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신규 사서교사 1년차입니다.

ㅇㅇ(1.251) 2022.07.26 14:57:15
조회 2990 추천 22 댓글 61

 우연히 사서교사 단톡방에 올해 임용 가티오 0명이라고 하는 걸 보고

검색 좀 해보다가 여기를 발견했는데,

뭔가 비교과나 그런 논란들이 많은 것 같아서... 

일단 방금 잠깐 눈에 띈 몇 개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수업은 하나요?

→ 일단 현재 저는 중학교입니다.

자유학기제 진로수업 2시간, 동아리 1시간 + 도서관 이용교육 전학년 정도 했고 2학기도 마찬가지일 예정입니다.

저는 아직 계획 중에 있지만 보통은 저기서 도서관 협력수업으로 전 교과 선생님들 신청을 학기 초에 받아서

정규 수업 시수를 배당 받는 것 보다 협력수업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케이스가 무수히 많지만 예를 들면 학기에 수업이 총 18차시인데 그중에 4차시 정도를 협력수업으로 계획하시고, 그런 신청을 2 ~ 3개 교과랑 진행하는 것 같아요

  프로젝트 수업 등의 형태로 첫 시간에 교과 선생님이 관련 교과 내용을 설명하시면 이후에 계획에 따라 관련 책이나 온라인 자료를 수집 관리 선정 정리 발표 등을

  수업하고 활동 하는 부분을 하게 됩니다. 대학생이 조별과제하는 것을 상상하시면 비슷할 것 같습니다.

  물론 교사 분 마다 하시는 형태나 진행하는 협력 수업의 수 등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모두 이렇다고 이야기 할 순 없습니다.

  일단 수업을 하게 되면 어떠한 커리큘럼을 타는 것이 아니므로 수업 전체를 계획해서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떠한 이론을 전달하는 것 보다 활동이나

  실생활에 관련된 경우가 많아서 더욱 다양한 형태를 띄게 됩니다.)

* 담임과 방과 후 수업은 가능합니다. 

실제로 담임도 하시는 분도 꽤 계시지만, 아무래도 도서관과 학급을 동시에 맡기에는 두 파트 모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하지는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방과후수업은 저는 독서논술수업을 개설하고자 했으나 요즘 아이들이 학원이나 여러 이유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인원은 적었습니다. 같은 교무실 선생님들께서도 방과후를 개설하고자 신청하신 분이 계셨지만 대부분 개설하진 못하셨습니다. 다만, 교육청에서 내려오는 기초학력미달 방과후수업은 개설하고 참여하게 해야 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업이 많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 업무분장은 저는 현재 수업 외엔 도서관, 교과서, 장학, 소식지 정도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신규다보니 이러한 일들도 벅차게 하고 있지만, 다른 선생님들 말씀으로는 그래도 신규라서 적게 배정해둔 편이라고 하셨습니다. 내년에는 더 많아질 것 같습니다...ㅠㅠ

* 이외에  학교 일들

학교 친목회 총무(막내라서 그런 것 같아요...), 교원 동아리 2개 정도, 교육청 거꾸로 멘토링 멘토, 해당 지역 내 사서교사 미배치 학교도서관 현장 지원(저는 8번 정도?), 장서 선정 구비, 교육청 프로그램 학생 책 출판(교육장 인증 프로그램, 전교생), 기타 여러 행사나 프로그램 등 학기 중에 진행되는 프로그램들은 저희 부서가 아니더라도 맡게 되는 경우도 좀 있습니다(저는 지금 교무부입니다). 학교 행사 시 참가하고 인솔지도 모두 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상황 때문에 수업 보강이나 종 조례를 상대적으로 많이 맡고 있습니다. 코로나 뿐이 아니더라도 연수나 기타 사유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합니다. 생기부 역시 수업을 들어가기 때문에 작성하고 있습니다.


- 우선 대부분의 학교에 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선생님들이 잘 모르시는 경우도 많고, 또한 명확하게 이렇게 해야한다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인 차가 많이 생기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렇다 보니 한다면 정말 무수한 많은 일들을 할 수 있고,,, 안 하고자 하면 정말 하는 일 없이 갈 수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당장에 도서관 행사만 하더라도 사서교사 재량에 대부분이 달려있습니다. 가볍게 행사를 하고 지나갈 수도 있고 행사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크게 벌리면 계획, 예산, 진행, 관리, 정리까지 한번만 해도 보통 일이 아니기 때문에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심지어는 행사의 횟수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더욱 그렇죠. 적어도 일 년에 4번 정도는 하시는데 전교생과 교원들 모두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저는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참여를 유도하는 일부터 시작하여 혼자서 행사의 과정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고민이 많았습니다. 수업도 위의 설명처럼 사서교사의 재량에 달려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찬가지입니다.


교육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현재 제가 관심을 많이 두고 있는 부분은 일단 문해력 (문자를 많이 접하지 않기 때문에 가볍게라도 접근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그리고 정보활용능력과 미디어 리터러시 (현재 강조되고 더욱 중요해지는 부분입니다.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고 특정 주제나 교과와 연결 시켜 학습활동을 진행하며 어떠한 과제나 문제에 대해서 올바른 정보를 활용하고 나아가서 평생학습의 기반을 이룰 수 있게 스스로 혼자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 현재는 동아리를 매체활용반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희 과의 반은 사실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관련입니다. 단순히 도서관에서 책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옛날의 이야기이고 실제로 많은 분야와 기업에서 이러한 부분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현장에서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냥 책만 읽게 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매체를 접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서관 장소에 대해 현재는 그냥 도서관이 아닌 일종의 문화센터 처럼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가볍게 여가를 즐기는 것도 매우 필요한 부분이고, 학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원으로써의 역할, 때로는 편하게 쉬어갈 수 있는 공간, 여러가지 행사가 진행되어 책을 읽을 기회를 만들 수 있는 공간, 책 뿐만 아니라 인터넷 자료 영상 여러가지 문화적 요소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등 여러가지 요구에 맞추기 위해 도서관을 운영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발령이 잘 된 경우이고 보통은 도서관 자체가 잘 활용되지 않아 정비, 리모델링, 점검부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공사들이 진행된다면 1~2년 간 다른 활동을 하기가 어렵고, 정비를 한 후에도 2년 뒤 다른 학교로 발령을 받아 다시 책정리, 리모델링부터 하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사서교사의 인원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가 사실 대부분입니다. 사서교사가 떠나면 학교도서관이 또 유명무실해지는 경우가 많고 이런 도서관의 경우 다시 배치가 되었을 때 수많은 손길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혼자서 수백 수천명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을 계획부터 예산, 직접 정리 하고 관리 하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교육적인 부분과 많은 수업 기회를 원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현실적으로 여건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일이나 어느 자리를 하더라도 자신의 업무나 해야 할 일들을 물어본다면 얼마나 할 일이 많고 힘든 지는 무수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의 모든 일들을 다 이야기 할 수도 없을 뿐더러, 제 힘듦을 토로하는 것은 아닙니다.

교과 선생님들에 비해 어떤 부분의 일이나 역할은 적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 일에 대해서 필요성을 느끼고 있고, 저만의 교육관을 가지고 아이들의 성장을 이끌어 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어떤 단면이나 일부를 보고 일반화 하는 것을 옳지 않습니다. 어떠한 프레임을 가지고 그 전체를 재단하기 보다는 상대의 생각관과 노력 등을 봐주신다면 더욱 그 상대를 집단을 나아가 사회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이야기해봅니다.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0

13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해커스공무원 전국투어설명회!교재4권 전원증정 운영자 24/06/24 - -
25814 내 공익(사회복무요원) 근무지에 역사임용준비생 썰 [3] 보라매공원(1.227) 22.08.11 810 7
25811 교과 비교과 싸울 이유가 없는게 [7] ㅇㅇ(14.56) 22.08.11 798 8
25810 공부 계속 오래하면 [2] ㅇㅇ(175.223) 22.08.11 336 3
25809 국어 임용 노베이스인데 뭐부터 해야되냐 lillikkllil(220.72) 22.08.11 250 0
25808 사실 임용준비하는 사람이 또라이라기보다는 ㅇㅇ(211.36) 22.08.11 199 3
25806 초등교사가 컨닝이력 있으면 문제되냐? ㅇㅇ(14.7) 22.08.11 155 0
25805 임고갤 패턴 [10] ㅇㅇ(221.141) 22.08.11 337 5
25802 임용이 9급보다 어려운 건 팩트맞음 [5] ㅇㅇ(211.36) 22.08.11 742 7
25801 사립 위탁 1차 어떻게 준비하면 되냐 [3] lillikkllil(220.72) 22.08.11 302 0
25799 왜 급식들은 선택과목으로 역사를 안 하는걸까 [10] ㅇㅇ(223.38) 22.08.11 383 0
25797 교과든 비교과든 장점 [6] ㅇㅇ(175.113) 22.08.11 569 10
25796 교원대가 임용합격률이 높은 이유가 뭘까요 ? [9] ㅇㅇ(175.223) 22.08.11 1025 8
25795 임용 난이도는 잘쳐줘바야 7급이지ㅋㅋ [16] ㅇㅇ(175.223) 22.08.11 632 2
25792 문과면 사범대 가성비 존나 좋은편임 [10] ㅇㅇ(118.235) 22.08.11 855 6
25790 교사 5년동안 7만명 뽑는건 부정하네 병신들 [6] ㅇㅇ(121.151) 22.08.11 501 1
25789 교사는 5년동안 공급막아놓고 7만명 뽑으니까 개이득이네? [4] ㅇㅇ(121.151) 22.08.11 392 1
25786 2022 부산대 수시 등급 [1] ㅇㅅㅇ(106.102) 22.08.11 254 0
25785 자꾸 국영수역 들먹이면서 그거빼고는 개꿀이라고 하는데 [2] ㅇㅇ(211.36) 22.08.11 220 0
25784 임용이 쉽지 않은 이유에 모집인원도 한몫함 [9] ㅇㅇ(183.109) 22.08.11 369 2
25782 임용이 객관적으로 쉽지는 않지 [12] ㅇㅇ(183.109) 22.08.11 502 1
25781 국영수랑 이제 역사랑 같이 밥 못먹어 같이 수저질 ㄴ [1] ㅇㅇ(115.23) 22.08.11 228 3
25780 국영수역 말고는 임용 개꿀인데 올려치기 미치네 ㅋㅋㅋㅋ [2] ㅇㅇ(222.104) 22.08.11 342 0
25779 비교과가 학생 운운하는게 [1] ㅇㅇ(39.7) 22.08.11 390 8
25775 비교과가 왜 교사인지 설명하는건 중요하다 [23] ㅇㅇ(39.7) 22.08.11 790 16
25773 교사의 장점은 수준높은 사람과 일한다는 거지 [3] ㅇㅇ(124.54) 22.08.11 289 1
25772 수학은 지금부터 하면 과락 넘기기 가능한가요? [3] ㅇㅇ(1.240) 22.08.11 318 0
25770 유독 교사쉑들이 다른 직업하면 돈 잘벌었을거라 착각하는 녀석많네 [23] ㅇㅇ(223.62) 22.08.10 1033 11
25767 수업과 평가를 안하는게 교사인가요? [5] ㅇㅇ(115.139) 22.08.10 269 3
25766 비교과교사 vs 교과교사 [2] ㅇㅇ(175.113) 22.08.10 783 11
25761 요즘 교육학 죄다 ㄱㅈㅅ만 듣나보네ㅋㅋㅋㅋ [7] ㅇㅇ(121.179) 22.08.10 1021 0
25760 교육의 내실화 뒤에 뭐가 더 매끄러워?? [7] ㅇㅇ(183.78) 22.08.10 177 0
25758 뉴비 크리때메 자꾸 에픽막혀서 투쟁의탑 해줄분 [1] ㅇㅇ(61.254) 22.08.10 70 0
25757 임용볼때 병적증명서 필요함? [2] ㅇㅇ(219.249) 22.08.10 287 0
25756 교육학 논술 쓸때 본론에 형식적 개괄적인 문장 [13] ㅇㅇ(223.39) 22.08.10 429 0
25753 수학 임용 합격 난이도에 대한 이야기 [8] ㅇㅇ(121.169) 22.08.10 2047 8
25752 솔직히 멀리서 보든 가까이서 보든 교사직업은 [24] ㅇㅇ(61.254) 22.08.10 583 1
25751 임고경쟁률은 결국 자격증을 얼마나 뿌리느냐에 달린거지 [4] ㅇㅇ(211.36) 22.08.10 362 3
25749 결혼이 아닌 이혼에 대한 고찰 [1] 컄ㅋㅋ(223.33) 22.08.10 260 0
25748 학생들을 아끼는 마음은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 걸까?? [18] ㅇㅇ(115.160) 22.08.10 400 1
25747 충남대 기술교 vs 공주대 기가교 [11] ㅇㅇ(106.102) 22.08.10 459 1
25745 교육쪽 진로 반드시 고려해야할 학과. 성향 알려준다 [3] ㅇㅇ(223.39) 22.08.09 994 4
25744 대기업 못갈거같은데 임용이나 기간제라도 해서 교사 타이틀 얻는게 [3] ㅇㅇ(1.236) 22.08.09 360 1
25743 학벌논란 씹ㅋㅋㅋㅋ [1] ㅇㅇ(223.33) 22.08.09 251 0
25742 선생들 발작버튼 맞음ㅋ? [13] ㅇㅇ(222.96) 22.08.09 605 0
25738 좆반고 수학쌤과 강밑철의 공통점 ㅇㅇ(118.35) 22.08.09 264 2
25737 학벌논란 종결 내준다 [3] ㅇㅇ(222.104) 22.08.09 491 3
25736 국영수역 임용 vs 스카이 정시 [15] ㅇㅇ(118.235) 22.08.09 445 1
25734 학벌운운하는새끼들 현직아니거나 주변에 교사없을확률 매우높음 [1] ㅇㅇ(218.237) 22.08.09 183 0
25733 자가진단앱 이거 무슨 의미가 있길래 방학부터 시키냐 [4] ㅇㅇ(223.33) 22.08.09 196 0
25732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ㅇㅇ(222.105) 22.08.09 277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