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자동 축 잠금에 1.8인치 OLED가 핵심, DJI 로닌 RS 3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21 16:01:18
조회 88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짐벌(Gimbal)은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때 결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물리적 자세 보정장치가 탑재된다. 최근 출시되는 대다수 카메라나 스마트폰은 광학식 이미지 안정장치(OIS)가 장착돼 미세한 떨림은 충분히 잡아내고, 전자식 보정을 동영상에서의 큰 흔들림도 잡지만 여전히 완벽하진 않다. 특히 카메라를 들고 달리거나 구도를 극적으로 바꾸는 경우까지 보정되진 않는다. 이런 상황에 사용되는 장치가 짐벌로, X축과 Y축, Z축을 모두 보정해 높낮이나 회전, 각도 등이 변하더라도 구도를 유지한다.


DJI 로닌 RS 3 프로 및 RS 3, 카메라는 캐논 EOS R에 RF 24-105mm F4L IS USM이 활용됐다. 출처=IT동아



대중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연결해서 쓰는 짐벌이 잘 알려져 있지만, 영상 전문가들 역시 짐벌을 활용한다. 스마트폰용 짐벌과의 차이점이라면 거치 중량이 영상용 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도록 kg 단위며, 자세 제어나 안정성 등의 수준도 차원이 다르다. 또한 촬영에 필요한 다양한 부가 기능이나 액세서리 등을 장착할 수 있는 호환성도 갖춘다. 현재 이 시장에서는 DJI만이 제대로 된 영상 전문가용 짐벌을 제작하고 있는데, 지난 16일에 세 번째 고성능 짐벌인 DJI RS 3 및 RS 3 프로, 그리고 영상 무선 전송 및 원격 짐벌 제어를 지원하는 DJI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을 함께 공개했다. 새롭게 고성능 짐벌의 자리를 꿰찬 DJI 로닌 RS 3 시리즈를 직접 활용해봤다.

자동 축 잠금에 3세대 RS 안정화 알고리즘 지원



RS 3 프로는 무게 1.5kg에 지지하중 4.5kg이며 RS 3는 무게 1.3kg에 3.0kg을 지지한다. 출처=IT동아



DJI RS 3 및 RS 3 프로는 미러리스부터 소형 시네 카메라까지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용 짐벌이다. 전작인 RS 2 시리즈의 경우 최대 하중 4.5kg인 RS 2와 3.0kg인 RSC 2로 각각 나뉘었는데, 이번 RS 3 프로와 RS 3 역시 동일하게 각각 하중이 4.5kg과 3.0kg이다. 최대 하중이 4.5kg인 RS 3 프로는 레드 코모도에 RF 24-70mm F2.8 혹은 BMPCC 6K PRO에 EF 24-70mm f2/8, 소니 FX6에 24-70mm f2.8정도까지 권장된다. 또 3.0kg인 RS 3는 A7M4에 FE 24-70mm F2.8 혹은 캐논 R5/6에 RF 24-70mm F2.8 정도가 권장된다. 하지만 기존 RSC 2의 경우 미세 교정을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블루투스 셔터 등이 지원되지 않는 등 보급형에 가까운 제품이었지만, RS 3는 하중만 3.0kg이며 구체적인 성능과 재원은 RS 3 프로와 마찬가지로 고급 하드웨어를 채용하고 있다.


DJI RS 3 프로는 전작보다 강성이 좋아진 탄소 섬유 소재와 1.8인치 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 출처=IT동아



고성능 버전인 DJI RS 3 프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RS 3 프로는 짐벌과 배터리 그립, 퀵 릴리즈 플레이를 포함한 무게가 1.5kg의 짐벌로, 전작보다 더 가볍고 강성이 좋아진 탄소 섬유 소재와 1.8인치 OLED 풀 컬러 터치스크린을 채택했다. 또한 RS 3 및 RS 3 프로 모두 전작에 없었던 자동화 축 잠금장치 해제 기능이 지원되며, 블루투스 셔터와 짐벌 모드 스위치가 추가됐다. 안정화 기능인 RS 안정화 시스템 알고리즘은 한 단계 더 상승했으며, 퀵 릴리즈 플레이트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해 빠른 초기 촬영을 지원한다.



처음 RS 3 프로를 손에 쥐고 시동을 걸었을 때 느끼는 기능은 바로 자동화 축 잠금장치 해제 기능이다. RS 2를 포함한 이전 세대 짐벌들은 사용 후 자세 고정을 위해 수동으로 각 축의 잠금장치를 해제해줘야 했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체결해야 했다. 따라서 촬영 중 전원을 껐다 켰다를 반복하면 계속 잠금장치를 걸어야했다. 하지만 RS 3와 RS 3 프로 모두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해제되고 체결된다. 사용자가 전원을 넣으면 자동으로 모든 축 잠금이 해제되며 안정 자세를 취하며, 전원을 끄면 자동으로 짐벌이 접히며 잠금장치가 체결된다. 덕분에 촬영의 연속성과 기동성이 크게 향상됐고, 체결 중 카메라나 부속이 걸리면 걸린 상태로 꺼지기 때문에 따로 파손 위험도 없다.

인터페이스에 변화, 실사용 시간은 3~4시간 정도



조작계에 큰 변화는 없지만, 터치 화면이 커져서 제어가 훨씬 편해졌다. 출처=IT동아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에서도 변경점이 있다. RS 3와 RS 3 프로 모두 새롭게 1.8인치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며, 터치 방식으로 제어된다. 전작에서는 1.4인치 LCD 혹은 1인치 흑백 디스플레이였다. 덕분에 터치 기능을 활용해 액티브트래킹이나 타임랩스 등의 주요 기능을 실행하기 편리해졌다. 게다가 디스플레이와 짐벌을 연결하면 1.8인치 디스플레이로 화면을 볼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또한 안정적인 자세를 돕는 새로운 브리프케이스 핸들이 기본으로 제공돼 이전 세대보다 훨씬 더 안정적으로 카메라를 운반할 수 있다. 이중 RS 3 프로는 차량용 마운트와 스테디 캠, 슬라이더, 케이블 캠, 지브 크레인과 연동해서 쓸 수 있다.


배터리는 USB-C로 충전하며, 충전 중 촬영을 지원한다. 출처=IT동아



배터리는 RS 3 프로와 RS 3의 용량과 크기가 각각 다르다. RS 3 프로의 최대 작동 시간은 12시간이며, 충전 시간은 24W 충전기 사용 시 1.5시간이다. 반면 RS 3의 동작 시간은 동일하게 12시간이지만 충전 시간은 18W 기준 약 2.5시간으로 더 길다. 두 장치 모두 충전 중 촬영을 지원하며, 배터리 하단에 USB C형 단자가 있어 걸리지 않고 충전하며 쓸 수 있다. 다만 실제 사용 시간은 이보다 짧다.

무게가 각각 660g과 700g인 캐논 EOS R과 RF 24-105mm F4L IS USM을 장착하고 활용한 결과에서는 약 세 시간이 지났을 때 배터리가 30% 정도 남았다. 이때 카메라의 무게 중심을 세밀하게 교정하지 않아 계속 부하가 걸려있었던 점, 촬영 중 트랜스미터나 LiDAR 포커스 시스템, 레이븐아이 등을 모두 활용하고 계속 켜진 상태로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실사용 시간은 기종에 따라 2시간에서 6시간까지 다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 눈높이에 맞게 더 다양해진 주변 기기



RS 3 프로에 LiDAR 포커스 시스템과 포커스 모터, 트랜스미터까지 장착한 사진, 아래 디스플레이는 DJI 로닌 4D 핸드 그립을 장착한 DJI 트랜스미션 디스플레이. 출처=IT동아



짐벌 주변 기기는 DJI RS 3 프로의 핵심이자 최대 업그레이드 요소다. RS 3 프로는 기존에 있던 스마트폰 무선 화상 전송 장치인 레이븐아이와 포커스 모터를 지원하는 건 물론, LiDAR 포커스 시스템과 DJI 트랜스미션을 지원한다. LiDAR 포커스 시스템은 로닌 4D에 탑재된 거리 측정기를 외장형으로 옮긴 장치로, 14m 이내에서 4만 3200개의 포인트로 측정한다. 여기에 최대 토크는 3배 강해지고 가청 소음은 50% 감소한 신형 포커스 모터와 조합하면 수동 모드를 정밀한 자동 초점 렌즈로 쓸 수 있다.


위의 두 장이 각각 LiDAR 포커스 시스템과 포커스 모터며, 아래 두 장이 DJI 트랜스미터 및 트랜스미션이다. 참고로 트랜스미션의 핸들은 별매의 제품이며 탈부착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아울러 최대 50Mbps의 비트 전송률로 1080p 60프레임 영상 전송을 지원하는 O3 프로 기술을 채택해 원격으로 화상 전송과 짐벌 제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짐벌 하단에 비디오 트랜스미터를 장착한 다음 짐벌과 연결하고, 디스플레이와 무선으로 연결하면 짐벌을 직접 들지 않고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측면에는 로닌 4D와 동일한 핸들을 장착할 수 있어서 조그 다이얼이나 모드 기능도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는 마이크로 SD 슬롯이 있어서 현장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소니 미러리스 카메라의 메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도 제공된다.

최고의 짐벌을 원하는 전문가를 위한 제품


초창기 짐벌은 영상 촬영에 있어서 가히 혁신적인 물건이었다. 카메라의 손떨림 방지 기능이 떨어지더라도 완성도 높은 영상을 만들 수 있고, 원래라면 정상적인 촬영이 어려운 역동적인 상황도 촬영할 수 있도록 만들어줬다. 그런데 짐벌 기술 자체는 대단한 기술이 아니다 보니, 새 제품이 출시되더라도 처음과 같이 혁신적이라는 반응을 이끌어내진 못했다. 결국 제조사들은 고성능보다는 접근성이 좋은 제품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출시 주기가 길어지고 있다. 하지만 DJI만큼은 달랐다. DJI는 일반 소비자용 짐벌이나 드론은 물론, 산업용 드론이나 시네마 카메라 등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으며, 전문가용 짐벌 역시 제대로 만들고 있다.


기존 RS 2보다 진보된 점이 많다. 특히 자동 축 잠금장치 해제만 하더라도 장족의 발전이다. 출처=IT동아



이번에 출시된 DJI 로닌 RS 3와 RS 3 프로, 그리고 디지털 트랜스미터만 봐도 그렇다. 기존의 RS 2 역시 좋은 제품이지만,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 높은 안정성과 기능, 새로운 액세서리와 호환성 확보 등을 추구한 제품이다. 게다가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하도록 RS 3는 63만 원대에 출시하고, 탄소 섬유와 고성능 하드웨어가 포함된 RS 3 프로는 116만 원대에 출시한다. 전작과 비교하면 가격이 크게 올랐지만 기동성과 활용도를 생각하면 납득할만한 수준이다. DJI 트랜스미션은 오는 9월부터 주문할 수 있으며, 전문가용 제품인 까닭에 가격은 284만 원으로 비싸다. 짐벌은 브이로그에서 유튜브 크리에이터는 물론, 독립 영화부터 극장가까지 폭넓게 쓰이는 물건이다. 꾸준히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제품을 내놓는다는 점 자체가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노린 미니 드론', DJI 미니 3 프로를 만나다▶ [IT신상공개] 소형 항공 촬영 드론 DJI 미니 3 프로, 미니2와의 차이는?▶ DJI, 내구성·성능 높인 차세대 산업용 드론 ‘M30’ 공개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490 [IT신상공개] LG의 폼팩터 실험은 계속 된다, 이동형 모니터 '리베로' 출시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747 0
1489 나날이 교묘해지는 해킹 앱, 아이폰도 안심은 금물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3464 8
1488 유럽연합 ESG 공급망 실사법 추진...수출기업 '비상'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168 1
1487 [주간투자동향] 라인 넥스트, 1,000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계약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8 693 0
1486 정부, 산업단지 내 탄소배출 저감 ‘박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91 0
1485 [리뷰] 친환경+보냉 만족 포장재, 칼렛바이오 전분패드 보냉박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122 2
1484 [기고] IT서비스의 정상 운영, 고객 만족도와 직결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85 0
1483 [IT애정남] 중저가 모니터의 HDR 기능, 의미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135 0
1482 [김 소장의 ‘핏(FIT)’] “아빠, 화장실에서 찍은 제 사진 좀 지워주시면 안되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1669 1
1481 틱톡 송제승 SMB 총괄 “중소기업 광고주와 동반 성장, 지속가능성을 위해 꼭 필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497 0
1480 [리뷰] 새 드라이어와 양방향 배럴로 혁신, 다이슨 에어랩 멀티 스타일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102 0
1479 [농업이 IT(잇)다] 헬씨코 “남녀노소 모두 쉽게, 맛있게 먹는 한방 식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92 0
1478 UAM부터 최신 전기차까지…4년 만에 돌아온 ‘부산모터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77 0
1477 몇 만 원짜리 IP카메라, 센서만 있어도 여름철 매장∙가정 보안 ‘든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113 0
1476 하이브리드 근무는 사라지지 않는다...줌 "관건은 하이브리드 방식의 효율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105 0
147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우당네트웍 “성공으로 이끄는 맞춤형 연구·실험 서비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94 0
1474 [모빌리티 인사이트] 무한한 공간, 저 너머로! 우주 탐사 모빌리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94 0
1473 센서부터 인공지능까지 총동원, 스포츠에 녹아든 IT 기술들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1617 3
1472 콘텐츠스텝업, IP를 무기로 글로벌 콘텐츠 전쟁에서 살아남는 비결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86 0
1471 전통 금융권이 동남아 시장을 두드리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112 0
1470 [리뷰] 그로구, 딘 자린, 보바 펫이 함께하길, 씨게이트 스타워즈 외장하드 3종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1026 1
1469 액셀러레이터 10년 경력 스파크랩 김유진 대표의 스타트업 'He스토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111 0
1468 [기고] 글로벌 기업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 주목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82 0
1467 경직된 스마트폰 시장에 새 바람 불까··· 英 낫싱, Phone (1) 정식 출시 [2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2822 1
1466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제 2의 지구, 별의 탄생과 죽음, 첫 우주의 단서 포착”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3 1019 8
1465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5부 - 인스타그램으로 비즈니스 성공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90 0
1464 [르포] 인공지능 인재 육성의 일선 현장을 가다…'서울 우신고등학교'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132 0
1463 [이제는 SaaS 시대] 고객 기술 지원을 위해 후지필름이 선택한 ‘비디오헬프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73 0
1462 KDA "정부는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하고, 이용자를 보호할 책임이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90 0
1461 ‘코인’ 열풍 시들, 그래픽카드 가격 정상화 단계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4230 12
1460 [뉴스줌인] X-밸런스드에 라인 디퓨저가 무슨 말? 소니 SRS-XE200·300 스피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68 0
1459 [IT 강의실]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화질 볼 때 눈여겨볼 숫자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2 108 0
1458 [뉴스줌인] OLED 탑재 노트북 대거 출시한 에이수스, 뭐가 다르길래?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350 1
1457 호텔업계, 휴가철 맞아 '펫팸족' 사로잡기 분주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240 1
1456 [IT애정남] 네이버 지도의 즐겨찾기 한도는 2천 개, 늘릴 방법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07 0
1455 재협상? 계약 파기? 혼돈에 빠진 머스크와 트위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98 0
1454 [리뷰] LG 윈퀵 시리즈, 회의실부터 거실까지 ‘열일’하는 올인원 디스플레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27 0
1453 창작자들의 새로운 시도... "NFT로 크라우드펀딩 나섭니다"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1532 0
1452 [주간투자동향] FCMT, 61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1 61 0
1451 날씨를 조작하는 기술, 어디까지 가능할까?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839 5
1450 [스타트업人] "어려운 미술세계, 쉽고 재밌게 설명해야 모두가 즐길 수 있어요" 테사 에셋 큐레이터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33 0
1449 [농업이 IT(잇)다] 메디프레소 “건강 차도 캡슐 머신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내려 드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04 0
1448 [IT강의실] 에어컨, 전기요금 조금이라도 아끼며 시원하게 쓰려면?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8726 13
1447 [리뷰] 전문가용 모니터를 이식한 노트북, 에이수스 프로아트 스튜디오북 16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225 0
1446 [김 소장의 ‘핏(FIT)’] 고인의 모습과 고인의 목소리, 당신의 추억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531 0
1445 넷기어 오르비 시리즈, 유선+무선 구성으로 활용도 높이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51 0
1444 포스코 “11돌 아이디어마켓플레이스, 스타트업 대표 등용문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89 0
1443 유류비 폭등에 전기차 가격까지 상승...울상인 소비자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785 0
1442 [IT애정남] 외장 SSD는 데이터 보관용으로는 부적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90 0
1441 그래프코어, ETRI와 손잡고 국내 AI 산업 효율화·상용화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0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