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비트코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이와중에 대장동 재판 근황 ㅇㅇ
- 털) 할로윈 보내는 미친 댕댕이 만와! #9 서코태쉬
- 미성년자 성매매 영포티의 최후 ㅇㅇ
- 법원 "이재명 성남시장, 대장동 유착 관계 몰랐던 것으로 보여 헬마존잘
- 야구단 10개에 은퇴 투어 돌았다는 레전드 야구선수.jpg ㅇㅇ
- 국정자원 화재 장애 시스템 복구율 90% 넘어서 ㅇㅇ
- 싱글벙글 나고야 KIM쓰렉
- 한국여자가 설명하는 표독한 표정의 이유.JPG ㅇㅇ
- 선수에게 심한 말이 많다…김서현 포옹해줘야" 김경문 일침 ㅇㅇ
- 美, 3500억 달러+α까지 요구…李 버티자 반전 일어닜다 ㅇㅇ
- 한국에서 말보다는 행동을 봐야 하는 이유.MANHWA 애니머니
- 젠슨황 뭐 발표하는듯 민민.
- 김연경 "나 배구 나쁘지않게 했다니까" ㅇㅇ
- (자료화면) LG 트윈스 2025 통합 우승.gif 개킹카
- 매미킴티비 오늘영상 마지막 김상욱 짠하네 유갤러
		유지비 차이 무려 '40배'…어떤 가습기가 경제적일까...jpg
		 금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어서 오세요. 지금 날이 굉장히 건조해지다 보니까 가습기를 찾는 분들이 많은데 가습기가 가격뿐만 아니라 유지비 차이도 굉장히 크다면서요?가습 방식에 따라서 1년 유지비가 많게는 40배가 넘어갔습니다.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서 판매 중인 가습기 13개 제품을 같은 조건에서 시험했는데요.일단, 제품 가격부터 보면 가장 저렴한 제품이 8만 원에 육박한 7만 9천900원이었고요.가장 비싼 게 149만 원으로 가장 비싼 제품 하나 살 돈으로 가장 싼 제품 18개를 넘게 살 수 있었습니다.여기에 유지비는 더 차이가 나죠.유지비라면 "필터값 정도 얘기하는 건가?"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소비자원은 전기요금에 정수 필터나 가습 필터 같은 교체비용까지 포함해 1년 유지·관리비로 계산했습니다.하루 8시간씩 6개월 사용을 가정한 계산입니다.이 기준으로 보니까 초음파식은 4천 원에서 6천 원대, 복합식은 많게는 18만 9천 원이 넘었습니다.이렇게 해서 아까 말한 40배가 차이가 나는 건데요.초음파식은 말 그대로 커피 한두 잔 값이면 1년을 쓰는 수준이었고요.가열식은 전기요금만으로도 7만 원에서 9만 원대 수준의 유지비가 드는 걸로 나옵니다.복합식과 기화식은 여기에 필터 교체비가 더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겉으로 보기에는 비슷비슷해 보이는 가습기이지만 제품 가격도, 유지비도 차이가 컸습니다.40배이면 차이가 굉장히 큰데, 이게 단순히 필터 교체 비용뿐만 아니라 전기료 자체도 차이가 이렇게 많이 난다는 거죠?유지비 차이의 핵심 3요소가 있는데요.전기 요금과 또 필터 교체비, 또 여기에 가습 효율까지 더해졌습니다.전력 사용량 차이만으로도 유지비가 크게 벌어졌습니다.가열식은 물을 끓이는 구조라 전기요금이 많이 들었고요.초음파식은 물을 진동시켜 분무하는 방식이라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었습니다.여기에 필터 교체비 차이도 있었습니다.가열식과 초음파식은 별도 필터가 없지만, 기화식과 복합식은 공기를 필터로 통과시키는 구조라 정기적인 교체 비용이 들어갑니다.특히, 공기 청정 기능이 함께 있는 복합식 제품은 정수필터와 공기 청정 필터 두 가지를 모두 교체해야 합니다.이 두 가지 비용이 더해져 유지비가 가장 높았습니다.또 가습 효율 차이도 한몫했습니다.효율이 낮은 제품은 같은 습도를 맞추려면 더 오래 켜야 해서 전기요금이 늘어납니다.시간당 가습량은 적게는 182㎖, 많게는 606㎖로 최대 3.3배 차이가 났는데요.가장 적은 제품은 한경희 생활과학 제품, 가장 많은 제품은 LG전자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지금 한 기자 설명만 들으면 초음파식을 선택하는 게 가장 싼 것 같은데, 그러면 이 초음파식 고르는 게 합리적인 선택일까요?유지비는 가장 적어서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위생 관리적인 면에서는 가장 까다롭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초음파식은 물을 끓이지 않고 분무하기 때문에 물통에 물이 남아 있거나 닦지 않으면 세균뿐 아니라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서 그게 그대로 공기 중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소비자원은 '물통은 하루 한 번 세척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완전히 건조하라'고 권고했습니다.특히, 아기방이나 침실처럼 오랜 시간 사용하는 공간은 청소 주기를 더 자주 가져가야 합니다.가열식은 물이 99도까지 끓기 때문에 위생 걱정은 덜하지만, 뜨거운 증기로 인한 화상 위험이 있으니까요.어린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집은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두는 게 안전합니다.복합식은 두 방식을 섞은 구조로, 전기요금과 필터비가 모두 들어가 유지비가 가장 높았습니다.소음 차이도 컸습니다.초음파식은 37~43데시벨로 가장 조용했는데, 이게 어느 정도냐면 작은 선풍기 수준이었고요.기화식은 최대 62데시벨로 가장 컸는데, 참고로 드럼세탁기가 69데시벨 수준입니다.기화식은 소음뿐 아니라 필터가 젖은 상태로 오래 있으면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와 세척이 필요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