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수능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수능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현재 일본에서 유행중인 팬티 에코백(?) ㅇㅇ
- 오해원이 뽑은 워크돌 최고 난이도 TOP3 ㅇㅇ
- 2찍 내란견들한테 인정하라고 살살 긁는 하느리 더민갤유저
- 캄보디아서 숨진 한국인 대학생, 같은 대학 선배가 모집책 역할 STARBUCKS_
- 갱년기 솔직고백한 한고은 근황 ㅇㅇ
- 싱글벙글 캐나다 전 총리 근황 ㅇㅇ
- 현재 X에서 난리난 한 일본인의 말.jpg ㅇㅇ
- "中, 내달 8일부터 리튬 배터리·인조다이아몬드도 수출통제" NiKe
- 싱글벙글 근 10년간 엄청난 돈을 벌어들인 신흥 부자들 코닭
- X에도 퍼진 [취업 포기하고 메이플로 돈벌려는 94년생] ㅇㅇ
- [단독] 광주 이대남, 캄보디아서 2개월째 연락두절 "살려주세요" 포만한
- 김수현일 수가 없다 ㅇㅇ
- 5060 한국남편•2030 외국인 아내, 국제결혼의 민낯 ㅇㅇ
- 한국, 무방비 상태 "중국산 해킹기 무더기 입국" Agency
- 와들와들 대한민국 폭력 노조 레전드.JPG 날뭐라고생각하
동해 해파랑길 / 영덕 블루로드 여행기
역대급 연휴를 맞아서 어디로 여행을 떠날까 고민하던 차에, 갤에서 영덕 블루로드를 추천받음. 해파랑길과도 겹치는 구간이고, 접근성도 나쁘진 않아서 계획 잡고 추석 다음날 진행을 했으나... 명절 귀성길을 얕봤음!! 오후 5시 30분에 동대구에 도착, 오후 6시 30분 버스를 타고 동해안으로 가려고 했는데 버스 연착으로 오후 6시 35분에 동대구 터미널에 도착함ㅋㅋㅋㅋ 첫단추부터 꼬인다 하지만 여행 계획이 항상 완벽할 수는 없는 법 동대구터미널 외딴곳 가장 저렴한 모텔을 잡음 파일구리 시절 동영상에 나올법한 모텔에서 하룻밤을 보냄 우여곡절 끝에 도착한 후포항! 짙푸른 바다와 청량한 파도를 보니 기대감이 차오른다!! 역주행을 할 예정이라 마지막 코스에서부터 시작함 백팩 무게는 12kg 가즈아 사진은 200장 넘게 찍었는데 그중에 50장 사진 을 골라야 하니 쉽지 않네. 상징적인 것들만 고르기로 함 열심히 걸어서 고래불항 도착. 해파랑 23 코스 11km 클리어 역시 동해안은 물색부터 다르구나라는 생각을 2박 3일 동안 함 테트라포트 너무 좋음 다음 코스는 내륙쪽 코스를 껴서 감 바다를 못 봐서 아쉽지만 산길은 산길대로 집중해서 속도를 낼 수 있어서 좋아함 렁출다리 중간중간 멀리 보이는 바다가 시원하다 축산항 도착 22코스 15.9km 클리어 명절이라 식당들이 많이 닫아서 눈에 띄는데 아무곳이나 들어가서 무난해 보이는 곰탕 먹음. 지역 특산물인 가자미탕을 먹을까 했다가 말았는데 나중에 후회함 밥을 먹으니까 알 수 없는 힘이 마구 솟아나서 더 걸어감 중간중간 보름달이 비쳐주는 해안 마을길을 따라 걷고 걸어 경정해변 도착. 여기서 텐트 치고 1박 함 박지 바로 앞에서 파도가 몰아치고, 아침 9시까지 비가 내려서 첫 축축캠 경험. 그나마 비가 그치고 해가 떠서 텐트는 금방 마르더라. 바람도 많이 불고 파도도 많이 쳐서 정말 멋진 풍경이 많았음 파도가 진짜 오짐 캔디바가 떠오르는 포말 해가 쨍쨍한 맑은 날이었으면 더 예술적이었을 것 같음 가는 내내 바다를 보면서 감탄하느라 오전에는 좀 더디게 걸었었음 캬ㅑㅑㅑㅑ 헤파랑길을 전부 걸어보진 않았지만, 21번 코스는 진짜 예술임. 맛보기로 간다면 무조건 21코스임 중간 항구 마을에서 회드빱 먹고, 21번 코스 11.9km 클리어 영덕이 대게로 유명해서 개 관련된 조형물이 사방에 있어서 그거 보는 재미도 쏠쏠함 20번 코스는 거의 산길 위주라 딱히 볼게 많지는 않음. 근데 이거 풍력발전기들 있는 임도길이 나쁘진 않았음 산길이니 얼른 속도를 내자 가끔씩 보이는 저 푸른 바다를 보면 힘이 남 출렁다리2 드디어 강구항에 도착함 20번 코스 17.9km 클리어 강구항은 특이한게 도로 밑으로도 대게랑 회를 파는 상가들이 있었음 한두시간 더 걸어서 또 야영을 하려고 했는데, 젖은 발로 행군을 하다 보니, 발가락이 뽑힐듯이 쑤셔서 숙박하기로 함. 여관 도착해서 양말 벗어보니 다행히 발가락은 붓기만 했네 숙소 근처 구경 여기는 대게 파는 집이랑 여기도 건물로 모텔을 겸하는 곳들이 많았음 대개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가까운 식당에서 생선구이 정식 먹음 맛있더라 발가락 아프다고 멈춰놓고, 막상 밥 먹었으니 소화해야 한다며 1시간 가까이 또 산책함 이 정도면 병이지;;; 게 사먹을 돈은 없으니 비슷한거라도 먹자 싶어서 간식하고 아침밥거리 삼. 작은 빵집이 있는데 거기 빵들이 진짜 맛있었음 대망의 마지막 날 슬슬 온 몸이 쑤신다 그래도 근성을 가지고 걸어야 한다? 초반엔.도로 옆을 많이 걸어서 별로였는데, 막바지에는 좋은 경치들이 많이 보였음 장사해변이 진짜 예뻤음 6.25 시절 중요한 상륙작전이 있던 해변이라 함 그러고 보니 2박 3일 동안 걷는 내내 해안가에 초소들이 많았음 아이고 힘들다19코스 15km 클리어 해파랑길 23-19 역주행 겸 영덕 블루로드 역주행 완료!! 총 72키로 이상을 걸었네 하지만 집으로 가는 길이 더 까다롭다 카카오택시도 안잡히고 버스는 하루에 5대만 운행하는지라 시간 맞추기가 어려움 별수 없지. 포항가는 버스 타는 읍내까지 추가로 걸어감 인도는 따로 없고 갓길 구석으로 걸어가야 함 타이밍 맞춰서 포항으로 가는 버스 타고, 동대구 가는 버스를 출발 직전에 겨우 잡아탐 광주로 가는 버스는 15분 뒤에 출발함 배좀 채우고, 마지막은 프리미엄 버스로 편하게 가자 터미널 도착해서 햄부기 먹고 마무리 정말 즐거웠다. 이래서 다들 해파랑길 가는구나 싶었음. 해파랑길 완주를 하고 싶은데 이번 연휴같은 시간이 또 날지 모르겠네. 기회가 되면 조금씩 클리어해야지. 물론 이번처럼 무식하게 무거운 세팅은 지양하고;; -끝-
작성자 : 누우치고정닉
인도리프피쉬 최초 번식 성공
인도리프피쉬라고 불리는 어종이고 학명은 Nandus nandus입니다.물생활 오래 해본 분들이라면 한 번 쯤 들어보신 어종일 겁니다.인도차이나반도에 서식하는 어종이고, 가끔 산란까지 성공한 경우가 있었지만수조 내에서 치어까지 완벽하게 육성한 경우는 이번이 최초입니다.저도 2년 간 실패하다가 이번에 처음 성공했습니다.종어들은 3년 동안 기른 개체들입니다.앞이 암컷, 뒤에 작은 게 수컷입니다.초반에는 수온 저하로 산란을 유도했지만, 쌍이 제대로 잡히면 별 다른 조치 없이도 산란합니다.생먹이, 냉동먹이, 사료를 혼합 급여했고, 비타민 B와 C를 따로 첨가해주었습니다.알은 20,000~40,000개 정도 낳습니다.수초 위에 알을 뿌리듯이 낳고, 알은 점착성입니다.산란양이 많은 만큼, 알 크기가 대단히 작습니다.수정률은 50%정도.저는 다 기를 수 없기 때문에 500~600개 정도만 스포이드로 뽑아서 따로 격리했습니다.갓 태어난 자어입니다.수온에 따라 22~25시간 안에 부화하며, 부화 직후 부상하여 구조물에 붙어서 에너지를 절약합니다.막 태어난 자어는 1~2mm 정도 크기이고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부화 후 육성이 매우 까다롭습니다.인도리프피쉬의 번식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입니다. 부화 후 3~4일 차가 지나면, 안구와 입이 열리고, 난황이 거의 흡수 됩니다.이때 크기는 2mm 중반 정도입니다.브라인쉬림프는 절대 못 먹습니다.인푸조리아를 줄 경우, 한 마리도 남김 없이 폐사합니다.크기는 작지만, 대사와 성장속도가 다른 소형어류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낮은 인푸조리아를 먹으면 굶어 죽습니다.무조건 담수로티퍼+클로렐라 조합으로 살려야 합니다.하루라도 공급이 부족하면 그 데미지로 몇몇 개체들이 죽기 시작합니다.매일 4~5번씩 로티퍼를 공급합니다.4일 정도 더 지나면 3~4mm정도 됩니다.아직 크기는 작지만, 입이 성어처럼 크게 발달하기 때문에, 브라인쉬림프를 급여할 수 있게 됩니다.이때부터 로티퍼로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브라인으로 먹이를 바꾸고 하루 3번 급여했습니다.부화 후 11일 차.브라인을 먹이고 성장이 빨라집니다.부화 후 20일 차.올챙이 같았던 지느러미가 거의 분화되어, 자리를 잡기 시작합니다.25일 차.30일 정도 된 모습입니다.이때부터 브라인 공급을 끊고 실지렁이 공급을 해줍니다.현재 43일 차입니다.사진은 그것보다 더 전에 찍은 건데,스트레스와 빛에 민감해서 최근에 잡고 찍은 사진이 없습니다.다산하는 종이라 생존률이 낮을줄 알았는데 생존률도 60%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이전에도 위치마니 마우스 올마이티 번식기를 여기에 올렸었는데1년도 안 지나서 또 다시 최초번식을 성공해서 소식을 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 물고기 번식은 전혀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많은 분들이 도전 하신다면 좋겠네요.
작성자 : 고라니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