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바람의 나라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바람의 나라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중국 해설진 클로징멘트 ㅇㅇ
- 버튜버 굿즈 직거래 참교육 ㅇㅇ
- 답답텁텁 잠수함 승조원의 생활 nigger892
- 싱글벙글 유독 사치부리는걸 싫어한다는 오타니 가족들 ㅇㅇ
- [단독] “조선족 판매책들이 한국에 마약 대량 유통" 부갤러
- 싱글벙글 우연히 아이돌 만나도 사진요청 하면 안되는 이유 ㅇㅇ
- MBC 근황..jpg ㅇㅇ
- 쿠팡 배송기사 사망 아갤러
- 빼빼로데이를 맞이하여 레제에게 빼빼로를 만들어줘 보았다 ㅇㅇ
- 한국게임이 중국에서 벌어들이는 수익....JPG ㅇㅇ
- 우리동네 당근에 ㄹㅈㄷ 알바 떴다 ㅇㅇ
- [오피셜] 국힘 의원 "100만원이 무슨 뇌물이냐" 엄마부대
- "몸 팔아서 돈 갚아" 투자회사 임원 피고소 야갤러
- 커뮤에서 논쟁중인 남친한테 한우사준 여자.jpg 갓럭키
- 대럼프, 중국의 다카이치 망언에 관해 질문받자 "中보다 동맹이 더 나빠" NMH-523
미 상원 셧다운 최종 종료 법안 통과
- 관련게시물 : 속보) 미국 셧다운 종료나거한 뉴스보다 빠른 속보- 미 상원, 셧다운 종료 및 연방정부 자금 지원 법안 통과[GPT]미 상원, 셧다운 종료 및 연방정부 자금 지원 법안 통과1. 미국 상원이 과반 찬성으로 연방정부 자금 지원 및 셧다운 종료 법안을 통과시킴.2. 법안에는 2026년 1월 말까지의 연방 자금 지원과 공공 임금 지급 조항이 포함됨.3. 셧다운 리스크 완화로 미국 증시 심리 회복이 기대되며, 단기적으로 달러 약세와 금리 상승 가능성이 제기됨.핵심요약: 미 상원이 셧다운 종료 및 정부 재개 법안을 통과시켜 재정 불확실성이 완화됨.[제미니]핵심요약: 미국 상원의 과반수가 연방 정부 자금 지원 및 셧다운 종료 법안 통과에 찬성표를 던짐에 따라 미국 증시와 위험자산 심리가 회복되고 단기적으로 달러 약세와 금리 상승 가능성이 전망됩니다.- dc official App- 미 상원, 셧다운 종료 합의안 통과…41일 만에 정부 정상화 임박[GPT] 미 상원, 셧다운 종료 합의안 통과…41일 만에 정부 정상화 임박 1. 미 상원이 41일간 이어진 정부 셧다운을 종료하기 위한 임시 예산안을 60대 40으로 통과시킴. 2. 법안은 대부분 정부 기관에 1월 30일까지, 일부 기관에는 9월 30일까지 자금을 지원하며 연방 공무원에게 체불 급여를 지급함. 3. 오바마케어 보조금 갱신 요구는 제외돼 진보 진영이 반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양당 지도부는 법안에 지지를 표명함. 핵심요약: 미 상원이 41일간의 셧다운을 끝내는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켜 정부 정상화가 임박함. [제미니] 핵심요약: 미국 상원이 41일간 지속된 연방정부의 업무정지 사태를 종료하기 위해 일시적 예산안을 60대 40으로 통과시켰으며, 하원 승인 후 연방 공무원들의 밀린 임금 지급과 내년 1월 말 및 9월 말까지의 정부기관 자금 지원이 이루어지나, 건강보험개혁법 보조금 갱신 요구는 제외되어 진보 진영의 반발이 있습니다. - dc official App- 미국 셧다운 종료 상원 통과ㄷㄷ 하원으로 송부하원은 걍 프리패스겠지 - 트럼프 대통령 “셧다운 대치에서 공화당이 슈머를 꺾었다”[GPT] 트럼프 대통령 “셧다운 대치에서 공화당이 슈머를 꺾었다” 1.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가 공화당을 압박하려 했지만 오히려 패했다고 언급함. 2. 그는 “우리는 좋은 정책을 갖고 있고, 그들은 나쁜 정책을 갖고 있다”고 주장함. 3. 슈머가 셧다운을 계속 원했다는 보도 이후 트럼프의 발언이 나온 것으로 전해짐. 핵심요약: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 협상에서 공화당이 승리했다며 슈머를 비판함. [제미니] 핵심요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방정부 업무정지 사태와 관련하여 공화당이 민주당 상원 대표인 척 슈머를 굴복시켰고, 공화당 정책이 더 강력하기 때문에 승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中회사 손실나면 우리 세금으로 보전? 철회도 못하는 불평등 협정
지난달 18일 첫 운항을 시작한 제주-중국 칭다오 화물선 1968년 제주항이 무역항으로 지정된 이후 처음 열린 국제 화물 항로임 하지만 화물선 운항 한 달도 안 돼 물동량 확보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음 해당 화물선의 적재 용량은 712TEU로, 6미터 길이의 컨테이너 712개를 실을 수 있음 첫 주 수입 38개, 수출 6개로 시작했지만 둘째 주 12개, 1개, 셋째 주엔 1개, 2개로 갈수록 줄어듦 주로 페트칩과 어망, 석재 등이 수입됐고, 가공식품과 냉동 고등어 등이 수출됐음 물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제주도는 협정에 따라 중국 선사 측에 손실 보전금을 지급해야 함 첫 지급일은 10일로, 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특히 제주도와 중국 선사 간 협정서를 보면, 사업 철회 권한이 제주도가 아닌 중국 선사 측에만 있는 것으로 돼 있음 제주도 입장에선 협정 구조가 불평등할 수 있는 것 제주도는 물동량 확보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지만, 단기간 내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함 댓글든 반응처럼 진짜 어이가 없을 수밖에 없는 상황 자 그래서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어떤 사람인가 ... 진짜 섬이라고 가만 놔뒀더니 장난하나 당장 제주도 자치권 회수하고 중앙 정부가 직접 관리해야한다고 봄 강원도랑 전라북도도 움직임이 심상치 않던데 그냥 특별자치도라는 걸 없애는 게 맞는 것 같음 특별자치도도 아닌 이런 기초자치단체까지 말같지도 않은 짓을 하며 설쳐대는데 그보다 훨씬 더 많은 권한을 준 특별자치도가 개지랄 하는 거도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지 이참에 헛짓거리하는 지자체들은 아예 박살을 내버리고 권한을 축소시키는 게 맞을듯
작성자 : 난징대파티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