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던전앤파이터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던전앤파이터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의외로 많이 보이는 유형의 부모 ㅇㅇ
- 에스파중 가장 영감 직감이 있는 윈터 ㅇㅇ
- 고대 한국사에서 가장 미스테리한 전투.JPG ㅇㅇ
- 매우 이례적인 일...'비상사태' 직접 나선 농협 SJ준준이
- 다카이치 일본총리 "한국 이재명 대통령과 연대할거다" 부갤러
- 싱글벙글 JYP 대표 박진영 근황 ㄷㄷㄷㄷ ㅇㅇ
- 싱글벙글 요즘 한국 애들보다 중국 애들이 낫다는 스레드촌 ㅇㅇ
- 이재명 Gpu공약 조롱하던... 국힘당 ㅋㅋㅋNews ㅇㅇ
- 싱글벙글 실시간 MLB 월드시리즈 미친 결과(다저스 우승) ㅇㅇ
- 쫓겨난 것도 억울한데 모함까지 당하는 중인 부산 YK스틸 ㅇㅇ
- 싱글벙글 책사풍후 vs. 윤서인 ㅇㅇ
- 추천받은 세종시 땅 30평, 9천만원에 샀다가 '폭망' SJ준준이
- 응 케데헌 다 품절이야 못 구해 ㅇㅇ
- 버튜버 팬덤이 갈수록 시끄러운 이유 ㅇㅇ
- 훌쩍훌쩍 ㅈ밥 다 된 새끼들...(로스코스모스) Physics
짱들짱들 중국의 미국 GDP 추월론 근황
아무튼 2024년에 중국이 미국GDP를 추월한다! ㅋㅋ현실은 2025년4억 5천만명 인구의 유럽연합 GDP가13억 인구의 중국 GDP를 재추월미국과 중국의 1인당 GDP미국과 중국의 국내총생산 GDP그리고 얼마전 발표 된 2025년 국내총생산 GDP시간이 지날수록 미국과 격차가 좁혀지고 따라잡는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오히려 미국과 격차만 커지는 상황13억 인구의 중국은 3억 4천만명의 미국을 따라잡지도 못함그리고 중국의 유일한 장점인 인구마저중국의 0명대 출산율
작성자 : 개판1분전고정닉
래토칼립스 개발일지 #2 - 그래픽과 연출
[시리즈] 래토칼립스 개발일지 · 래토칼립스 개발일지 #1 - 세 번째 새로운 도전 치즈: 안녕하세요. <래토칼립스>를 개발 중인 치즈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지금까지 게임 내 그래픽과 연출을 구현하며 겪었던 고민들과 지금까지의 작업 과정을 항목별로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이번 개발일지의 주요 주제는 그래픽 부분이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진행한 기술적인 내용도 함께 다뤄보겠습니다.2.5D 그래픽 도전기<래토칼립스>는 전략 요소가 중요한 게임이면서도 자동 전투 또한 포함되어 있기에 전투를 더 수월히 조망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따라서 여타 SRPG처럼 기본 전투 시스템은 타일로 구성된 맵 위에서 규칙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었고,전체적인 움직임을 수월하게 지켜볼 수 있게 카메라를 높여, 탑뷰 방식으로 전황을 보여주는게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동시에 저희 팀이 가진 아트스타일의 장점을 더 잘 보여주기를 희망하였는데요.이러한 부분을 고려하며 의논을 거듭한 결과, 이번 작품은 2.5D 그래픽으로 개발해보기로 하였습니다.초기 인게임 컨셉아트들 하지만 기존 작품인 <래트로폴리스>와 <래토피아>는 풀 2D 그래픽 게임이었기에, 저희는 2.5D 게임 개발 경험이 전무했습니다.2D와 2.5D는 그 아트스타일로 인해 제법 비슷하지 않을까 기대했지만,실제로 개발을 시작해보니 예상보다도 차이가 컸고, 새로이 학습해야 할 부분도 많았습니다.차이점을 비교적 간단하게 확인하실 수 있게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표현상(?) 0.5 차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것이 다른 개발 방식상기 표에서 누락된 차이점도 있었는데요.가령 2D에서는 단순하게 Sprite Renderer의 sorting order를 통해 배경~캐릭터까지 지정한 순서대로 출력하는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하지만 2D 이미지들이 놓이는 3D공간을 가진 2.5D 그래픽에서는 Z축을 고려한 카메라 세팅이 필요했습니다.또한, 캐릭터는 2D 패널(Panel) 형태로 서 있지만, 파티클은 3D환경에 맞게 제작해야 했습니다.이는 앞서 언급드렸듯, 새로이 학습해나가야 했던 부분들이었습니다.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이번 <래토칼립스>는 Unity6 엔진을 사용해 개발하고 있습니다.발전된 엔진의 기능들 중 이번에는 포스트 프로세싱을 적극 활용해 시각적으로 강화해보고자 했으나,여기도 적용하면서 생각지 못했던 문제들이 있었습니다.포스트 프로세싱은 카메라 출력의 마지막 단계에서 후처리되는 기법입니다.따라서 저희가 제작한 이펙트나 라이트 연출이 후처리로 인해 원치 않는 색감으로 보이는 문제가 종종 발생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레이어를 전용 카메라로 분리하는 등 예상보다 프로젝트 내부에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했습니다.동일 화면에 적용해 테스트해보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현재는 포스트 프로세싱은 조심스럽게 접근해 사용해보려 하고 있고,필요한 부분에 조금씩 적용해 연출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부분에 좋은 연출 도구로 활용해 나갈 생각입니다.위 작업도 현재 진행형이지만 2.5D로 뛰어난 비주얼을 보여주는 게임들이 얼마나 많은 고민과 연구를 했을지 실감해볼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타일전작 <래토피아>때는 타일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현했으나,이번 작품에서는 Unity가 제공하고 있는 TileAsset기능을 응용해 타일을 배치하기로 하였습니다.하지만 Unity의 TileAsset 기능만으로는 표현이 다소 제한되다보니,원하는 형태로 타일의 모서리 및 테두리를 가공하기 위해 RuleTileAsset 기능을 활용하고 있습니다.구현 과정에서는 타일의 밀도를 얼마나 높일지, 내부·외곽선을 얼마나 강조할지 등캐릭터와 오브젝트가 바닥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디자인 방향을 잡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타일끼리 어느 위치에서 이어져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작업하고 있습니다 광원 효과와 노말맵(Normal Map)많은 2.5D 게임에서 캐릭터 바닥에 타원형 그림자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이번 작품에서 저희는 좀 더 현실적으로 보이게 만들기 위해 Unity 엔진의 라이트 시스템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이를 활용하면 광원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그림자를 구현해 낼 수 있었고,이를 통해 좀 더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또한 이전 작품들과는 다르게 연산적으로 처리해야 할 걱정도 적어,여분의 시스템 부하를 라이팅과 같은 그래픽 요소에 좀 더 할당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죠.위는 연출용 이미지입니다 이를 응용하여 캐릭터나 오브젝트 이미지 위에도 라이트 시스템에 따른 명암 차이가 보여질 수 있게 노말맵 시스템도 적용해보기로 하였는데요.이미지 내에 빛의 영향을 받는 부분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3D와 같은 깊이감과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게 구현하였습니다.노말맵의 작업 과정입니다이러한 일련의 기능들을 잘 활용한다면 광원에 따라서 플레이어가 관측할 수 있는 시야를 제한해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낸다거나,탐험하는 던전별로 전체적인 색감을 다르게 해 시각적인 특징을 두드러지게 만들 수도 있을 것 같았죠.또한 중요한 오브젝트에는 빛이 나게 하여 플레이어의 접근을 유도할 수 도 있을 법도 하였습니다.특정 색감을 사용해 맵의 분위기를 강조해보려 합니다적용된 결과물도 시각적으로 뛰어났고, 잠재력도 좋은 시스템이지만, 한 가지 단점은 이러한 작업은 많은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게임 내 모든 이미지들에 노말맵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개발 비용적으로도 많이 부담되며,그렇다고 일부 이미지에만 적용하기에는 전체적인 입체감이 많이 중구난방해질까 우려되는 바가 있지요.부디 어색하지 않기를 바라며 우선은 연출적으로 필요한 부분에 먼저 사용해보고,점진적으로 적용 범위를 확장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이펙트&파티클 시스템이펙트와 파티클도 2D 게임들을 개발할 때와는 차이점이 있었습니다.3D 공간에서 파티클이 출력되어야 하다보니, 이펙트 및 파티클 역시 3D 환경에 맞게 출력되도록 수정해줘야 했습니다.대부분의 개별스킬에는 이렇게 이펙트를 제작해 넣고 있습니다.하지만 덕분에 기존에 잘 활용하지 않았던 빛 효과를 추가해 연출을 한 층 화려하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특히 이번 작품은 전투를 지켜보는 재미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펙트와 파티클 시스템 외에도카메라 흔들림 등을 적극 활용하여 전투 연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입니다.이번 작품에서는 전투 연출의 지켜보는 재미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앞으로 이펙트 시스템 외에도 카메라 흔들림과 연출들을 적극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입니다.마무리이번 개발일지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이번 프로젝트는 저희가 앞선 작품들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많은 그래픽적 요소를 학습해 적용해나가고 있는데요.이렇게 학습한 요소를 또 어떻게 활용하고 확장할 지에 대한 고민도 계속 뒤따를 것 같습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한 달 동안 열심히 개발해 12월 개발일지로 돌아오겠습니다.홈페이지: https://www.casselgames.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asselGames/X: https://x.com/CasselGames
작성자 : 카셀고정닉
민주당, "이재명 재판중지법 최우선 처리"
더불어민주당은 2일 이재명 대통령의 5개 재판을 중지하기 위한 입법을 '법 왜곡죄' 도입법과 함께 정기국회 내 최우선 처리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혔다. 이는 국민의힘이 이 대통령 재판을 재개하라는 목소리를 여러 차례 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재판중지법을 '국정안정법'으로 명칭을 바꾸겠다고 했다. - dc official App- [속.보] 민주당 “대통령 재판중지법 ‘국정안정법’으로 추진”https://n.news.naver.com/article/655/0000028133?type=breakingnews&cds=news_edit- 이준석 페북) 재판중지법 포장질 - dc official App- [속보] 이재명 대통령 재판 재개해야…與 재판중지법 추진 적반하장https://n.news.naver.com/article/082/0001351668?sid=100 [속보] "이재명 대통령 재판 재개해야…與 재판중지법 추진 적반하장"국민의힘은 2일 더불어민주당이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1심 선고 사흘 만에 현직 대통령 재판 중지법 추진을 공식화하고 나선 데 대해 "적반하장"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재판 재개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n.news.naver.com
작성자 : ㅇㅇ(125.129)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