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IT강의실] 저시력자, 노안, 색맹을 위한 '윈도우 화면 모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15 15:02:17
조회 132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데스크톱 모니터는 갈수록 대형화, 고해상도로 가는 추세며, 노트북은 크기는 13~17인치에 해상도는 높아지고 밝아지는 추세다. 형태와 관계없이 디스플레이의 픽셀 밀집도를 뜻하는 DPI(Dot per inch)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화상이나 글씨가 또렷하게 표시된다는 의미인데, 반대로 모니터에 표시된 글씨나 화상이 깨알같이 작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관계없이 적절하게 창이나 글씨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글씨 크기를 표준 이상으로 키우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등 세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이번 IT강의실에서는 저시력자나 노안 등 시각적인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나 배율 등을 조절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첫 단계는 글씨 및 창 크기 최적화



화면 배율은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배율 및 레이아웃 조정으로 바꿀 수 있다. 출처=IT동아



최근 출시되고 있는 고성능 디스플레이는 픽셀 밀집도가 높다. 예를 들어 27인치 4K(3840x2160) 해상도 모니터는 같은 27인치 FHD(1920x1080) 모니터와 비교해 밀집도가 네 배 높다. 별도의 배율 조정이 없다면 동일한 문서나 사진이 네 배로 작게 보인다. 만약 15.6인치인 노트북이 4K 해상도를 지원한다면, 배율 조정 없이는 글씨조차 읽기 힘든 수준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배율 자체는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조정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그마저도 작다고 느낄 수 있다.

설정 방법은 간단하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누르면 메뉴창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디스플레이 설정(D)’를 클릭한다. 그다음 아래에 있는 배율 및 레이아웃에서 ‘100%(권장)’으로 돼있는 부분을 150~200% 등 본인이 보기 편한 수준으로 확대한다.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는 권장 설정이 120~150%로 돼있는 경우도 있는데, 적당히 배율을 높이면 된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내리는 것도 방법이다. 해상도를 내릴 경우 모니터에서 표기하는 화상의 선명도나 창 범위가 좁아지긴 하지만 배율 조정 없이 기본 상태로 화상의 표기를 키울 수 있다.

일시적으로 화상을 키우고 싶다면 ‘돋보기’를 쓰자



돋보기를 활용하면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 자체를 확대할 수 있다. 캡처와 달리 해당 장면은 실제로도 커보인다. 출처=IT동아



배율을 변경하는 기능은 창의 크기나 텍스트, 문서 등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진이나 영상 등에는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나 배율과 무관하게 백내장으로 인한 탁한 시야, 녹내장 등으로 인한 시야 좁아짐 등을 겪고 있다면 배율 변경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돋보기’다. 돋보기는 윈도우에 기본으로 내장된 기능이며, 부분 확대는 물론 한글을 읽어주는 기능이 같이 포함돼있다.


돋보기의 렌즈, 도킹 모드를 활용해 최적화된 확대 모드를 쓸 수 있다. 출처=IT동아



돋보기는 윈도우의 검색 메뉴에서 ‘돋보기’를 입력해 실행하거나, 키보드에서 윈도우키와 ‘+’를 눌러서 실행한다. 끄기는 윈도우키와 ‘ESC’를 눌러서 해제한다. 돋보기가 켜지면 작은 창에 현재 배율이 100%로 표기되고, 마이너스와 플러스를 선택해 배율을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CTRL+ALT+L를 누르면 화면의 배율은 건드리지 않고 마우스 주변만 확대해서 보여주는 ‘렌즈’ 모드가 되며, CTRL+ALT+D를 누르면 모니터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쓰는 ‘도킹’ 모드로 진입한다. 다시 기본 상태로 돌아가려면 CTRL+ALT+F를 누르면 전체 화면으로 돌아가며, 여기서 100%로 배율을 낮추면 기본 상태로 돌아간다.


텍스트를 드래그 한 상태에서 재생을 누르면 읽어준다. 출처=IT동아



읽기 기능은 글씨를 판별하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돋보기에 내장된 기능이다. 텍스트에 마우스를 드래그한 상태로 두고 돋보기의 ‘▶’를 누르면 한글과 영어를 자동으로 읽어준다. 영문의 경우 발음이 정확하진 않지만, 한글은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하므로 스피커나 이어폰이 있다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다. 이외에도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을 때 CTRL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휠을 돌리면 돋보기 기능을 쓰지 않고도 즉시 화면 배율이 바뀐다.

화면의 명암 바꾸는 ‘다크 모드’와 ‘색상 필터’



좌측이



다크 모드는 이름 그대로 윈도우의 전체 색상을 흰색 우선에서 검은색 우선으로 바꾸는 모드다. 기본 상태 윈도우는 백색 화상이 많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눈에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나 화면 밝기가 높다면 눈부심을 유발하기도 한다. 설정 방법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개인 설정(R)’을 진입한다. 그다음 측면에 ‘배경’으로 돼있는 부분에서 ‘색’을 선택하고, 색 선택에서 ‘라이트’로 표기된 부분을 ‘다크’로 바꾼다. 이렇게 하면 웹 브라우저 등 백색 우선인 조건을 제외하고는 윈도우 상에서 백색인 화상은 검은색으로 표현된다.


저시력자 및 색약자를 위한 색상 필터 및 고대비 모드. 출처=IT동아



저시력자 혹은 색약자를 위한 전용 기능도 있다. 윈도우 검색 창에 ‘색상 필터 조정’을 입력해 실행하면 ‘색상 필터’ 기능이 켜진다. 아래에 ‘끔’으로 돼있는 색상 필터를 켜면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이 켜진다. 화면 강조가 필요하다면 반전, 회색조, 회색조 반전 등을 통해 고대비 효과를 적용할 수 있고, 그 아래에 적록 (녹색약, 제2색맹), 적록 (적색약, 제1색맹), 청황(제3색맹)을 위한 전용 컬러 필터가 제공된다.

이보다 더 시인성이 높은 윈도우 환경을 원한다면 측면의 ‘고대비’ 모드를 통해 직접 색상을 바꿔야 한다. 고대비 모드는 말 그대로 대비가 높은 상태를 뜻하는 말로 기본적인 윈도우 색상보다 훨씬 색상을 두드러지게 강조한다. 고대비 모드를 켜면 네 가지 기본 고대비 모드가 제공되며, 텍스트나 하이퍼링크, 사용 불가 텍스트, 선택한 텍스트의 색상 대비, 단추 텍스트의 색상 대비, 배경 색상을 하나하나 지정할 수 있다. 기본 제공 모드로도 검은색 배경에 노란색 및 하얀색 글씨, 검은색에 시안색을 지정하는 등 시인성을 극도로 끌어올릴 수 있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3부 - 노출도를 높이는 태그 200% 활용법▶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2부 - 반응을 이끌어내는 콘텐츠의 모든 것▶ 현대의 PC에 남은 과거의 ‘흔적기관’ 뭐가 있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440 [모빌리티 인사이트] 기분 따라 옷을 바꿔 입는 자동차, 자가 치유까지 한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501 0
1439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2)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92 0
1438 진실 왜곡 ‘딥페이크’…보험업계 파고든다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1045 0
1437 애니온넷 “파트너사의 IoT 사업 성공을 돕는 조연, 우리의 본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7 0
1436 [앱으리띵] 허위조작정보에 속지 않으려면? ‘팩트체크넷’ 이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7 0
1435 [IT애정남]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안된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89 0
1434 갈등 빚는 구글·카카오··· 왜 '인앱 결제'는 분쟁의 씨앗이 됐나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18 0
1433 [IT강의실] 여름 휴가철 스마트폰 쓸 때 주의할 점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91 0
1432 지상파 UHD 방송 5년째, 그런데 보는 사람이 없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02 0
1431 "외로움은 사회가 풀어야 할 문제"... 사람들의 만남은 어떻게 더 많이 만들어질까?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566 1
1430 애플과 구글의 명분 없는 '수수료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62 0
1429 [스케일업] “스스로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7 0
1428 中 배터리 파상 공세에 국내 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꺾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44 0
1427 스마트 오피스의 완성은 책상, '모니터 암·모션 데스크'가 떠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12 0
1426 호주·미국 단합에 중국 희토류 패권 흠집··· '사이버 공격에 여론 조작도 시작'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955 11
14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뉴로서킷 “탈모 관리 습관의 모든 것, 바야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08 0
1424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부 -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즈니스 가치를 높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16 0
1423 상위 1000대 제조사 150곳 "자사 공급망 경쟁력 점수는 58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6 0
1422 계정 하나로 여러 이메일 주소를? '별칭' 활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743 0
1421 [뉴스줌인] aptX 어댑티브 지원 블루투스 동글, 무엇에 쓰는 물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62 0
1420 탈레스 "늘어나는 보안 솔루션, 휴먼에러 피하려면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8 0
1419 1형 센서, 2억 화소...하반기 ‘괴물’ 카메라 스마트폰 온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2636 0
1418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사업은 더 살기 좋은 집 위한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2 0
1417 [주간투자동향] 팀프레시, 1,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205 0
1416 카비 “비즈니스 노트북, 엔드포인트까지 철저한 보안 시스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3 0
1415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59 0
1414 [리뷰] 캠핑족을 위한 고성능 빔프로젝터, 벤큐 GS50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147 2
1413 ‘마이브’ 차주에게 물었다…초소형 전기차 타보니 어때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77 0
1412 [김 소장의 ‘핏(FIT)’] 우리나라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추모비가 있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703 0
1411 [농업이 IT(잇)다] 더루트컴퍼니 “감자와 함께 강릉의 대표 로컬 브랜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4 0
1410 [리뷰] ‘터프’하게 쓰는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티렉스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35 0
1409 삼성전자, TSMC 추격 고삐 당겼다…‘GAA 기반 3나노’ 양산 공식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24 0
1408 아직도 있었어? PC통신 추억담은 ‘유니텔’, 오늘부로 서비스 완전 종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46 0
1407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6 불붙은 창문형 에어컨 시장··· 주목받는 이유와 올해 신제품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930 5
1405 LG전자, SM 손 잡고 피트니스 시장 공략…"2025년까지 매출 5000억 목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103 0
1404 스마트 상점 주문·결제·배달 앱 ‘주문통합 솔루션’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3 [모빌리티 인사이트]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의 시대는 열릴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253 1
1402 “스타트업 성공을 원한다면, 10년 후 오를 에베레스트 정상에 집중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22 0
1401 ‘ESG’, ‘친환경’에 고민 큰 중소기업들, 돌파구는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80 0
1400 [리뷰] '온 몸을 움직이며 VR을 즐겨라'...피코의 VR헤드셋 네오3 링크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192 0
1399 원격 근무가 일상이 된 사회,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NAS'가 떠오른 이유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681 3
1398 [리뷰] VR 세계로의 초대장, 인스타360 원 RS 1인치 360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98 0
1397 5배 빠르다는 와이파이7, 2024년 상용화 앞두고 관련 솔루션 속속 등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865 1
1396 토스뱅크 가입자 360만명 돌파…내달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65 0
1395 체이널리시스 "가상자산 산업의 성장 투명성과 신뢰에 달려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7 0
1394 [김 소장의 ‘핏(FIT)’] 고인의 디지털 정보, 유족에게 전달해야 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25 0
1393 NHN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앞세워 2026년 '매출 8천 억' 노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00 0
1392 [IT애정남] '시크릿 모드'로 인터넷 해도 비밀은 없다?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7027 11
1391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4부 - 충성 고객을 만들어내는 소통 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9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