540 행정 혁신의 시작은 '협업 툴', 카이스트가 두레이를 선택한 이유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32 0
1539 킬사글로벌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AtoZ 맡겨주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8 125 0
1538 물류∙유통 업계, ‘친환경 동맹’ 형성 위해 팔 걷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20 0
1537 앱으로 버스 하차벨 누르고 지하철 통과하는 '태그리스 시대' 임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3 0
1536 "가상자산을 담고, 탈중앙 서비스의 인프라이기도 하고"... 가상자산 전자지갑이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23 0
1535 프리미엄 노트북 '요가' 7세대 국내 출시한 레노버…"콘텐츠 크리에이터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4 0
1534 그린미네랄 “폐배터리, 미세조류와 만나면 자원의 보고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39 0
1533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3부 - 인공지능 산업/기업을 지원,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7 1787 0
1532 디지털전환 나선 ESG 경영 관리..."국내 ESG도 발전하려면 ESG지표 표준화 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20 0
1531 [기고] 가상자산, 투자자 보호 위해선 조속히 제도화돼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3 0
1530 AI가 짜 주는 여행일정...관광 앱 '터치수원' 써 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37 0
1529 [리뷰] 새로운 M2 칩과 디자인으로 돌아왔다, 애플 맥북 에어 2022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291 4
1528 [리뷰] MX 시리즈 첫 기계식 키보드, 로지텍 MX Mechanical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146 2
1527 ‘게임 체인저’ 될 줄 알았던 그 물건들, 지금은 어디로?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4433 8
1526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큐어버스 “치매 특효 저분자 신약으로 삶의 질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17 0
1525 레트로 열풍, ‘보물’로 거듭난 과거의 유물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72 0
1524 [뉴스줌인] 480Hz 주사율에 최상급 성능, 델 에일리언웨어 m17 R5·x17 R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57 0
1523 [기고] 아트 테크가 던진 혁신, 예술 문화 보급 이끌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16 0
1522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 도대체 블록체인이란 무엇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41 0
1521 개인정보의 범위...어디까지인가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886 0
1520 [주간투자동향] 비바리퍼블리카, 3,000억 원 규모의 투자 확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62 0
1519 [뉴스줌인] 게이밍 그래픽카드의 끝자락, 지포스 GTX 1630 이모저모 [4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4 2639 5
1518 저출생·고령사회 한국…'돌봄 공백' 메우는 스타트업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1 0
1517 헬스스윗 "단백질 풍부하고 맛있는 간식, 꾸준하게 단백질 챙기는 좋은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97 0
1516 [IT애정남] 어댑터 없이 충전하는 노트북은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5 0
1515 반월·시화 산단 교통난에 청년 인력 기피…마이크로 모빌리티 해결책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3 0
1514 [스타트업-ing] 서사 정도성 대표, “책을 읽지 않아도, 책을 읽은 것처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52 0
1513 [김 소장의 ‘핏(FIT)’]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 서로를 향한 진흙탕 싸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569 1
1512 [농업이 IT(잇)다] 크레이지피넛 “건강과 맛 주는 국산 케이올 땅콩 전도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12 0
1511 [리뷰]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의 기준선, 인텔 코어 i7-12700H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651 2
1510 [앱으리띵] 안 쓴 기프티콘 쌓이고 있다면? 기프티콘 거래 앱 '기프티스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4 0
1509 [NFT산업현장] 5. "운동하고 게임하면서 보상 받는다"... 일상생활로 돈도 번다는 X2E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28 0
1508 세탁특공대 “세특 없이 어떻게 살았지? 이 말이 절로 나오는 세상 올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284 0
1507 미래 식품산업 주연으로 떠오른 대체육…시장·기술·소재 3박자 모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09 0
1506 오라클 OCI 데이터베이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곧바로 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21 1
1505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기부상열차처럼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622 4
1504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3) RE100은 새로운 무역 장벽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3 0
1503 아틀라스랩스, “음성 데이터 분석 솔루션 ‘센트로이드’로 고객 의도까지 파악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81 0
1502 세컨드브레인연구소 이임복 대표 "NFT, 인증서와 커뮤니티 멤버십으로 유용하게 쓰일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95 0
1501 전기차 차주 '충전 불편' 한목소리...충전 인프라 현황과 전망은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2007 1
1500 중소기업의 하이브리드 근무, 클라우드 아닌 'NAS'로도 구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141 0
1499 남녀노소 모두 쓸 ‘착한 키오스크’ 스마트 상점계가 해법 찾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0 122 0
1498 LTE(셀룰러) 버전 스마트워치, 월 요금까지 내며 쓸 만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81 0
1497 기술 인력난 심화에 업계 "계약학과 포함 지원 늘려야 "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64 0
1496 작가의 창작을 지원하는 NFT... 드래프트헙의 도전 시작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92 0
1495 부메랑 되어 돌아온 '몰아보기'…넷플릭스, 전략 바꿀까?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4312 3
1494 [기고] 블록체인은 암호화폐가 아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1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