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고] 게임 보안 관점에서의 AI와 블록체인의 역할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1.24 10:19:05
조회 713 추천 1 댓글 0
게임은 이제 단순 엔터테인먼트 목적뿐만 아니라 많은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다. 게임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메시지를 주고받고, 아이템 등을 결제하여 선물할 수도 있다. 그와 더불어 보안 취약점들이 나타나고, 해킹이나 피싱 등의 피해를 입는 사용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게임을 할 때 보안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오늘 우리는 게임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기의 종류와, 그에 대응하기 위한 VPN과 AI, 블록체인 등의 기술에 대해서도 다루어 봤다. 

온라인 게임 사기에는 계정 해킹이나 신용 카드 도용, 비인가 소프트웨어 사용 등이 있다.

계정 해킹은 게임 계정을 해킹하여 악의적인 공격을 하는 것에 사용하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계정 정보를 팔아 버리는 경우다. 계정이 이미 팔리고 난 후에 그 계정을 다시 되찾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게임 계정 안에 있던 아이템 등도 이미 없어진 경우가 많다.

해커는 신용 카드 정보를 훔쳐서 게임 아이템, 게임 머니 등을 구매하는 것에 사용한다. 역시 게임 내에 구매한 아이템 등을 제 3자에게 되팔아 돈을 남긴다. 사용자의 게임 머니뿐만 아니라 실제 금전적인 손해를 입히는 것이다. 


/unsplash


비인가 소프트웨어 사용도 그렇다. 게임 플레이시 봇팅(botting), 파밍(farming)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게임을 이기려고 하는 사용자들이 있다. 이는 정직하게 플레이하는 다른 유저들을 기만하는 행위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불법적으로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당연히 보안 취약점도 가지고 있다. 이는 엄연한 불법 행위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될 수 있다. 

게임 관련 악성 광고도 있다. SNS 광고를 통해 게임 머니, 게임 핵 등을 준다고 사람들을 속여서 악성 광고를 클릭하게 만든다. 악성 광고 링크를 클릭하면 멀웨어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설치되어 개인 정보 침해, 해킹 등의 피해를 입는다. 

온라인 게임을 할 때에 위의 사례와 같이 많은 보안 관련 문제들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게임을 중단한다면, 삶의 큰 즐거움을 잃어버릴 수 있다. 게임 시에 VP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암호화하면, 해킹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악의적인 게이머들은 종종 게임에서 이기기 위하여 DDoS 공격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VPN을 사용하는 중이라면, 다른 VPN 서버로 변경하여 DDoS 공격을 피해갈 수 있다. ISP의 대역폭 스로틀링도 피할 수 있어서 속도 제한 없이 쾌적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AI, 인공 지능은 사용자의 패턴을 학습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활동을 잡아낸다. 인공 지능이 사용자의 로그인 위치, 로그인 빈도, 게임 아이템 구매 패턴, 게임 플레이 스타일 등등 많은 패턴을 분석한다. 그러다가 평소와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 진 행위에 대해서 미리 경고하고 차단을 할 수 있다. 

인공 지능은 아래와 같은 활동을 의심스럽게 생각하여 제재한다. 

한국에서 늘 로그인 하던 사용자가 갑자기 미국에서 로그인을 시도했다면 이는 일반적이지 않은 행동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게임 인공 지능이 로그인을 차단하고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혹시나 진짜 사용자가 아닌 해커가 로그인 시도를 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패스워드를 몇 번 틀리기까지 했다면 해킹 시도로 간주할 수 있다. 


/unsplash


또 사용자가 갑자기 너무 많은 금액의 아이템을 구매하는 경우도 인공 지능의 의심을 살 수 있다. 평소에 필요한 만큼만 아이템을 구매했던 사용자가 갑자기 몇 백만 원 치의 아이템을 구매했다면 이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행위가 아닐 것이다. 인공 지능이 이 경우 결제를 차단할 수 있다. 

어떤 사용자는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서 비인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는 한다. 이 또한 게임 보안을 해치는 엄연한 게임 사기에 해당한다. 인공 지능이 사용자의 평소 플레이 패턴을 학습했다면, 사용자 스스로 플레이를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아낼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아닌 봇이 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그 행위를 차단할 수 있다. 


사실 게임 내에서 트랜잭션이 너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을 게임 회사 직원이 감시하고 관리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1차 모니터링을 시키는 것이다. 사용자의 분석된 패턴에서 벗어난 행동을 미리 차단하여 게임 환경을 사기로 부터 지킬 수 있다. 물론 인공 지능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오탐지를 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의 과제는 인공 지능을 인간의 인지 능력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서 불필요한 오류를 줄이는 것이다. 

블록체인을 도입하면 게임 보안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블록체인은 조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무결성을 높이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게이밍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안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현재 '블록체인 기반 게임' 이라고 불리는 게임들은 대부분 NFT를 이용한 게임을 말한다. NFT를 이용하여 게임 아이템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면, 블록체인에 기록이 저장되기 때문에 해커가 조작을 할 수 없다. 게임 회사의 서버 오류, 해킹 등으로 사용자가 돈을 주고 구매한 아이템이 없어지는 일 따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앞서 말한 온라인 게임 계정 해킹을 당해도, 블록체인에 아이템이 저장되어 있다면 아이템 원본은 영원히 나의 것이다. 그야말로 확실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의 특성 상 관련된 모든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 모든 거래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강력한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이오스나이츠 거래소 /게임와이 DB


하지만 분명히 블록체인 기반 게임의 한계점도 있다. 블록체인은 대용량의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없다. 그래서 게임 사용자가 늘어나고 스케일이 확장될수록 게임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그래서 속도가 생명인 게임 서비스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없다. 강력한 보안이 필요한 부분만 블록체인에 저장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현재로서는 게임 아이템 위주로 NFT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까지 한국은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규제하는 국가에 속해 있다. 따라서 국내 게임 업체들이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도 국내 사용자 대상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노리는 실정이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에 결합할 때에는 여러 가지 상황을 잘 고려하여 개발해야 할 것이다. 

AI와 블록체인 기술은 게임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AI로 사용자 패턴을 학습하고,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자산을 저장한다면 웬만한 게임 상의 공격은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고, 리소스를 많이 소모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AI와 블록체인 기술을 게이밍에 적용하려면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 가진 서버가 필요하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게임에 적용하는 것은 한국에서는 아직 제도적인 한계점이 있으므로 정부 차원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 여러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이는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다. 앞으로 인공 지능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해킹 걱정 없이 마음껏 게임을 플레이 하는 시대가 오기를 바란다. 


기고자 Grete Sadd는 PRConsultancy 수석 마케팅 코디네이터로 콘텐츠 마케팅, 전략 커뮤니케이션 및 홍보 분야에서 10년의 경험을 가진 수상 경력의 마케팅 전문가다



▶ [칼럼] 지스타가 보여준 또 다른 게임 산업의 미래 '다양성과 AI'▶ 저작권법 '회색지대'…AI 이미지, 게임 제작ㆍ판매해도 될까? ▶ 엔씨AI, 얼마나 똑똑해졌나?▶ 인공지능(AI)으로 '핵' 잡겠다...크래프톤, 연구개발비 10배 늘렸다!▶ 게이머라면 알아야 할 게임 보안 위협과 안전 수칙 가이드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1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5892 웹소설에 신작 액션 RPG, 다큐까지...'던파' IP 영역 넓힌다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137 0
5891 [칼럼] 게임위 간담회와 비교해 봐도 부족했던 스튜디오 뿌리의 기자회견 [27]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4680 35
5890 10주년 '서머너즈 워', 일년 내내 이벤트로 꽉 채웠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88 0
5889 '니케'로 탕탕특공대를...2024 미니게임, 스토리 확장↑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146 0
5888 '스튜디오 뿌리' 김상진 총감독이 밝힌 논란의 집게손 장면 제작 과정 [6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2 1871 4
5887 [리뷰] B급 감성 충만한 메 게임 '커스텀 메카 워즈'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93 0
5886 2024년 게임업계에서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부분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92 0
5885 [리뷰] 체험판은 잊자…본편은 재미있다 '창세기전 회색의 잔영'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101 0
5884 이용자들과 직접적인 만남 희망…스튜디오 뿌리의 기자회견에서 나온 내용은? [3]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1 210 1
5883 한국 이용자수 2위 게임 '브롤스타즈' 욱일기 논란 [5]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269 2
5882 시프트업 PS5용 '스텔라 블레이드' 2024년 출시 확정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75 0
5881 "차라리 섭종을 해라" '소울워커' 이관 발표에 이용자들 뿔났다 [2]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314 0
5880 2024년 K 게임, 거친 액션 장르에 도전하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40 0
5879 노래 제목을 게임 명으로 쓸 수 있을까? 저작권 사례를 알아보니... [5]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4970 5
5878 '쿠키런 킹덤' 중국 매출 8위 달성에도 주가 답보 이유는?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37 0
5877 컴투스 그룹, 오케스트라 공연 및 친환경 팝업북으로  ESG 경영 지속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98 0
5876 [결산23] '스타필드' 스팀 최고의 게임 선정 논란...한국 게임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15 0
5875 "돌았네 돌았어" 이판사판 돌자판...게임 광고 영상이 조회수 기본 '70만' [17]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906 3
5874 비공개 영상 삭제 확정…넥슨, 혐오 표현 작업물들에 대한 공지 발표 [6]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183 23
5873 미시마 가문에서 30년을 보내면 초풍신권을 쓴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30 0
5872 [기자수첩] '창세기전' 화려한 부활을 꿈꾼다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68 0
5871 진짜 대상혁을 봐버렸어…T1, 30일 '2023 T1CON' 개최 [26]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9 1324 14
5870 '창세기전M' 예약 100만 돌파...'창세기전3' IP게임 2025년 출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35 0
5869 글로벌 톱10 진입 '더 파이널스', 기발한 '매드무비' 성행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22 0
5868 [공략] 초원 동굴 맵 완성...'레고 포트나이트'가 즐거워질 꿀팁 방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15 0
5867 1천만 예약 '쿠키런' 中 출시 첫날 애플 인기 2위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37 1
5866 게임업계, 연말 기부 활동...아동복지와 게임인재 챙긴다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92 0
5865 이화여대가 '배그' 대회 1위?...전국에서 치킨 가장 많이 먹은 학교는? [22]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703 3
5864 유튜브, 2023년 국내 인기 동영상 및 크리에이터 결산 발표 [6]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225 0
5863 [전망24] 국내를 너머 세계에서 기대할 2024년 K 게임 기대작 [13]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023 0
5862 신규 플랫폼 '치지직', 2월까지 목표는 60프레임 송출과 스트리머 확장 [15]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1507 1
5861 엔씨 '티엘(TL)' PC방 순위 톱10 진입 '눈앞' [3]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301 0
5860 또 당신들입니까 T1…'페이커' 이상혁, 연말 맞이해 3,000만 원 기부 [3]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251 0
5859 [결산23] 가장 주목 받은 이슈 게임 인물 7인방 [26]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4276 20
5858 PC게임 IP 모바일 게임 속속 출시...창세기전M,그라나도M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32 0
5857 틱톡표 MMORPG "던파 같지만 해볼만한 RPG" [28]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6275 3
5856 P의 거짓 100만장, 스컬 200만장...네오위즈 글로벌 성과 UP↑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49 1
5855 [기고] 2023년 급격한 게임 산업 침체인가, 아니면 합리적인 시장 조정인가?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31 0
5854 [결산23] 2023년 ESG등급 1위 한국 게임사는 어디?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00 0
5853 [결산23] 기습 숭배에 각종 신기록 등장…정말 다사다난한 2023년 국내 게임업계 이슈 1 [10]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2195 4
5852 [리뷰] '폐심' 큐리에이트의 탈출 게임 '센티멘탈 데스루프' [18]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3325 10
5851 '후뢰시맨'으로 재미본 컴투스플랫폼, '붕어빵'도 판다 [1]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20 0
5850 호요버스, '원신' 청년도약 공모전 우수작 오프라인 전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7 113 0
5849 스튜디오 뿌리, 29일 집게손가락 해명을 위한 기자회견 진행 [143]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8520 2
5848 '프리스타일', 中 상표권 소송에서 승소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205 1
5847 최강 길드를 가린다...'라그 오리진', 오딘컵 개최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112 0
5846 [기획] '돌산' 떡상 중↑...'배그' 론도 맵에서는 이런 것도 가능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112 0
5845 '오딘' 업데이트 통했다... '리니지' 누르고 매출 1위 등극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147 0
5844 배틀그라운드 론도 '새장' 및 '폭죽' 위치가 연관 검색어 1위인 이유는?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113 0
5843 [리뷰] 과거는 잊어라…흠잡을 곳 없는 대작 게임으로 재탄생한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 [72] 게임와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6 5340 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