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블랙 서바이벌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블랙 서바이벌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우리 일상속에 자리잡은 성차별적인 언어들 ㅇㅇ
- 중국의 치욕 정강의 변과 송나라 공주들의 운명 ㅇㅇ
- 한국에서 몇년간에 걸쳐 이미지 탈바꿈하고 있는 지역 갑.jpg ㅇㅇ
- 뉴비 XA작례 (23 pics) 티어링
- 얼탱얼탱 아내의 불륜 상대...manhwa Keru
- 뉴진스 판결문에 민희진 새카톡 등장 걸갤러
- 싱글벙글 2025년 한국인 스포츠 선수들 연봉 순위 ㅇㅇ
- 결정사 남자는 가입비 공짜. 하도 남자들이 가입을 안하니 주갤러
- [단독] 중국 명예훼손하면 한국인이 징역 5년…민주당 中 심기경호법 ㅇㅇ
- 인류의 평균수명을 20년 연장시킨 발명품 ㅇㅇ
- 펌) 후덜덜한 자식 야구 시키는데 드는 비용 ㅇㅇ
- 美 투자 200억달러 재원 마련 '비상'…한은 외환운용 65억달 Panamera
- 안싱글벙글 여친 연락 안받으면 생기는 일 ㅇㅇ
- 유부녀 연예인 유튜브 리즈시절 모음....jpg ㅇㅇ
- 11월의 화담숲.webp dbget
90년대 마초 1황 국산차를 알아보자
안녕 최연소다오늘 알아볼 알아보자 시리즈는 바로 레토나 이전 국내 최초의 마초 1황 국산차를 소개하려 한다참고로 예전에 한국애니 관련 글 올렸다가 실베에서 욕 드럽게 쳐먹어서 말하는건데내 기준으로 마초 1황이라는 거다취향존중 좀 하자 이 ship shake it들아바로 시작하도록 하겠다1983년 당시 땅1크양반의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 (차량 생산 규제) 가 발효중일 때한국기계 지상전에서 아주 마초스러운 아시아자동차의 컨셉트카가 공개된다그 컨셉트카의 이름은 랜드마스터 (land master)라는 아주 마1초스러운 이름으로이렇게 생겼다당시 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아시아자동차가 생산중이던 군용 지프 K-111을 개조한 컨셉트카였으며 이때부터 양산 계획은 있었다그러나 땅크양반이 이를 가만히 둘 리 없었고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에 막혀 결국 제동이 걸린다그뒤로 땅크양반의 압력 속에 조용히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1988년에 다카르 랠리에 참여할 랜드마스터 523번 랠리카와 525번 랠리카가 참여 절차를 밟게 된다 (다큐로도 나왔는데 지금 볼수있는지는 ㅁ?ㄹ)이때부터 디자인도 조잡한 디자인에서 정통 지프형으로 변경된다그렇게 엘리트 드라이버들의 운전 하에 523번과 525번은 다카르 랠리에서 524번 도요타 랜드크루저 (KBS 다큐 쵤영팀의 차량) 과 함께 총 3대가 출발한다.하지만 둘 다 탈락함 (탈락 후 완주)어쨌든 극한의 끝을 달리는 다카르 랠리에서 살아남았다는 것만으로도 국1뽕이 차오르게 한다.기념촬영도 ㅋㅋㅋ그렇게 조용히 2년이 흐르고 드디어 랜드마스터 컨셉트카를 향한 로-력이 결실을 맺었다신차의 명칭은 록스타 (Republic of korea - ROK+STAR 합쳐서 록스타)코란도의 첫 적수가 등장한 것이다.개인적으로 코란도보다 디자인 완성도가 높고 정통 짚차 디자인과 투박함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 훌륭한 디자인이라 본다하지만 곧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했는데1. 심장병당시 록스타에는 기아 베스타의 마즈다 R형 디젤 엔진, 콩코드의 EGi 가솔린 엔진이 달렸는데바로 시간이 지나며 디젤 엔진이 문제를 일으킨 것엔진 헤드 실린더 설계가 미진하여 과열로 헤드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이 속출하였는데이는 특히 쏘고 다니는 차 (RPM 과다) 에서 더욱 두드러졌다이 현상을 그냥 놔두면 화재까지 일으킬 수 있는 결함이지만재생하는 비용이 매우 싼 데다가 자주 예방 정비, 엔진을 잘 식혀주면 문제가 없었고당시에는 엔진 내구성 문제는 결함으로 취급하지 않던 시절이어서 딱히 큰 문제는 없었을듯 하다하지만 차량 내구성에도 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다2. 승차감태생이 군용 지프이다 보니 승차감이 군용차 수준이다.운전병 출신이 아니고서야장거리 운행은 안하는 게 좋다는 말도 있다.3. 싼티남디자인이 너무 미와는 동떨어진 마초디자인임4. 비 인체공학적 설계아까 말한 승차감과 더불어 무파워 핸들로 운전할 시 조향하기가 겁나 빡셌고실내 공간도 좁고뒷좌석 벤치시트는 걍 ㅂㅅ이었다이런 문제 등으로 인해 록스타는 그리 좋은 차는 아니었지만마초적인 디자인과 동급 최고수준의 오프로드 돌파성능이 오프로드 전문가들에게 먹혀들어서 레토나 이후 뒤늦게 조명받은 차이다.이후 1992년 페이스리프트로 갤로퍼와 비슷한 분위기가 되었으며1998년 기아 레토나에게 바통터치를 했고2003년 레토나가 단종되며 컴팩트 suv 자리는 도심형 스포티지가 매꾸게 된다참고로 광주패밀리랜드라는 곳에서 록스타의 차대를 기반으로 한 선두차가 객차를 견인라는 형식의 디젤열차를 운행한다고 한다(타지인들은 잘 모르지만 광주인이라면 한번쯤 가봤을거다 ㅋ)아래는 과거에 타볼기회가 있어서 찍은 록스타 사진들이다
작성자 : 디시최연소고닉고정닉
보유중인 소니 네이티브 후기
오늘 연차라 심심해서 써봄설명 위에 사진은 작례도 있음음식사진이 9할이라 이해해주셈 귀찮아서 JPEG로 올린거라 열화 감안해주세요정품등록 순서대로 걍 주저리 써봄..1. RX1R3 : 풀프 경박단소로는 아무도 못 비빔. 하지만 떨방X, 고정 액정, 렌즈 10년 사골 이슈로 600따리는 아닌거 같음.그래도 데일리로 이만한 게 없음. 액정 구려서 화밸맞출때는 뷰파인더보고 맞춤. 크룩 FL2, FL3 가능2. A1M2 : 이것도 A1에서 옆글이라고 욕 많이 처먹음. 변한건 새로운 폼팩터로 그립, 커스텀키 하나 추가, 틸팅 스위블액정 이정도인데 여전히 액정 퀄리티는 개구데기. 하지만 최근에 4.,00 펌업으로 AF 성능 다시 부활하고 사진, 영상 전천후임. 액정 좋아졌다고 하지만, 자세히보면 픽셀수는 그대로인데 화면 크기를 늘려서 픽셀 튀는게 보임. 크룩 FL2, FL3 가능3. SEL2860 : 신번들은 신이야. 이 가격에 G렌즈급 해상력 뽑아줌, 크기도 G트리오 크기라서 씨투에 찰떡이고 가벼운 여행용으로 이만한 게 없음. 아쉬운건 최단초점거리가 다소 길다.4. A7C2 : 씨투는 신이야. 입문용 경박단소로 이만한게 있을까 싶음. 영상도 6K 오버샘플링이라 아왕투보다 좋음. 그리고 마크투로 오면서 다이얼 하나 더 생기고 답답함이 해소됨.여전히 뷰파나 액정은 구데기지만, 가볍고 이쁘기 때문에 용서됨. 밸런스 잘맞는 렌즈 추천하면 2070G, 2450G 탐론 2040, G트리오, 20G 이정도?5. A9M3 : 글로벌셔터가 취미러한테 유용하게 쓰일일이 있을까 싶은 사람 많을거임. 나는 한 해에 일본을 6번 넘게 놀러가는데 일본 노포는 플리커가 너무 심함. 아무리 아왕투가 플리커프리지만 완전한 플리커프리가 아니라서 노출이 뒤죽박죽될때가 많은데 아구막삼은 그딴거 없다. 진짜 용이하게 잘씀. 그래서 보통 일본으로 투바디갈때는실내용으로 아구막삼, 실외용으로 아왕막투로 많이 잘 썼다. 4K 120FPS 논크롭이라 슬로영상 만들기도 좋고 생각보다 빛을 못 발함. 글로벌 셔터 특성상 노이즈 많이 낀다고 하지만 우리는 결국 대형 화면이 아닌 모니터나 폰으로 보잖슴? 무튼 저평가된 바디다.6. 백사금 : 리뉴얼 루머가 들려오는데 솔직히 나는 이거 엠티가서 운동하거나 행사할때 정말 유용하게 쓴다. 해상력도 지금 수준으로서는 딱히 신경 쓰이지도 않음.그리고 특정한 상황에만 쓰는거라 사용 빈도는 적지만, 필요할때는 제 성능 뽑아줌. 물론 후속렌즈 나오면 고민 해볼만 함.7. 백마금 : 최근에 들여서 테스트해봤는데 해상력 압도적이긴 하더라. 아직 매크로촬영은 안해봤는데 집에서 음식사진 촬영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음.조리개는 한 4부터 원형보케 나와서 보케도 이쁘게 나옴. 8. 135금 : 플레나가 되고싶은... 조리개 3.5부터 원형보케로 이쁘게 빠짐. 해상력은 19년 당시 기준 원탑이었는데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방이 있음.50150금 들이고 잘 안쓰게 됨.9. 14금 : 2년전에 바르셀로나에서 쓰려고 삼. 최단초점도 짧고 풍경용으로 정말 잘 씀. 해상력 미침. 브이로그 영상용으로 화각도 적절함 (전자떨방 킬때)16G나오면서 잘 안쓰게 되긴 함.10. 1635금2 : 줌렌즈 중에 신인거 같음. 1635금1 썼을때도 미쳤다 싶었는데 금2는 이갈고 나온거 같음. 굉장히 가볍고 해상력도 좋고. 보케도 거슬리지 않고개인적으로 추천하는 줌렌즈임. 이거랑 50150금이면 종결 수준임11. 16G : 이거 나오고 14금 손이 안감. 해상력은 금렌즈급인데 경박단소이고 최단초점거리도 거의 코박을 정도 수준. 가격도 저렴해서 이건 꼭 추천함.12. 2070G : 이것도 G렌즈인데 해상력은 금계륵2랑 비슷함. 광각에서 왜곡도 있고 해상력이 아쉬운데 망원에서는 금계륵2 후둘겨 팸. 입문용으로 추천하는 렌즈 중에 하나. 여행용 종결13. 20G : 이것도 G렌즈에서 또라이급, 금렌즈급 해상력인데 왜곡 억제도 좋고 해상력이 또라이임 최단초점거리도 짧고 색수차도 거의 없는듯? 최대개방부터 미친화질임14. 2450G : 애정하는 렌즈 중 하나. 발매가가 분노를 치밀게 하는데 중고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어서 중고로 추천. 해상력은 금계륵2랑 비비는데 주변부가 좀 아쉽긴함.그래도 이만한 크기에 2.8조리개? 씨투랑 찰떡임. 경통이 망원에서 들어가 있어서 35~50 주력인 사람한테도 좋다.15. 금계륵2 : 이건 2870GM 들여도 포기못하는 렌즈임. 전천후라 특장점은 없는데 계륵이 왜 계륵인지 몸소 체험하게 해줌. 없으면 아쉬울거 같다.16. 24GM : 이것도 필구 렌즈중 하나다 중고로 잘 찾으면 70만원대에 구할 수 있음. 35GM이랑 같이 추천하는 단렌즈 중에 하나.17. 24G : G트리오 중 하나 최단초점거리 좀 멀고, 왜곡도 심함. 개인적으로 추천하지는 않으나, 40G의 무쌩긴 후드를 얘로 대체하면 좋음. 나에겐 그런 용도 같음.18 2870GM : F2 줌렌즈? 못 참는다. 이거 하나면 풍경, 스냅, 음식, 인물 다 해결됨. 다만, 광각에서 살짝 왜곡이 있고 보케 레몬보케가 좀 보임. 하지만 중앙부 해상력은 단렌즈랑 비빔. 확실히 금계륵2랑 차이 나긴함.19. 35GM : 단렌즈 중에 최고. 중고가도 100초반이면 구할 수 있어서 싸게 금단렌즈 찍먹 가능. 3사 통틀어서 남바완인걸로 앎.20. 35.8 : 경박단소 추구하면 이만한 렌즈도 없음. 전체적으로 삼오금에 밀리긴 하는데 삼오금의 존재를 모른다고 하면 35.8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퀄리티임.21. 400800G : 새찍, 인물 둘 다 써봤는데 해상력 고트임. 아쉬운건 200800이었으면 하는 마음이 자꾸 생김... 200800GM으로 나오지..22. 40G : 씨투단을 많이 양성한 40쥐, G트리오중에 가장 수요많고 중고가 60이면 구할 수 있어서 좋음. 해상력은 말할것도 없고 이만한 크기에서 이만한 퀄을 뽑아준다는게솔직히 놀랍긴 함. 많은 사람들이 렌즈캡으로 쓴다.23. 50150GM : 금유령2 이후에 이런 렌즈가 나올줄은 몰랐음... 인물용으로 종결이고 해상력은 줌렌즈중에서 최고아닌가 싶다. 여행갈때 항상 들고다니는 렌즈임.이거 들이고 금유령2를 잘 안쓰게됨. 아무래도 50MM 스타트가 메리트가 어마어마하다고봄. 최단초점거리도 짧은편. 돈만 있으면 이건 개추24. 50.4GM : 오이금이랑 고민 많이 해봤지만 경박단소를 추구하는 나는 오사금으로 갔다. 해상력은 오이금보다 좋게 평가되는 듯 함.최근에는 잘안쓰게됨 (왕계륵, 50150GM때문에)25. 55.8ZA : 광축 잘나간다고 하는데 나는 잘 모르겠음. 해상력하나는 일품임. 색수차랑 레몬보케가 좀 있는데 이거 하나 들여도 인물용으론 손색없을듯?조리개 최대개방도 선명해서 대충 최대개방으로 여자친구 찍어주면 좋아할 거임. 근데 최단초점거리는 다소 멀다. 중고가도 낮아서 찍먹 가능.26. 금유령2 : 금유령1도 써봤는데 2로 오면서 완성형에 갖춰진듯, 이너줌이라서 쓰기도 편하고 해상력은 금2 트리오에서 남바완이지 않나 싶네.50150GM나오면서 사용빈도가 현저히 줄긴 했음.27. 90마 : 백마나오면서 내칠 예정이지만, 나온지 10년된 렌즈 치곤 아직도 현역임. 작례보면 앎. 중고가 싸니까 찍먹 추천.28. SELP1635G : ZV-E1이랑 궁합이 좋은 경박단소 광각줌렌즈, 작은 크기지만 해상력 무시 못함. 작례보면 앎. 전동줌이라 편한것도 있지만 적응이 필요함. 29. ZV-E1 : 비운의 영상바디, 팔리지 않아서 귀속템이 되는 바디. 그래도 이 작은 크기에 4K 120FPS 논크롭이 되고 전자셔터만 있지만 전혀 문제 안되는 수준.커스텀키와 다이얼 부재로 조리개링 없는 렌즈사용하면 답답하긴 한데, 경박단소 풀프레임 영상바디로 이만한게 있을까 싶네. 작례보면 사진기로도 훌륭함.30. 바티스 25MM : 10년 넘은 렌즈라 정품등록 안했음. RAW 색감 찐득하고 생각보다 선명함. 이것도 은근 바디캡으로 많이 활용한듯. 지금은 매물이 거의 없어서 찾기 힘든데 추천할만한 렌즈. 최단초점거리도 짧음31. 28/2 : 이건... 너무 오래돼서 아쉬운 렌즈 28.8G 내주면 좋겠다.... 28mm 최애각인데 소니는 왜 안내줄까......결론 : 웬만한 소니렌즈는 안심하고 써도 된다. 특정렌즈만 뺴고..대충 이렇게 찌끄려봤는데 쓴 노력을 봐서라도 개추좀...
작성자 : 캐니소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