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인하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인하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성시경 이제 선동 끝난 것 같다 ㅇㅇ
- 북한 김정일 김정은 금고지기가 은퇴 후 받은 엄청난 혜택 ㅇㅇ
- 밍글스 디너 후기 09.19 오마이카세
- 돌아버린 짱깨차 근황 ㅋㅋㅋㅋㅋㅋㅋ ㅇㅇ
- 건보료 부정수급 신고하자 인간쓰레기 취급하는 보건소장 ㅇㅇ
- 은행권, 시니어 고객 모셔라! ㅇㅇ
- [단독] 금융위도 1급 전원 사표…'초유의 상황' 또 터졌다ㄷ 너구리
- 황인수 이번 경기 승부처 ㅇㅇ
- BBC가 몰래 입수한 북한 스마트폰 수준 DC사랑
- [단독] 트럼프, H1 비자 수수료 100배 인상 서명 ㅇㅇ(125.129)
- 차에서 충전중에 배터리 커진 갤럭시s25 맛갤러
- (장문)(혐주의+심약자주의) 뷔욕 스토커 살자사건 (Feat. 꺼무위키) ㅇㅇ
- 빈지노/미초바 부부가 빈티지 쇼핑 플렉스하는 영상 tesi
- 전역 앞둔 육군 병장...15층서 추락, 결국 '사망' 묘냥이
- 스압) 삼성강남 신제품 둘러보기 빈털털이_
2025 지최대 탈락작 피드백 부탁드립니다.[지최대 메일x]
안녕하세요.패기를 갖고 혼신의 힘을 다해 지최대 1기에 도전하였으나 탈락하였습니다.지최대 메일도 받지 못해 좌절하였지만마음을 다잡고 그 뒤 수정과 보완을 거쳐지최대 2기에 내려고 하였습니다.그렇지만 여러 여건이 맞지 않아도전 만화에 올리게 되었습니다.살펴보시고 앞으로의 더 나은 작품 활동을 위해 선배님들께서 편하게 피드백 남겨주시기 바랍니다.2화https://comic.naver.com/challenge/detail?titleId=842631&no=2 3화https://comic.naver.com/challenge/detail?titleId=842631&no=3 키워드 2~3화도 올렸습니다.살펴봐주시고 피드백 자유롭게 부탁드립니다.정말 감사합니다.
작성자 : 라이오라고정닉
동아시아 3국 민족종교 비교...
중국의 민족종교 - 도교
도교는 후한 시절 탄생했다. 민간신앙과 불로불사를 꿈꾸는 신선사상, 그리고 노자의 도가사상이 결합되어 짱 따오 린에 의해 창시되었다.이후 삼국시대에 현학 학파가 노자 사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고, 육조 시대때 상천과 영보와 같은 주요 경전이 작성되었다.당나라에 이르러 중국의 공식적인 종교로 지위를 획득하였으며, 송나라에는 황제 휘종이 도교 경전을 적극적으로 출판하였다. 몽골제국 시대때 많은 경전이 불태워졌지만 명나라 시기에 부활하여 새로운 경전 도장을 40년에 걸쳐 국가사업으로 편찬하였다.정치 철학이자 시스템인 유교, 인도에서 건너온 불교와 함께 묶여 유불선이란 중국의 세계관이 된 도교는 중화 문화의 선봉장으로 동아시아로 번졌으며, 중국의 조공국이었던 베트남과 조선에서 가장 번성하였다.일본의 민족종교 - 신토야요이 시대 때부터 존재한 민간신앙 카미숭배는 야마토 왕조 이후 국가적인 신앙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아스카 시대에 율령이 설립되면서 신토의 제사, 체계, 의식이 발달하였다. 나라 시대에 고사기와 일본 서기가 편찬되고 천황가를 중심으로 신앙 체계가 변천한다. 이후 불교와 결합하여 신불습합이 이루어졌다. 가마쿠라 시대에 막부에 의해 신사들은 보호받았으며, 일본의 몽골침략 승리 이후 신을 부처보다 위로 두는 반본지수적설을 체계화하고 이세 신토를 확립하였다. 무로마치 시대에 불교와는 별개의 교리, 경전, 의식을 갖춘 요시다 신토를 창시한다.에도 시대에 이르러 모토오리 노리나가가 중국 에서 유래한 불교 및 유교 교리의 관점에서 신도를 해석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하고 신도 경전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신화 , 힌두 신화 , 기독교 신화 등 세계 각국의 신화와 구별되는 일본 신화를 중심으로 재편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시절 국가 신토로 일본 제국주의의 선봉 사상으로 역할하였다.신토는 현대 일본 문화의 상징적인 종교이며, 일본인들은 관습과 문화로써 신토와 함께한다.대한민국의 민족종교 - 무속무속은 천신 강림 설화인 단군 신화와 고구려의 주몽, 신라의 박혁거세와 같은 시조 설화들이 결합되어 자연적으로 형성된 민족 종교이다. 청동기 유물에서 무당들의 무구가 발견되며, 고구려는 일찍이 왕의 자문관으로 무당을 두었으며, 신라의 2대왕 남해 차차웅은 무당이라 기록된다.무당들은 국가의 관리로서 국정에 이바지했다.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데 자문을 했으며, 천재지변이나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제시했다.그러나 불교의 수용과 확산으로 무속은 정치적 기능을 상실하고 만다. 불교가 사상적 체계성, 문화적 선진성이 앞서있었기 때문에 지배층의 관심이 불교로 기울어지게 되었으나 팔관회, 기우제, 지배층의 두두리 신앙등 무속의 사회적 기능은 유지되어 있었다.조선에 이르러 무속은 유학자들에 의해 음사로 취급하게 된다. 기우제와 같은 국가 행사에서도 배제되었으며, 무당의 신분은 천민으로 떨어진다. 한양에 거주하는 무당을 벌하고, 무업세를 추가적으로 매겨 높은 고리세금을 감당하게 한다. 16세기 향촌을 기반으로 한 사림 세력은 무속의 말살을 주장하게 된다. 관청의 부근당은 폐지되었으며 지방관들에게 무속의 근절을 요구한다. 이로써 무속은 사회적 기능이 상실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 시점에서 관우신앙이나, 옥황상제와 같은 중국의 신앙이 유입되게 된다. 사회적 기능을 상실하였지만 무속은 민간신앙으로써 평민과 천민을 중심으로 마을 신앙의 형태가 남아있었다. 산신을 비롯해서, 지역신인 두두리 신앙, 팔령신 신앙, 계변신 신앙, 오금잠 신앙 등이 모셔져 있었으며, 사회적 통합과 정체성 확인의 정신적 기초였다.이후 일제강점기에 무속은 미신으로 취급되어 탄압되었다. 해방 이후 남한에서는 근대주의자들에 의해 미신타파운동으로 전국적으로 신당을 파괴하고 무속인을 체포하게 된다. 이렇게 무속은 개인적 기능도 상실하게 된다.왕의 자문관이었던 무당은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기능을 모두 상실하였으며 오늘날 오컬트의 형태로 마주할 수 있다.
작성자 : 버들꽃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