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순정남] 닌텐도가 '극대노'했던 사건 TOP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25 18:43:17
조회 4274 추천 7 댓글 13
※ [순정남]은 매주 이색적인 테마를 정하고, 이에 맞는 게임이나 캐릭터, 사건 등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게임메카=류종화 기자] 닌텐도는 전세계 게임사 중에서도 손에 꼽는 특허와 상표 부자다. 특허의 경우 전세계 컨트롤러 표준으로 자리잡은 십자키, 점프 시 화면도 같이 움직이고 점프 버튼 누르는 정도에 따라 점프의 높이가 달라지는 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다. 상표야 말할 것도 없이, 슈퍼 마리오, 젤다, 포켓몬, 커비, 스플래툰, 동물의 숲 등 말하면 입이 아플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닌텐도는 타사를 상대로 저작권이나 상표권 분쟁을 많이 하지 않는데,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해 직접적인 침해가 아니라면 딱히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지 않는다는 방침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간혹 선을 넘는 사례들이 있다. 최근 화제가 되는 팰월드 얘기가 아니라, 그보다 더 직접적이고 노골적으로 닌텐도의 저작권이나 상표권을 침해하고 오용한 건들이다. 평소 순둥순둥하던 사람이 화나면 무섭듯, 잠잠하던 닌텐도가 '극대노'해 법적 소송까지 가져간 경우들을 한데 모아 보았다. 과연 700만 장 판매고를 넘긴 팰월드가 추후 이 목록에 낄 지 역시 관심사다.

TOP 5. 마리오 배틀로얄

배틀그라운드를 시점으로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에이펙스 레전드 등이 속속 출시되며 전세계 게임계에 배틀로얄 열풍이 불었던 2019년, 독특한 게임이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1985년작 '슈퍼 마리오브라더스'를 기반으로 최대 75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한 스테이지를 진행하며 가장 먼저 골인하는 1인을 가리는 '슈퍼마리오 배틀로얄'이었다. 이 게임은 닌텐도 정식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않은 채 만들어진 팬 게임이었는데, 인터넷 방송에서 화제를 모으기 시작해 순식간에 인기작으로 자리잡았다.

그러자 닌텐도가 나섰다. 닌텐도는 아무리 팬 게임이라도 자사 게임 소스와 시스템, 캐릭터를 그대로 가져다 만드는 경우 자사 IP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기조를 지니고 있는데, 이 게임은 아예 게임 자체를 그대로 가져다 배틀로얄 요소를 삽입했기에 문제가 됐다. 결국 이 게임은 캐릭터와 몬스터, 블록, 아이템 등 이미지 리소스를 전면 수정하는 작업을 거치고 게임명도 'DCMA 로얄'이라고 바꿨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닌텐도의 허가를 받지 못하고 결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경고 단계에서 서비스가 종료되면서 법적 분쟁까지 가진 않았지만, 닌텐도가 지키려 드는 '선'을 보여주는 일화로 손꼽힌다.

닌텐도로부터 제재를 받은 슈퍼마리오 배틀로얄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닌텐도로부터 제재를 받은 슈퍼마리오 배틀로얄 (사진: 게임메카 촬영)

TOP 4. 중국 짝퉁 포켓몬

2015년, 중국에서 심상치 않은 모바일게임이 출시됐다. 이른바 '포켓몬스터 리메이크(현지명 구대요괴복각)'로, 아이콘에는 피카츄가 박혀 있고 메인 이미지에는 지우와 거북왕, 리자몽, 뮤츠, 라이츄 등 포켓몬 캐릭터들이 잔뜩 그려져 있었다. 게임사가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난홍 컬처 그룹인지라 얼핏 정식 라이선스를 얻어 개발된 게임 같기도 했다. 이 게임은 출시 1년 만에 3억 위안(한화 약 589억 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이 게임은 닌텐도와 일말의 계약이나 상의도 없이 출시된 명백한 짝퉁 게임이었다. 포켓몬스터 관련 지적재산권을 총괄 관리하는 포켓몬컴퍼니가 직접 행동에 나섰고, 닌텐도가 힘을 보탰다. 2022년 9월, 포켓몬컴퍼니는 이들 중국 회사들에 5억 위안(한화 약 980억 원)의 저작권 침해 소송을 냈고, 서비스 즉각 중단과 사과 등을 요청했다. 이 사건은 2024년 현재까지도 최종 판결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포켓몬스터 리메이크' 라는 이름으로 서비스했던 게임 (사진출처: 항저우 네트워크 주식회사)
🔼 '포켓몬스터 리메이크' 라는 이름으로 서비스했던 게임 (사진출처: 항저우 네트워크 주식회사)

TOP 3. 티어링 사가

2001년 출시된 티어링 사가 유토나 영웅전기.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아버지라 불렸던 카가 쇼조가 독립해 만든 작품으로, 얼핏 보면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와 상당히 흡사한 일반적인 RPG다. 아무래도 제작자가 파이어 엠블렘 원작자다 보니 게임성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문제는 이 게임의 캐치프레이즈 중 하나가 "진짜 파이어 엠블렘의 계보를 잇는 작품"이라는 점이었다. 심지어 카가 쇼조 인터뷰에 따르면 초기 제목은 파이어 엠블렘을 연상시키는 '엠블렘 사가' 였고, 파이어 엠블렘 지명과 캐릭터 일부를 등장시킬 계획까지도 세워 놨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연하겠지만, 이 게임을 만든 엔터브레인과 닌텐도는 아무 관계도 없었다. 닌텐도 입장에서는 멀쩡히 살아 있는 파이어 엠블렘 IP의 유명세와 정통성을 뺏어가려는 시도로 보였고, 결국 부정경쟁방지법과 저작권 침해라며 엔터브레인을 상대로 소송을 걸었다. 소송 결과 1심에서는 닌텐도 측 주장이 모두 기각당했지만 항소까지 하면서 7,000만엔의 배상금을 받았으며, 재판이 길어지며 티어링 사가의 계보를 끊고 베르위크 사가라는 후속작으로 넘어가게 하는 등 나름 효과를 거뒀다. 그때 이후 업계에서는 계보를 잇는다는 표현 대신 '정신적 후속작'이라는 두루뭉실한 표현이 대세가 됐다고...

티어링 사가 유토나 영웅전기 (사진출처: 아마존 재팬)
🔼 티어링 사가 유토나 영웅전기 (사진출처: 아마존 재팬)

TOP 2. 마리카

지난 2017년, 일본 도쿄에서 독특한 관광상품이 선보여졌다. 마리오카트 캐릭터 분장을 하고 카트에 탑승한 후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이른바 '현실판 마리오카트', 정식명 '마리카'다. 해당 사업을 처음으로 전개한 카트 렌탈 사업체 마리모빌리티는 X-카트가 통상적인 운전면허만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오토바이와 달리 헬멧 착용도 의무화 되지 않은 점에 착안. 마리오카트를 현실에서 즐긴다는 콘셉트로 해당 사업을 추진해 도쿄를 시작으로 오사카 등으로 확대했다.

그러나, 해당 사업은 시작부터 논란에 휩싸였다. 전용 경기장도 아니고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도로를 주행하기에 사고 위험성이 높은데다 실제로 초기 두 달 동안 13건의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슈퍼마리오 복장을 하고 마리카 로고가 박힌 카트를 탄 관광객이 행인이라도 치어 숨지게 만들었을 경우 그 화살이 닌텐도와 마리오카트에도 돌아올 수 있기에, 닌텐도는 가만 있지 않았다. 자사 공식 라이선스를 딴 사업도 아닌데다,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닌텐도 캐릭터와 마리오카트 IP를 사용해 가치를 훼손시킨다는 판단이었다. 결국 닌텐도는 마리모빌리티를 대상으로 소송을 걸었고, 2심에 걸쳐 모두 승소해 손해배상과 상표 무효 처분을 얻어냈다.

일본 공도에서 마리오 복장을 하고 카트 레이싱을 벌였던 '마리카' (사진출처: japan-guide.com)
🔼 일본 공도에서 마리오 복장을 하고 카트 레이싱을 벌였던 '마리카' (사진출처: japan-guide.com)

TOP 1.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앞서 얘기했듯 닌텐도는 굉장히 많은 수의 기술 특허를 가지고 있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와 젤다의 전설, 그리고 그 훨씬 이전부터 차근차근 쌓아온 특허들은 현대 게이머들이 봤을 때 '당연한' 부분들이기도 하다. 이런 특허들은 닌텐도가 처음 개발하거나 정립해 사용권을 주장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라이선스 계약 없이 타 회사에서 이를 사용해 게임을 만들 수 있도록 별다른 제약을 걸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닌텐도가 극대노 한 사건이 있다. 바로 코로플의 '하얀고양이 프로젝트'다. 2013년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해 흥행에 성공한 모바일게임 하얀고양이 프로젝트는 터치스크린 조작 관련해서 몇 가지 특허를 출원했는데, 닌텐도는 그 중 5건(슬라이드 등으로 오브젝트를 조작해 다른 오브젝트에 접근한 후 스크린에서 손을 떼는 등 작업을 취소했을 때 모종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단, 플레이어 캐릭터가 특정 오브젝트에 가려졌을 때 실루엣을 표시하는 수단 등)이 자사의 특허권을 직접적으로 침해했다며 45억엔(한화 약 406억원)손해배상과 게임 서비스 종료를 요구하며 소송을 걸었다.

이번 건에 대해 닌텐도가 이토록 강경하게 대응한 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진 않았다. 다만 앞서 얘기한 대로 닌텐도는 특허를 가지고 있음에도 특허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지 않았는데, 코로플 측에서는 자신들이 소유한 특허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겠다는 식의 인터뷰를 여럿 했다. 따라서 닌텐도가 여태껏 고수해 온 정책을 뒤엎는 것을 용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양사는 3년 넘게 법적 공방을 벌이다, 결국 코로플이 해당 시스템을 폐기하고 2021년 8월 닌텐도에 33억 엔의 합의금을 지불하며 소송 취하로 합의를 봤다.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사진제공: 코로프라)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사진제공: 코로프라)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2172 민트로켓 신작 ‘웨이크러너’ 첫 공개 테스트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51 0
12171 [겜ㅊㅊ] 스팀 평가 '매긍'인 무료 공포게임 5선 [18]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6161 14
12170 '수일배' 진승호 라인게임즈 퇴사, 신작 개발 중단 [7]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959 4
12169 가슴이 웅장해진다, 인슈라오디드 OST 발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531 0
12168 [롤짤] 괴도 표식의 '삼연바'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674 0
12167 크툴루 호러 수사 RPG ‘인격해체’ 한국어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795 0
12166 엘든 링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디버깅 단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4417 0
12165 닐 드럭만, 라오어 파트 3 출시 가능성 시사 [2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2007 2
12164 [포토] 모험가님, 또 뵙네용! 파판14 컬래버 카페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44 0
12163 용과 같이 8, 시리즈 중 가장 빨리 100만 장 돌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30 1
12162 [이구동성] 블자 없는 블자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000 0
12161 페르소나 3 리로드 출시, 스팀 평가 '매우 긍정적'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64 1
12160 종료까지 네 달, 러브라이브 스쿠페스 2 출시 [3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188 21
12159 14일 홍대에 에픽세븐 메이드 카페 열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52 0
12158 ‘팰월드' 모바일 가짜 앱 성행, 주의 요망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498 0
12157 영혼의 힘 사용, 카스 온라인 나베리우스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27 0
12156 서든어택 커스텀 무기, 플리마켓에서 거래 가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58 0
12155 [오늘의 스팀] 주술회전 격투게임, 평가 ‘복합적’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24 0
12154 네이버 치지직, 한 달 만에 월 이용자 130만 달성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131 0
12153 프라시아 전기, 연내 대만·홍콩·마카오 출시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17 0
12152 원나블·귀칼 참전, 파오캐 풍 '점프 어셈블' 곧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318 0
12151 초보들이여, 지금이야말로 '철권 8' 입문할 때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9281 0
12150 메이플랜드, 루디브리엄과 3차 전직 최우선 개발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909 0
12149 배그 e스포츠 일정 공개, 글로벌 시리즈 4회 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59 0
12148 네오위즈 힐링게임 ‘고양이와 스프’ 중국 판호 발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77 0
12147 넵튠 방치형 모바일 RPG ‘우르르 키우기’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69 0
12146 ‘페이커’ 이상혁, LCK 통산 첫 600승 달성 [6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6958 57
12145 스트리머 괴롭힘 대두, 검은사막 운영정책 강화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566 0
12144 [매장탐방] 철권 8보다 잘 나간 용과 같이 8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694 0
12143 소닉·섀도우 하나씩, 제너레이션즈 합본팩 나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655 0
12142 게임위, 4년 간 스팀에 ‘야겜’ 300건 차단 요청했다 [5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4358 26
12141 그라나도 에스파다, 18주년 기념 이벤트 시작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18 0
12140 [오늘의 스팀] 그랑블루 판타지: 리링크, 판매 1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124 0
12139 PC와 PS5로, 언틸 돈 리메이크 올해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97 0
12138 인적쇄신차 사퇴했던 게임위 본부장 복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417 0
12137 스팀 1,200만·Xbox 700만, 팰월드 1,900만 즐겼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1541 1
12136 사일런트 힐: 짧은 메시지, PS5에 무료로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456 0
12135 여의도에 붕괴: 스타레일 페나코니가 열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617 0
12134 장기전에 능하다, 그체 클래식 칼리아 등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39 0
12133 햅틱 피드백 지원, 데이브 PS4·PS5로 나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490 0
12132 돌아온 배달부 샘, 데스 스트랜딩 2 정보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15 0
12131 시프트업 첫 콘솔작, 스텔라 블레이드 4월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2312 0
12130 [순정남] 스타 올드유저 혈압 솟는 줄임말 TOP 5 [16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8865 85
12129 최대 80%, 아크시스템웍스 콘솔 타이틀 할인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823 0
12128 [순위분석] 4위로 풀쩍! 국내도 사로잡은 팰월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329 0
12127 페르소나·파판7 등, 만만치 않은 2월 기대작 13종 [1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896 0
12126 레알타 누아 버전으로, 페스나 리마스터 나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692 0
12125 [오늘의 스팀] 한국어 더빙! 파피 플레이타임 3 호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894 0
12124 근본의 귀환, 페르소나 3 리로드 메타크리틱 89점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489 0
12123 1년 3개월 만, 브라운더스트 스토리 ‘섭종’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78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