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난 저녁에 너무 배고프면 코카콜라제로 마셔

우르크하이 2006.09.09 11:41:55
조회 681 추천 0 댓글 6


보면 아스파탐이 건강에 나쁘다, 뇌종양을 유발할수 있다 뭐 이런말 많지. 근데 내가 아스파탐에 관련된 논문을 종합해본 결과 아스파탐이 사용된 후로 뇌종양이 늘은건 우연의 일치로 밝혀졌고, 아스파탐을 쥐에게 투여한결과 독성이 있었다는 연구는 투여한 아스파탐의 양이 사람으로 치면 콜라 2000캔에 이르기때문에 사실상 무의미하다는 결론이야. 모든지 과하면 안좋은건 인공이든 자연이든 마찬가지야 자연감미료인 설탕이나 소금도 과다하게 섭취하면 사람 죽어. 심지어 물까지도.. 소금없이 과다하게 섭취하면 삼투압이 안맞아서 실신해. 아스파탐은 1g 당 4kcal 이긴 하지만 설탕의 200배의 단맛을 내기때문에 아주 소량만 들어가. 그리고 대부분 대사가 안되고 배설된데. 비만환자와 당뇨병환자가 걱정없이 단맛을 섭취할수 있는 얼마 안되는 감미료야. ------------------------------------------------------------------ 아스파탐에 대한 식품의약품 안정청 연구결과야. 참고해. http://cafe.naver.com/olddevil/6247 - 요약 비글에게 kg당 3gram 단위로 장기간 실험했지만, 아스파탐의 투여로 인한것으로 보이는 유의할만한 부작용이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사람의 경우에는 비글의 몇십배의 몸무게일 뿐더러 mg 단위로 섭취하므로, 사실상 유해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아스파탐에 대한 식품의약품 안전청 연구결과   아스파탐은 in vitro에서 펩신의 작용을 받지 않고, 또한 개의 위액으로 가수분해되지 않았다. [14C-메틸알콜]-아스파탐은 rat의 위 내용물중에서는 탈메틸화되지 않지만, 신선한 rat 혈장에서 탈메틸화되었다. [14C-페닐알라닌]-아스파탐을 암수 rat에 경구투여하면 4시간이내에 약 50%가 흡수되고, 28~30%는 소화관, 특히 대장내에 잔존했다. 혈장중의 방사능 대부분은 단백질, 펩티드, 아미노산에 결합한 것 같았다. 수컷 토끼에 5일 동안 아스파탐을 20㎎/㎏/일 투여 후, [14C-페닐알라닌]-아스파탐을 투여하면 호기중에 CO2로서 2.9~10.4%, 뇨중으로 96시간으로 3.5~6.0%, 분변중에 2.6~5.9% 배설하고, 혈장중 농도는 낮았다. 혈장중의 14C는 재빨리 단백질에 들어가서 3시간으로 모두가 이 분획에 결합해 있었다. 단백질중의 14C표식은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 분획에 보였다. 개, 원숭이에게 14C-아스파탐을 경구투여해도 뇨, 분변중의 배설량은 적고 혈장중의 14C는 고분자 분획중에 보였다.  각 구성 아미노산을 14C로 표식한 아스파탐을 마우스, rat, 개, 원숭이 및 사람에게 경구투여하면, 아스파라긴산 부분의 약 70%는 CO2로서 호기중에, 또 페닐알라닌부분은 15~20%가 CO2로서 호기중에 배설되었다. 아스파라긴산은 TCA 사이클을 통해 CO2로, 페닐알라닌은 체내단백질 및 티로신합성에 이용되는 것이 시사되었다[WHO Fd. Add. Ser. 15, 18~86 (1980].  사람에게 ADI량인 40㎎/㎏을 투여한 경우, 젊은층에서 노년층에 대사물인 페닐알라닌의 혈중농도, CMAX 및 AUC의 값은 높았으나, 분포체적 및 clearance치는 작고 생물학적 반감기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uthrasingam-S., et al. : Age-Aging 25, 217~220 (1996)]. ▣ 독성 ○ 급성독성  마우스, rat에 본 품을 경구투여한 때의 LD50은 모두 5g/㎏ 이상으로 비글개에서도 3g/㎏이상이라는 값을 얻었다[Andress, G., et al. : WHO Food Additive Series 15, 37 (1980)]. 또한 ICR계 마우스, SD계 rat 암수에 대한 LD50도 경구, 피하 및 복강내 투여에서 모두 5g/㎏이상이며, 정맥주사에서는 마찬가지로 750㎎/㎏이상이었다. 비글개 암컷, 수컷의 경구 LD50은 각각 3g/㎏이상이며, 수컷에 정맥주사한 때의 LD50은 100㎎/㎏이상이다[후생성 식품화학과 레포트시리즈 No.26, 첨가물리뷰 그 3, LD50 p 24(1982)]. 수용액중에서 생성되는 디케토피페라진(DKP)의 급성독성도 아스파탐과 거의 같은 값을 얻고 있다[후생성 식품화학과 레포트시리즈 No.26, 첨가물리뷰 그 3, LD50 p 24 (1982)]. ○ 아급성독성  1군 암수 2마리씩의 비글개에게 아스파탐을 0.5 및 125㎎/㎏/일씩 젤라틴캅셀에 넣어 8주간 투여했는데, 피험물질 유래라 생각되는 이상, 즉 일반상태, 행동, 증상, 안과적 검사, 임상검사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도 보이지 않았다[후생성 식품화학과 레포트시리즈 No.26, 첨가물리뷰 그 3, LD50 p 24 (1982)].  1군 5마리의 암수 비글개 5마리를 이용해 본 품 0, 1, 2, 및 4g/㎏/일을 혼이법으로 106주 동안 투여했다. 시험 기간 중에 관찰과 모든 시험을 했으나, 4g/㎏/일의 투여로 일반상태, 혈액과 주요 기관에 장해를 미친다는 지견은 얻지 못했다. 또한 24주 째의 눈 검사에서 2g/㎏군의 수컷 및 4g/㎏군의 암컷 각 1예에서 백내장을 확인했으나, 이 양동물의 유전적인 장해에 따른 것인 점, 게다가 2, 4 및 26주 째에 4g/㎏군의 일부에 고페닐 케톤뇨를 나타낸 예가 보였으나, 그 외의 8, 14, 52, 78 및 106주의 검사에서는 음성이었던 점에서 아스파탐 투여와는 관련 없다고 판단되었다[후생성 식품화학과 레포트시리즈 No.26, 첨가물리뷰 그 3, LD50 p 24 (1982)].  DKP에 대해 몇 가지 보고가 있다. 1군 10마리의 마우스에 DKP를 0 및 1,000㎎/㎏/일 2주간 복강내에 주사했더니, 사망예는 없고 체중, 사료섭취와 일반상태에 이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호중구(好中球)감소에 따른 용혈중 백혈구수의 감소, 혈중 글루코오스의 유의한 저하와 빌리루빈 및 BUN의 저하가 보였다. 부검에서 정낭 중량이 유의한 증가가 보인 것 외, 병리조직학적으로도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Rao, K. S., et al. : WHO Fd. Add. Ser. (1971)].  1군 암수 5마리의 rat에 DKP를 0 및 1,000㎎/㎏/일 2주간 경구 투여한 바, 제1주 째의 암컷에 체중증가 억제와 식이섭취 감소가 보였으나, 사망예는 없고 일반증상과 뇨검사에서도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용혈중 백혈구비율에서는 호중구(好中球)에 경도의 상승과 임파구의 저하가 보이고, 본 품 투여군에 혈청 빌리루빈 GPT와 BUN의 경도의 저하와 K+의 유의한 감소가 보였다. 부검에 의해 수컷의 심장 중량 저하와 전위선 중량증가가 보였으나, 조직학적으로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Rao, K. S., et al. : WHO Fd. Add. Ser. (1971)].  또한 1군 암수 각 5마리의 rat에 DKP를 0, 1,000, 2,000, 4,000 및 6,000㎎/㎏/일의 비율로 혼이법으로 5주 동안의 투여를 한 바, 사망예는 없고 피험물질 투여에서 유래하는 용량 의존적인 체중과 사료 섭취량의 변화는 없었으나, 최고 용량군에서는 시험종료시에 체중과 사료섭취에 감소가 보이고, 암컷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상태와 혈액의 모든 파라메타에서도 이상은 없고 부검시에도 1,000㎎/㎏이상 수컷의 심장 중량 저하이외는 DKP 투여에 따른 용량의존성의 이상은 보이지 않고, 그 외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도 이상 없었다[Rao, K. S., et al. : WHO Fd. Add. Ser. (1971)]. ○ 만성독성  아스파탐을 1군 68마리의 암수 Slc Wistar rat에 0, 1, 2 및 4g/㎏씩 및 아스파탐 + DKP(3:1) 혼합물 4g/㎏/일을 rat에 혼이법으로 104주 동안 투여하고, 따로 1군 10마리의 rat을 마찬가지로 처치하여 26주 동안 투여하고, 또 1군 16마리씩의 rat에 52주 동안 투여하고 각각의 종말기에 부검했다. 피험물질 투여에 유래하는 사망예는 보이지 않고, 아스파탐 2 및 4g/㎏군과 혼합물 4g/㎏ 투여군의 수컷에서 용량에 상관한 체중억제가 보이며, 암컷에서는 20주 이후에 피험물질 투여군의 체중증가는 대조보다도 떨어지는 경향이 보이며, 이 변화는 섭취량 저하와 상관하며, 체중당 사료섭취는 전군 모두 대조보다 낮았다. 각 기간의 검사에서 뇨 pH와 뇨 비중의 저하가 2g/㎏이상의 투여군에서 많이 보이며, 또 같은 군에서 용량의존성의 뇨중 Ca 증가도 보였다. 혈구 변화는 보이지 않았는데,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4g/㎏군에서 52 및 104주에서 혈청콜레스테롤저하를 확인했다. 2g이상의 투여군에서는 26 및 54주 후에 췌장의 대 체중비 중량의 증가를 나타내는 암수가 보이고 104주에서는 신우(腎盂)에 국한성 석회 침착이 보였다[Ishii, H., et al. : Toxicol. 21, 91 (1981)].  DKP에 대해서는 rat 1군 암수 각 6마리(대조군에서는 각각 12마리)씩으로 하고, DKP를 0, 750, 1,500 및 3,000㎎/㎏씩 혼이법으로 115주 동안 주었더니 사망률 등에 각 군의 차이는 없었지만, 용량의존성의 체중증가 억제가 보이고, 최고 용량군 수컷에서는 섭취증가가 제2년째에 보였다. 고용량군에서 혈청콜레스테롤이 계속된 것 외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는 이상은 없고, 뇨검사에서는 동군 암컷에 pH의 저하가 눈에 띄었다. 부검에서 중, 고용량군의 자궁 폴리마가 증가를 나타냈다[Rao, K. S., et al. : WHO Fd. Add. Ser. (1981)].  마찬가지로 마우스(1군 암컷, 수컷 36마리씩)에 DKP를 0, 250, 500 및 1,000㎎/㎏/일로 혼이법으로 110주 동안 투여했다(대조군은 72마리/군). 일반상태, 혈액검사 등에서 DKP 유래의 이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부검시에 중, 고용량군 암컷의 갑상선중량 증가가 분명했으나,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종양발생을 뒷받침할 지견은 얻을 수 없었다.  JECFA(Joint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에서는 rat에서의 만성시험으로부터 사람의 ADI를 40㎎/㎏으로 하고 있다[WHO Fd. Add. Ser. 15, 18 (1980)]. ○ 생식장해  CD rat 1군 수컷 12마리, 암컷 24마리에 9주간에 걸쳐 아스파탐을 0, 2 및 4g/㎏/일이 되도록 혼이법으로 투여하고 생후 90~100일에 달한 단계에서 수컷 1 : 암컷 2마리의 비율로 교배하고 F1A 새끼를 얻고, 다시 생후 21일에 이 F1A에서 각 군 수컷 10마리, 암컷 20마리를 선택하여 아스파탐을 9주간 투여하고 교배하여 F2A새끼를 얻었는데, F1A 및 F2A 새끼의 이유기의 체중증가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생식능, 임신유지, 분만과 포유에서 2세대에 걸쳐 특별히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Reno, F. E. : Hazelton Lab. 보고 WHO Fd. Add. Ser. (1971)].  또한 CD rat 수컷 12마리에 아스파탐을 교배전 64일 투여하고, 암컷 36마리에게 마찬가지로 14일 투여하고 각각 1:3의 비율로 교배하고, 암컷에는 그 후 임신, 수유기에 걸쳐 아스파탐을 투여했다. 투여량은 0, 2 및 4g/kg/일로 혼이법으로 따랐다. 수컷의 체중증가는 양 시험군 모두 대조보다 약간 뒤떨어지고, 특히 투여 40일 정도는 섭취량도 적었다. 암컷에서는 최고 용량군에서 시험기간중 때때로 체중저하가 보였으나, 수유기에는 사료섭취량은 증가를 나타내며 수유후반기의 아스파탐섭취량은 5.9g/㎏/일이나 달했다. 임신의 성립, 유지에 이상은 보이지 않고, 13일째의 부검에서 뱃속새끼 사망 그 외의 변화와 신생새끼의 발육과 분화 및 생식능(F2 세대)에도 아스파탐투여에 의한 장해는 볼 수 없었다[Schroeder, R. E., et al. : (1972), WHO Fd. Add. Ser. (1981)].  역시 CD 임신 rat 1군 23~26마리에 임신 제 6~15일에 걸쳐, 본 품은 0, 2 및 4g/㎏/일 투여하고, 21일째에 부검했는데 뱃속새끼의 최기형성 작용은 볼 수 없었다[Schroeder, R. E., McConnell, R. G. : WHO Fd. Add. Ser. (1970)].  1군 24마리의 임신 CD rat에 본 품을 혼이법으로 0, 2.5 및 4.4g/㎏/일을 임신 제14~21일 동안, 역시 분만에서 생후 21일까지의 수유기에 걸쳐 투여했더니, 고용량군의 모체 체중 증가는 수유기에 현저히 억제되고, 사료섭취량도 감소했다. 본 품 투여를 받는 부모로부터의 신생새끼 이유기 체중은 대조군보다 낮고, 또한 고용량군에서의 생존율도 약간 낮으며, 안검개열(眼瞼開裂)의 지연 등이 소수예에서 보였다[Schroeder, R. E. : WHO Fd. Add. Ser.(1973)].  토끼를 이용한 최기형성 시험은 몇 가지 보이지만, 대조군에서 보인 변화, 피험물질의 투여 기술과 질병에 따른 제외 등의 문제로, 결과평가에 이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뉴질랜드 백색토끼에게 임신 제6~18일에 걸쳐 아스파탐을 0, 1 및 2g/㎏/일로 혼이법에 따라 투여하고 28일째에 부검했다. 조?유산의 발생은 대조와 큰 차이가 없으며, 사망새끼의 발생률도 대조범위를 상회하는 것은 없어, 본 품 투여에 따른 뱃속새끼 독성과 최기형성 작용(최고용량군에서 보인 안검개열에 대해서는 판정하기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다[Schroeder, R. E. et al. : WHO Fd. Add. Ser. (1973)].  DKP에 대해서도 번식독성에 관한 지견이 몇 가지 보인다. 1군 암컷 60마리, 수컷 40마리를 이용해 DKP를 혼이법에 따라 0.45, 0.9 및 1.8g/㎏/일씩 상법대로 교배전, 임신중 및 수유기에 주고(교배중은 강제투여) 생식독성을 Seg Ⅰ방식으로 검토했는데, 고용량군 암컷에서는 임신중기와 수유기에 체중감소를 나타내고, 역시 생존계수가 적었던 것을 제외하고 교미, 수정, 임신?분만과 새끼의 그후 발달에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다[Schroeder, R. E., et al. : WHO Fd. Add. Ser. (1973)].  역시 Seg Ⅱ방식에 따라 1군 24마리의 임신 rat에 DKP를 혼이법으로 임신 6일~15일에 걸쳐 0, 1, 2 및 4g/㎏/일 투여하고 임신말기에 뱃속새끼를 검색했는데, 기형 등의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Schroeder, R. E., et al. : WHO Fd. Add. Ser. (1973)].  Seg Ⅲ 방식으로 1군 20마리의 임신 rat에 DKP를 0, 0.7, 1.3 및 2.5g/㎏/일씩 혼이법으로 임신 제14일부터 21일 후의 이유시까지 투여했는데, 임신유지, 분만새끼의 수, 생존률, 포유률 등에 이상은 볼 수 없었다[Schroeder, R. E., et al. : WHO Fd. Add. Ser. (1973)].  1군 21마리의 임신 토끼에 DKP를 0, 0.5, 1 및 2g/㎏/일씩 제6~18일에 강제경구투여하고, 제28~29일에 도살하여 뱃속새끼를 검사했더니, 4g/㎏군의 뱃속 새끼수는 다른 군에 비해 현저히 적고, 이 변화는 모친의 먹이섭취량 격감과 그에 따른 체중감소에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 외는 0.7 및 1.3%군에서의 착상, 생존 뱃속새끼수, 흡수, 사망 새끼수, 뱃속새끼의 체장 및 체중 및 내장과 골격의 변화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WHO Fd. Add. Ser. (1981)]. ○ 생식독성 경구 마우스 : TDL0 = 4g/㎏(15-18 D preg.), Effects on Newborn(behavioral)      [Res. Comm. Psychol. Phychiatry Behav. 9, 385 (1985)] rat : TDL0 = 275g/㎏(2W male/2W pre-16D post), Effects on Newborn(Behavi-      roal) [Neurobehav. Toxicol. 1, 79 (1979)] : TDL0 = 106g/㎏(12D post), Effects on Newborn(Growth statistics)      [J. Environ. Pathol. Toxicol. 3, 375 (1980)] : TDL0 = 499g/㎏ (2W male /2W pre-21 D post), Effects on Newborn      (Weaning or lactation index) [Beurobehav. Toxicol. 1, 79 (1979)] 경구 사람(여) : TDL0 =3,710㎍/㎏, Skin and appendages      [Ann. Intern. Med. 104, 207 (1986)]                                   이상 RTECS에서 (식품첨가물공정서 해설서, 제7판, 광천서점, 1999)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31346 아... 감 맛있네. [2] 흐음 07.02.12 185 0
31345 친구가 권해준 롤케익빵500원짜리 안먹고 버팀^^ [1] 123 07.02.12 164 0
31342 근데 다이어트에 관심없는 사람들도 많더라 [2] ㅇㅇ 07.02.12 208 0
31341 정다빈 죽기전에 남자친구 집에서 무슨일이 있었나 [5] 푸른새벽 07.02.12 477 0
31340 구토하는 습관 없애려면.. [7] 다갤오늘처음 07.02.12 304 0
31338 아 부분비만 뱃살 어뜨케 빼나여 [2] 한국it전문학교 07.02.12 276 0
31333 횽아들.. 갑자기 다이어트 하고싶은 의욕이사라져.... [3] 닥치고병추 07.02.12 223 0
31332 횽들 인바디할려구하는데 [1] 문근육 07.02.12 188 0
31331 볼살 어떻게빼여?? [1] 07.02.12 156 0
31329 형들 밥먹고 물마시는거... [3] asdd 07.02.12 226 0
31328 덤벨무게 적당한게 몇키로일지?? [8] 크레이져사고파 07.02.12 330 0
31327 너무, 불안해서요... [10] 44사이즈는꿈 07.02.12 464 0
31326 남자 키 177이면 몸무게 어느정도되야 일반인? [3] ㅈㄷㄹ 07.02.12 272 0
31325 하루에 칼로리 바란스 1통만 먹으면... [5] 44사이즈는꿈 07.02.12 453 0
31324 헬쓰클럽에 있는 덜덜인가? 딸딸인가? 그거 효과있어? [4] 다이어트햏 07.02.12 279 0
31323 효도르 몸매면 어떄? 나 효도르랑 거의 비슷한데, [3] 효도리 07.02.12 232 0
31322 인바디 하고왔음 [9] 리ㅣ 07.02.12 333 0
31321 누나들아.. 나 183/63 남잔데 [8] d 07.02.12 304 0
31320 허벅지살 빼는데 빨리 걷기 효과 있는거죠? [1] 07.02.12 1228 0
31319 고도비만 vs 고자되기 [1] Lin 07.02.12 221 0
31318 적은운동과 식단조절,보조제 vs 운동4시간이상 모든음식 골고루섭취 [5] 5678 07.02.12 199 0
31317 근뎅 나 요요로부터 자유로운거얌? [3] 567 07.02.12 222 0
31315 형들 오전 9~11시쯤에 헬스장 [3] rh 07.02.12 168 0
31314 내가 매일매일 몸무게 체크를 하는데 [2] 전고 07.02.12 203 0
31313 마르고싶다................. [6] 살빼자 07.02.12 347 0
31312 다갤형들 질문~ [1] 11 07.02.12 63 0
31311 님들아 [1] 3년차 07.02.12 54 0
31310 횽들 다욧중에 떡먹으면 치명타야?? [3] 피펜 07.02.12 317 0
31309 고기피자치킨회식자리 걱정없이 먹는법 [6] ㅇㅇㅇ 07.02.12 379 0
31307 후후 도라다녀야지 [1] 간지훈남 07.02.12 108 0
31305 의학도로써 다이어트와 물에 관해.. [5] Lin 07.02.12 364 0
31304 GAY 들이 몸 만들고 외모 패션에 신경을 많이쓴다며?!?!?!?!?!?!!?!?!?!?!?!?!?!?! [1] 원빈 07.02.12 268 0
31302 조지고 왔어. [1] 흐음 07.02.12 129 0
31301 먹는 거에 너무 자책감 갖지마 [8] 1212 07.02.12 325 0
31300 여기형들 헬스장 다니는 횽들중에 운동할때 [8] ㅈㅈㅈㅈ 07.02.12 251 0
31299 어쩌다 이렇게 됬지..먹는게 압박이야.. [9] 비키니공략 07.02.12 299 0
31298 전에 다이어트 시작한다고 올렸는데, 무지 많이 빠졌어, [5] 다이어트햏 07.02.12 505 0
31297 오늘은 배탈이 났다. [4] 로직 07.02.12 145 0
31296 고수횽들 도와주셈 <뱃살과 복근운동 상관관계> [12] 고수횽들 07.02.12 497 0
31295 안뇽하세요 급질 ㅡ.ㅜ [5] 다이어트고고싱 07.02.12 127 0
31294 마시멜로먹으면 지구3바퀴 돌아도 안빠진다는말 [8] ㅇㄹㅇ 07.02.12 1202 0
31293 허벅지 살 빼는법좀 알려줘 ㅠㅠ [6] 형들 07.02.12 616 0
31292 헉헉 ㅇㄴㄹ 07.02.12 51 0
31291 초콜릿의 진실과 거짓 [3] 뱃살 07.02.12 335 0
31290 말년은너무심심해..... 문근육 07.02.12 68 0
31288 단백질섭취 -> 칼슘방해 -> 골다공증 -> 걷다가 뼈부러짐// 진짜야? [8] ㅇㅇㅇ 07.02.12 386 0
31287 횽들 도와줘여 [2] 살빼훃 07.02.12 84 0
31286 다이어트 1/16=>현재 2/12....체중변화 [6] 비만돼지 07.02.12 307 0
31285 하악하악 이번주도버닝합시다 ㅎㅎㅎ 문근육 07.02.12 64 0
31284 안녕 다겔형들 [1] 모모 07.02.12 6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