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성장이냐 정체냐...중대 기로에 선 韓 리걸테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5.18 14:22:30
조회 120 추천 0 댓글 0
[IT동아 김동진 기자] 사람들은 실생활에서 얼마나 법률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을까. 예컨대 주차 위반 딱지를 끊었을 때 그 처분이 합당한지 따지기 위해 변호사에 자문을 구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에 열에 아홉은 값비싼 수임료를 떠올리며 손사래를 칠 것이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기 때문이다.

실제 인식도 이와 다르지 않다. 리걸테크산업협의회가 최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3.5%는 ‘아는 변호사가 단 한 명도 없다’고 응답했다. 국민 대다수는 여전히 법률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변호사에 대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냐는 질문에도 ‘전혀 그렇지 않다’(25.7%)와 ‘그렇지 않다’(26.8%)는 응답이 52.5%에 달했다. 이처럼 일상과 동떨어진 법률서비스를 생활 속에서 활용하도록 돕겠다는 기술 기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리걸테크(LegalTech) 기업이다. 이들은 근로계약서 위험조항 분석기와 온라인 변호사 광고 플랫폼, 고소장 자동 작성 서비스 등을 선보이며 법률서비스 문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변호사들의 반발과 각종 규제로 성장이냐 정체냐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출처=셔터스톡



美, 英 등 주차위반 처분 이의제기, 형량 판단까지 리걸테크 활용

리걸테크는 법률(legal)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법률적인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등장한 서비스다.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용어이지만,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일상 속 깊숙이 스며든 기술이다. 예컨대 앞서 언급한 주차 위반 딱지를 끊었을 때 처분이 합당한지를 따져보기 위해 미국, 영국인들은 ‘두낫페이(DoNotPay)’라는 리걸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두낫페이는 챗봇 형식의 법률 질의응답 시스템이다. 주차위반 처분이 부당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주차 당시 상황을 챗봇에 입력하면, 위반 여부를 판단해주는 서비스다. 주차 공간이 충분했는지, 관련 표지판이 있었는지, 안내는 충분했는지 등을 인공지능 변호사가 묻고 관련 법률을 검토해 이의제기할 경우 승산이 있는지를 알려준다. 이의 절차를 진행하고자 한다면, 주차위반 처분에 대한 철회요청서 작성까지 돕는다. 24시간 상담이 가능하고, 답변을 듣기까지 30초 내외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유용하다. 서비스 이용료까지 무료인 두낫페이는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2015년 말, 서비스를 출시한 지 1년 만에 사용자 25만명을 돌파했다. 이 중 16만명의 주차위반 딱지를 철회해 400만 달러의 범칙금을 회수하기도 했다.

두낫페이는 미국 스탠퍼드 대학생 조슈아 브라우더가 19세 때 만들었다. 당시 주차위반 고지서를 받은 그가 변호사를 통해 이의제기하다가, 막대한 비용과 시간에 부딪혀 포기한 경험을 바탕으로 법률서비스의 비효율을 개선하고자 두낫페이를 고안했다.


두낫페이 서비스 이미지. 출처=두낫페이 홈페이지



미국에서는 리걸테크 기술이 재판에 관여하는 것이 합당한가를 두고 나온 판례까지 있다. 이른바 ‘루미스 사건’이다. 2013년 미국 위스콘신주에 살던 에릭 루미스는 총격 사건에 쓰인 차량을 몰다가 경찰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한 혐의로 6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때 판사가 형량을 판단할 때, 리걸테크 스타트업 노스포인트가 만든 ‘컴퍼스’라는 형량 판단기의 도움을 받았다. 컴퍼스는 범죄자 성향과 생활 방식, 범죄 전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재범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루미스는 인공지능인 컴퍼스가 어떤 알고리즘으로 형량을 제시했는지 확인할 수 없다며 판결에 대한 항소를 제기했지만, 2017년 위스콘신주 법원은 항소를 기각했다. 컴퍼스가 형량을 판단할 때 도움을 줬을 뿐, 최종 판결은 전문 법조인인 판사가 했다고 본 것이다.

이웃 나라인 중국도 리걸테크 기술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충칭에 위치한 서남정법대에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법학원을 설립해 전문 인재를 길러내는가 하면, 중국 하이난 고등인민법원 형사 법정은 AI 양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출처=셔터스톡



개화기 맞은 韓 리걸테크…변호사들 반발에 ‘멈칫’

한국 리걸테크 시장은 미국과 영국에 비하면 기술적으로 부족하지만, 초기 형성기를 지나 개화기를 맞이하고 있다.

2019년에는 인간과 AI의 역사적인 첫 법률 자문 대결, ‘알파로 경진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인간 변호사 2인 1조로 구성된 ‘변호사팀’과 AI의 자문을 받는 변호사로 구성된 ‘혼합팀’이 각각 최저임금법이나 기간제법, 미성년자나 파견근로자 보호법 등 근로계약과 관련된 법률 자문을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지를 두고 대결을 펼쳤다.

각 팀의 답안지를 전달받은 심사위원단 3인은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방식으로 심사했다. 그 결과 AI의 판례 추천과 법률 검색 서비스를 활용한 혼합팀이 압승을 거뒀다.

2020년에는 20여개 리걸테크 스타트업이 모여 이익단체인 ‘리걸테크산업협의회'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이들은 법률서비스의 접근성과 생산성 혁신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는 데 합의하고, 기술발전과 관련 제도 개선을 도모하기로 했다.

이처럼 개화기를 맞은 국내 리걸테크 기업들은 판례와 관련 법령을 빠르게 찾아주는 지능형 검색기와 근로계약서의 위험 조항을 찾아주는 분석기(인텔리콘연구소), 고소장을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리걸테크 서비스(리걸인사이트), 온라인 변호사 광고 플랫폼 (로앤컴퍼니) 등을 선보이며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텔리콘연구소의 근로계약서 위험 조항 분석기가 취약점과 관련 법령, 판례를 제시하는 모습. 출처=인텔리콘연구소



이들 기업은 기존 변호사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기술이 아닌 변호사의 도우미로 리걸테크 기술을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변호사가 7일이 걸려 찾아야 할 방대한 양의 법률 문서와 판례 등을 인공지능을 활용해 7초 만에 찾도록 도와 법조인의 빠른 판단을 돕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변호사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했고, 일자리의 위협을 느낀 법조인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다. 대표적인 사례로 온라인 변호사 광고 서비스 '로톡'을 운영하는 로앤컴퍼니와 법조계의 갈등을 꼽을 수 있다.


로톡의 서비스 광고 이미지. 출처=로앤컴퍼니 홈페이지



로앤컴퍼니가 2014년 출시한 로톡 서비스는 일정 광고료를 변호사들에게 받은 후 법률 자문을 구하는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변호사 목록과 광고를 실어주는 변호사 광고 플랫폼이다.

직역수호변호사단을 비롯한 변호사단체는 해당 서비스가 광고료를 지불한 변호사를 소개, 알선하고 변호사가 아님에도 법률사무를 취급했기 때문에 변호사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판례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도 침해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변호사법 위반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로앤컴퍼니를 고발했다.

해당 사건은 지난해 초 서울 서초경찰서에서 서울경찰청 반부패, 공공범죄수사대로 이첩된 후 같은 해 12월 불송치 결정이 났지만, 고발단체는 지난 2월 경찰의 결정에 이의신청했다. 이후 지난 11일, 검찰은 로톡이 광고료 외 법률상담과 관련한 수임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변호사를 소개, 알선한다고 볼 수 없다며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판례를 수집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처분으로 긴 시간 끌어온 리걸테크 업계와 법조계의 갈등이 마무리되리라는 기대감이 나오지만, 직역수호변호사단 소속 서울지방변호사회는 유감을 표시하며 반발해 갈등의 불씨를 남겼다.

저 멀리 앞서가는 리걸테크 선진국…”골든타임 놓칠까 우려”

리걸테크 업계에서는 이미 저 멀리 앞서가는 리걸테크 선진국을 따라잡을 골든타임을 놓칠까 우려한다. 한시가 급한데 각종 규제와 갈등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임영익 인텔리콘연구소 대표 변호사는 “리걸테크 도입이 비교적 늦었던 일본이나 동남아의 경우, 변호사들이 적극 참여하면서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는 등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며 “국내의 경우 최근 리걸테크 스타트업이 많이 생겨났지만, 변호사업계의 반발과 규제 문제로 성장이 정체되면서 국제적 경쟁력과 미래 발전 기회를 계속 놓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임 대표는 이어 "미국도 오래전 리걸테크가 막 탄생할 무렵, 변호사 단체에서 고소, 고발을 연발했고 일부 변호사들은 새로운 산업 탄생에 매우 적대적이었다”며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런 규제와 반발이 리걸테크 산업을 성장시킨 원동력이 됐다. 고소, 고발 이슈가 언론에 계속 노출되면서 모든 시민과 변호사가 리걸테크의 유익함에 눈을 떴기 때문인데 우리나라에서도 같은 현상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글 / 김동진 (kdj@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일상 속에 들어온 버추얼휴먼, "대체 어디에 쓸 수 있는 거야?"▶ [IT신상공개] 나를 위한 AI 사진사가 담겼다, 캐논 파워샷 픽▶ 아키핀 "영어 교육 재밌어야 한다, 방법은 체험형 게임"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340 아는 만큼 보이는 협업 툴··· 업무 효율은 물론 조직 문화 개선에도 '특효'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50 0
1339 [스타트업人] 손 닿는 곳 모두 푸르게, 퍼밋 스마트팜 유지 보수 관리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88 0
1338 휘발윳값 2100원대 돌파…경제성에 방점 찍은 '초소형전기차' 주목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994 1
1337 인텔, 첫 데스크톱 그래픽 카드 공개··· 'GPU 시장 달굴까'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3790 7
1336 [리뷰] 에코백스 vs 로보락, 최고사양 로봇청소기, 얼마나 좋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09 0
1335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5 0
1334 [리뷰] '호라이즌' 시리즈 팬을 위한 게임 저장고, 씨게이트 게임 드라이브 호라이즌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92 0
1333 [IT신상공개] VR게임은 움직이면서 즐겨야 한다, 피코의 네오3 링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3 0
1332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동차 회사가 인공위성을 쏘고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88 0
1331 렌털 서비스에 정부 지원까지 시작··· 확산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23 1
1330 스마트 상점 기술, 소상공인 구인·운영난 해결사로 발돋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398 1
1329 "디지털플랫폼이 야기하는 갈등 합리적 규제로 풀어야...이 시대에 말이나 마차 탈 수는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06 0
1328 레드햇 “RHEL9로 어디서나 일관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가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16 0
1327 "현장근로자 업무에도 디지털전환 필요"... 팀뷰어 산업용 AR로 국내 시장 진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33 0
1326 "넷플릭스 하루에 600원"…구독 서비스 '역린' 건드렸다 [4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5365 12
1325 친환경 비즈니스, 정부에서 스타트업까지 ‘공감’ 넘어 ‘공생’의 단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93 0
132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재인알앤피 “한약·의학 장점 모은 천연물 항암제, 효능으로 증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78 0
1323 [IT강의실] 저시력자, 노안, 색맹을 위한 '윈도우 화면 모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33 0
1322 중고급 개발자 품귀현상.. 슈퍼코더 "원격근무하는 해외개발자로 해결하세요"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3537 1
1321 '5nm 공정으로 주도권 회복한다'··· AMD, 젠4 아키텍처 세부 정보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49 0
1320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3부 - 노출도를 높이는 태그 200% 활용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059 1
1319 정부 “2025년까지 드론 7대 강국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57 0
1318 [IT애정남] iOS 베타 버전, 설치해도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37 0
1317 15일 개막 P&I 2022, 광학 기기 전시에서 사진 문화 행사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99 0
1316 [리뷰] 집 전등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 텐플 스마트 벽부형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17 0
1315 '게임 구독 생태계' 완성한 MS, 무심한 표현 하나에 담긴 의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27 0
1314 前 정부혁신전략추진단 전충훈 과장,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87 0
1313 [주간투자동향] 콘랩컴퍼니,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86 0
1312 반도체 품귀에 화물연대 파업…업친 데 덮친 자동차, 가전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90 0
1311 구글이 클라우드로 '100조' 자리 원주율 계산한 방법은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852 10
1310 초고령사회 임박 韓…”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으로 경제 활력 높여야” [4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3881 1
1309 [스타트업人] “미술품 가치를 ‘데이터’로 분석합니다” 테사 에셋의 아트 애널리스트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13 0
1308 [리뷰] 크리에이터 눈높이에 맞춘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X14 OLE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82 0
1307 임박한 휴가철…협업툴 ‘노션’으로 여행 계획 세워볼까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424 1
1306 [IT하는법] '세로 본능' 일깨우는 피벗 기능…단축키로 빠르게 화면 회전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23 0
1305 콘진원 "콘텐츠 스텝업으로 K콘텐츠 세계화를 위한 디지털 역량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01 0
1304 LG 클로이 서빙로봇 도입한 화성휴게소, “휴게소 명물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32 0
1303 [스케일업] 부엔까미노 (3) 팀장클럽 “소비자 곁에서 재미와 정보 주는 금융 도우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87 0
1302 현대重 1호 사내벤처가 올린 성과…자율운항 대양횡단 성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24 0
1301 실제 사람 똑 닮은 ‘디지털 휴먼’, 폰에 넣고 다닐 날 올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096 2
1300 [르포] SFA "무(無)정지·무인화 '스마트팩토리 기술' 로 사업 영역 확장"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48 0
1299 [리뷰] 극한의 경량화에 고해상력까지 달성, 소니 FE 24-70mm F2.8 GM I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89 0
1298 [모빌리티 인사이트] 주유 혹은 충전?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세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94 0
1297 블루프리즘 "RPA 전사적 확산, 표준화 없으면 힘들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93 0
1296 [홍기훈의 ESG 금융] 재무분석의 대가, 다모다란 교수가 지적한 ESG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95 0
1295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1부 - 환갑이 훌쩍 넘은 인공지능의 어제와 오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1766 7
1294 [리뷰] 넷기어 MS108EUP, 2.5G 대역폭에 60W 전원까지 포트 하나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93 0
1293 [IT애정남] 윈도에는 '유니버설 컨트롤' 같은 기능이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93 0
1292 경실련 "尹 정부의 ICT 정책, 공정한 규제와 지원이 가장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59 0
1291 [앱으리띵] 파티룸부터 사무실까지…공간 공유하는 플랫폼 '스페이스 클라우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8 8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