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여드름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여드름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씨네스틸 필름워크 Leitz Minolta CL + m-rokker 40 KanayaMaryam
- 기회를 주세요 디빅
- [단독] '청산가리 막걸리' 검사, 법정서도 거짓말 ㅇㅇ
- 아무것도 아닌 영웅 용원마술사
- 나락방지권 3개를 가지고 있다는 어떤 유튜버...JPG ㅇㅇ
- 판매시작 세계최초 가정용 휴머노이드 ㅇㅇ
- 통장정리 하다가 이혼 ㅇㅇ
- 재판중지법 중단시킨 李대통령, 曺에"대법원장님 지원에 성과" 실베간
- 펌) 냉동해물모듬에서 담배꽁초가 나왔습니다 ㅇㅇ
- 남친이랑 다른 여자 스킨쉽 포옹까지 허용하는 테토녀.jpg ㅇㅇ
- 역사상 최악의 오심 오브레보사건 gif ㅇㅇ
- 곽종근 개쳐바른 대대대 윤카! 뉴스&파묘
- [독썩] BMW 하이브리드 차는 절대 사지 마라 혁진이
- 갤럭시갤에 이거 올리니 선동이라고 차단당함 ㅋㅋ ㅇㅇ
- 흔들림 없는데 경보로 잠 깨우는 '지진 긴급재난문자' 없어진다 ㅇㅇ
11월 3일 있었던 사건
668년 나당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이 시작되었다 1839년 광동에서 청군과 영국군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으며 이는 아편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1903년 파나마가 콜롬비아로부터 독립했다 1911년 킬 군항의 반란이 발생하여 독일 11월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1924년 차오쿤, 우페이푸의 직계군벌과 장쭤린의 봉천군벌 사이에 벌어진 2차 직봉전쟁이 봉천군벌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다 1946년 대일본제국 헌법을 일본국 헌법으로 개정하여 공포하였다 1947년 단국대학교가 개교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2호에 라이카를 싣고 우주로 나갔다 1974년 대왕코너 2차 화재사고로 88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1978년 도미니카 연방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79년 10.26 사건으로 서거한 박정희 대통령의 국장이 거행되었다 1986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미국으로부터 독립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의 대통령 후보 김대중과 자유민주연합의 대통령 후보 김종필이 단일화에 성공했다. 단일 후보는 김대중이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최순실이 구속되었다 2018년 Anime X Game Festival이 개최되었다 2019년 오버워치 월드컵 플레이오프 4강전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미국에게 참패하면서, 4연속 우승이 좌절되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며 공화당 소속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민주당 소속 조 바이든 후보가 맞붙었다 2023년 네팔 서부에서 규모 6.4 지진이 발생하였다 2024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4승 2패로 꺾고 26년만에 일본시리즈를 우승하였다 2025년 대전광역시의 대표 빵집인 성심당이 성심당 한가족 운동회로 인해 전 매장과 계열사가 문을 닫았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오늘_생일/기일/사건/기념일_모음고정닉
올해만 벌써 1조 넘게 팔렸다…불닭 이어 '대표 주자' 등극.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요새 한국 김이 잘 나가나 보네요?올해 3분기까지 김 수출이 8억 8천233만 달러로 우리 돈으로 약 1조 2천500억 원에 달하는데요.지난해보다 14% 늘었고 10년 전보다 4배 이상 많습니다.어디로 많이 수출됐나 보면, 일본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미국, 중국, 태국 순입니다.특히 중국으로의 수출은 작년보다 40% 이상 급증했습니다.일본과 미국도 각각 18%, 14% 증가했습니다.김 수출이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한 건 K-푸드 열풍과 함께 김밥, 김스낵 같은 제품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으면서부터입니다.10년 전, 2015년 3분기까지만 해도 2억 2천만 달러 수준이었는데 이제는 4배가 됐습니다.올해는 처음으로 연간 1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조 4천억 원 돌파가 유력합니다.작년에는 9억 9천700만 달러로 아깝게 넘지 못했지만, 올해는 이미 그 속도를 앞질렀습니다.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15% 시행 등 부담 요인은 있지만, 현지 소비 위축이 크지 않다면 '10억 달러 시대' 진입은 무난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그런데 해외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 김을 김이라고 안 불렀어요?맞습니다. 지금까지 세계 시장에서 김은 일본식 '노리'나 '씨위드'로 불리고 있었는데요. 그 대신 이제는 영어로 GIM, 'GIM'으로 표기하는 국제 표준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정부는 한국산 김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명칭을 'GIM'으로 바꾸는 국제표준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이 계획은 작년 10월 '김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의 하나로 발표됐고, 올해 8월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와 세계보건기구가 공동 설립한 국제식품규격위원회, 즉 코덱스(CODEX)에 공식 제안서가 제출됐습니다.9월에는 코덱스 산하 아시아 지역조정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최종 제안서가 상정됐고, 이번 달 중 본회의에서 작업 개시 여부가 결정됩니다.승인이 나면 한국은 앞으로 6, 7년 동안 김의 성분 안정성과 규격, 표시 기준을 마련하는 국제표준화 작업을 주도하게 됩니다.이 표준화가 완성되면 전 세계 마트 김 포장에 GIM, 'GIM'이라는 명칭과 기준이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고, 한국이 김의 품질 기준을 정하는 나라로 공식 인정받게 되는 겁니다.정부는 이를 통해서 유럽처럼 까다로운 시장에서도 김 수출이 확대되고, 일본식 명칭 대신 한국 브랜드로 자리 잡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높아진 한국 김의 위상, 그래서 어느 정도라는 겁니까?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김의 60.2%가 한국산인데요.그러니까 세계 김 10장 중 6장이 바로 한국에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은 이제 단순한 반찬이 아니라 우리 식품 산업의 주력 수출 품목이 됐습니다.수출 규모만 봐도 김은 이미 한우나 한돈보다 큽니다.'김'이 '불닭라면'에 이어서 K-푸드를 대표하는 새로운 주인공이 된 겁니다.이번 국제표준화 추진은 단순히 수출량을 늘리는 걸 넘어서 '김의 이름과 기준'을 한국이 직접 세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노리' 대신 'GIM'이 공식 명칭이 되면 전 세계 어디서든 'GIM' 명칭과 기준이 글로벌 레퍼런스로 통일돼서 그 자체가 품질 인증이 됩니다.여기에 김 산업 구조도 달라지고 있습니다.이제는 단순히 마른김만 수출하는 게 아니라, 양념 김, 냉동 김밥, 가정간편식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새로운 성장 축이 되고 있습니다.정부는 이런 변화에 맞춰서 스마트공장 도입과 품질관리 강화 등으로 김 산업의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는데요.미국의 15% 관세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수요 확대가 그 영향을 충분히 흡수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결국 이번 흐름은 김이 단순한 밥 반찬을 넘어서 '한국이 만든 세계 식품 기준'으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에 있다고 하겠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