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논문으로 라디오를 만들 예정이다

ㅇㅇ(125.178) 2018.08.09 20:21:41
조회 171 추천 0 댓글 0

재난방송 수신을 위한 스마트폰 FM 라디오 수신 칩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FM Radio Receive Chip in Smartphone for Disaster Broadcast Reception
저자
신진식[ Jin-Sik Shin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봉상일[ Sang-Il Bong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최성진[ Seong-Jhin Choi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IT미디어공학과 교수 ]
키워드
Natural Disasters, Disaster Broadcast System, Disaster Relay Broadcasting, Smartphone FM Radio Receiver Chip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국내 재난방송의 정의 및 현황
  2. 재난방송 실시 체계
  3. 재난방송 시스템
  4. 재난방송 수신환경 실태
III. 재난방송의 역할 및 한계 분석
  1. TV방송의 재난방송 역할 및 한계
  2. 지상파DMB의 재난방송 역할 및 한계
  3. 라디오방송의 재난방송 역할 및 한계
  4. 스마트폰의 재난방송 역할 및 한계
IV. 활성화를 위한 분야별 개선 방안
  1. 조사대상 및 방법
  2.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목차전체보기+
한글초록
지진, 태풍, 호우 등 갑작스런 자연재해는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기 때문에 정부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상황을 전파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방송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내장된 FM 라디오 수신 칩을 활성화하기 위한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는 국내 재난방송 체계와 매체별 재난방송 역할 및 한계를 분석하였고, 둘째는 스마트폰의 FM 라디오 수신 칩 활성화를 위한 분야별 개선 방안을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초록전체보기+
영문초록
Sudde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heavy rainfall, etc., which come without warning, often threaten our lives and property, so it is important to spread the disaster quickly and accurately. Thu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the activating of FM radio receiver chip embedded in smartphone to receive disaster broadcasting in case of disaster. One is to investigate the roles and limits in a domestic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and disaster relay broadcasting by media, and the other is to present the method for the activation of smartphone FM radio receiver chip by conduct an expert survey.
초록전체보기+
간 행 물 명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발행기관명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The Korea Society of Satellite Technology]
간         기 : 계간
I   S   S  N : 2384-3853
수 록 기 간 : 2006~2017
주 제 분 류 : 공학 > 항공우주공학
십 진 분 류 : KDC 558      DDC 629.4


|Session Ⅰ: 공간정보, 좌장 : 한동수 (한국과학기술원)|
Wi-Fi 기반 실내 측위를 위한 QR코드를 활용한 라디오 맵 구성
Radio Map Construction Using QR Codes for Wi-Fi Based Indoor Localization
저자
이민규[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
성락민[ 카이스트 전산학과, 학생 ]
한동수[ 카이스트 전산학과, 교수 ]
키워드
Wi-Fi, 측위, 크라우드 소싱, QR코드, 전파지도, 라디오 맵, Wi-Fi지문
목차
I. 소개
II. 설계 목표
III. 시스템 구조
  1. Client
  2. Contribution Server
  3. Location Server
IV. 평가와 결론
참고문헌
목차전체보기+
간 행 물 명 : 한국ITS학회 학술대회
발행기관명 : 한국ITS학회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간         기 : 연간
I   S   S  N :
수 록 기 간 : 2002~2018
주 제 분 류 : 공학 > 교통공학
십 진 분 류 : KDC 534.04      DDC 625


4G 휴대 단말기 송신에 의한 오디오 잡음 영향
The Noise Influence of 4G Mobile Transmitter on Audio Devices
저자
윤혜주[ Hye-ju Yun | 공주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과 ]
이일규[ Il-kyoo Lee | 공주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부, 정회원 ]
키워드
LTE UE, Audio device, Interference, Audio noise.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LTE 단말기 송신 신호 특성
III. 음향기기의 잡음 측정
IV. 결론
참고문헌
목차전체보기+
한글초록
본 논문은 4세대 이동통신인 Long Term Evolution (LTE) 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간섭 신호가 음향기기에 유입되었을 때 음향기기의 잡음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LTE 송신 신호에 대한 분석 및 측정을 바탕으로 음향기기에 간섭을 주는 LTE 간섭 신호는 송신 전력의 크기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LTE 단말기의 송신전력 및 단말기와 음향기기간의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발생 하는 음향기기의 잡음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LTE 단말기가 최대 전력(22 dBm)을 송신하더라도 단말기와 음향기기의 거리를 25 cm 이상 이격시킴으로써 음향기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방지할 수 있었다.
초록전체보기+
영문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interfering audio noise caused by LTE(Long Term Evolution) UE(User Equipment) which is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on audio devices. At first, we realized that the interfering signal of the LTE UE is determined by the transmit power of the LTE UE through analysis and measurement. Then, we performed to measure audio noise level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ransmitting power level an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TE UE and an audio device. As a result, it is required that minimum separation distance should be 25 cm and above in order to protect audio device from the interference noise of the LTE UE with the maximum transmit power level of 22 dBm.
초록전체보기+
간 행 물 명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발행기관명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The Korea Society of Satellite Technology]
간         기 : 계간
I   S   S  N : 2384-3853
수 록 기 간 : 2006~2017
주 제 분 류 : 공학 > 항공우주공학
십 진 분 류 : KDC 558      DDC 629.4


|SESSION 6 : 디지털콘텐츠|
영상 및 음향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측정 고찰
Exploration of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visual and acoustic signals
저자
김영철[ Young-Chul Kim | ICT폴리텍대학 방송통신설비과 교수 ]
이문희[ Moon-Hee Lee | (주)엠플로, (주)엠시스 대표 ]
키워드
broadcasting, vectorscope, waveform, VR
목차
Abstract
I. 서 론
II. 방송의 신호품질 측정
  1.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2. 신호의 측정
III. 신호계측을 위한 조건
IV. 기술적 충족 요건
V. 결 론
참고문헌
목차전체보기+
영문초록
As analog broadcasting is converted to the digital broadcasting is a situation that is utilized as a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Recently, however,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personal broadcasting and 3D, VR has yet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to have as at is factory quality. That is, if utilized as broadcasting in the future seems to require a worry for quality measurement.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factors needed to obtain the same quality as the broadcast to the emergence of a new media broadcasting. As a result, this has been demonstrated UHDTV broadcast. Therefore it seems to be contemplating a new quality standard in the broadcast media.
초록전체보기+
간 행 물 명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발행기관명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간         기 : 연간
I   S   S  N :
수 록 기 간 : 2002~2017
주 제 분 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십 진 분 류 : KDC 567.9      DDC 621.38


|SESSION 6 : 디지털콘텐츠|
영상 및 음향 신호를 계측하기 위한 측정 고찰
Exploration of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visual and acoustic signals
저자
김영철[ Young-Chul Kim | ICT폴리텍대학 방송통신설비과 교수 ]
이문희[ Moon-Hee Lee | (주)엠플로, (주)엠시스 대표 ]
키워드
broadcasting, vectorscope, waveform, VR
목차
Abstract
I. 서 론
II. 방송의 신호품질 측정
  1.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2. 신호의 측정
III. 신호계측을 위한 조건
IV. 기술적 충족 요건
V. 결 론
참고문헌
목차전체보기+
영문초록
As analog broadcasting is converted to the digital broadcasting is a situation that is utilized as a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Recently, however,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personal broadcasting and 3D, VR has yet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to have as at is factory quality. That is, if utilized as broadcasting in the future seems to require a worry for quality measurement.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factors needed to obtain the same quality as the broadcast to the emergence of a new media broadcasting. As a result, this has been demonstrated UHDTV broadcast. Therefore it seems to be contemplating a new quality standard in the broadcast media.
초록전체보기+
간 행 물 명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발행기관명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간         기 : 연간
I   S   S  N :
수 록 기 간 : 2002~2017
주 제 분 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십 진 분 류 : KDC 567.9      DDC 621.38


이지혜,왕진수,김윤희,윤석호,송익호,Lee. Ji-Hye,Wang. Jin-Soo,Kim. Yun-Hee,Yoon. Seok-Ho,Song. Lick-Ho 저
관심자료   내보내기   URL 연결
이 자료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자료입니다.
국문초록
협대역 사용자와 주파수를 공유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기반 인지 라디오 시스템에서 기존 사용자에게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부분대역모드가 제안된 바 있다. 부분 대역모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 전체 대역을 여러 부대역으로 나눈 뒤 스펙트럼 센싱 결과에 따라 특정 부대역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부분대역모드 정보를 프리앰블로 전송할 때 검출오류확률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그 성능을 무선 지역망 환경에서 살펴본다. 그 결과 이론적으로 얻은 검출오류확률이 모의실험 결과와 잘 들어맞고, 신호대잡음비가 낮을 때 검출오류확률이 $10^{-3}$이하임을 볼 수 있었다.
영문초록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sharing the spectrum with narrow band primary devices, a fractional bandwidth (FBW) mode has been proposed recently to reduce the interference to the primary users. The FBW mode divides the total OFDM bandwidth into subbands and activates (or deactivates) a subset of the subb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pectrum sens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tection error probability of FBW mode information which is delivered by the sequence embedded in the preambl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in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environ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tection probability derived analytically estimates the actual value from simulation adequately and that a low detection error probability less than $10^{-3}$ is obtainedata low signal-to-noise power ratio.
키워드
Detection probabilityOFDMFractional bandwidth modeCognitive radioWRAN

이 논문이 수록된 권호 내 논문(111)
서지정보
발행기관한국통신학회학술지 정보한국통신학회논문지.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통신이론 및 시스템


무선 에지의 링크 오류율을 이용한 개선된 TCP 혼잡제어
오준석, 박탄세, 박창윤, 정충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한국정보과학회)> 16권7호 (2010), pp.794-798
PDF원문보기


ECN :
UCI :
키워드 : 무선 TCP, 무선 네트워크, 혼잡제어, Wireless TCP, Wireless Networks, Congestion Control
<한국어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무선 링크는 네트워크 에지에서 사용되고, NIC 드라이버가 무선 링크 오류율을 관찰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기존 TCP의 혼잡제어를 수정한 TCP-L(TCP Link Aware)을 제안한다. TCP-L은 무선 링크 오류율을 이용해 유선 링크의 혼잡 손실률을 예측하여 무선 링크에서 세그먼트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성능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험을 통해 무선 링크 오류율이 높은 환경에서 다른 무선 TCP 보다 높은 처리율을 보이면서도 다른 유선 TCP 소스와의 형평성을 유지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법은 세그먼트 손실이 많거나 전송 지연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무선 환경, 즉 802.11 ACK-less와 인지 라디오(Cognitive Radio)와 같은 무선 링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Assuming that a wireless link is mostly used at the network edge and the wireless NIC driver keeps monitoring the error rate of its link, this paper proposes an enhanced TCP congestion control, TCP-L (TCP Link-Aware). TCP-L predicts true congestion losses occurred inside the wired link area by utilizing the wireless link error rate. As a result, it mitigates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from TCP congestion control actions when segments losses occur in a wireless lin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CP-L provides better performance and fairness in lossy wireless links than existing TCP congestion control schemes. Our approach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link at TCP could be well adapted to new wireless environments such as Cognitive Radio and ACK-less IEEE 802.11, where a frame may be delivered with a very long delay or lost in the link.


쓸데없는 짓이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438521 흠 소주 3병 까고 정신 멀쩡 [1] ㅇㅇ(121.158) 18.09.07 55 0
438520 편돌이 오래하니 인간혐오가 증가한다 [7] 야옹쿠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404 7
438519 노트북 태블릿 뭘 선호해? [6] ㅁㅁ(211.36) 18.09.07 267 0
438517 애플펜슬 이 쓰레기같은건 왜 2세대가 안 나오냐 [3] ㅇㅇ(211.36) 18.09.07 244 0
438516 놋3쓰다가 갤텝s4 산건데 요즘 성능 느껴보고 깜놀함 ㄷㄷ [1] ㅇㅇ(175.115) 18.09.07 224 0
438514 미패드4 EU롬 떳다고 이걸로 옮길려고하는데 ㅇㅇ(14.55) 18.09.07 978 0
438512 머온화 센세 당신은 대체.... [1] 행펀나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07 0
438511 아패6세대 vs 갤탭s4 [5] ㅇㅇ(222.98) 18.09.07 321 0
438510 미디어패드 m3 별로야? [3] ㅁㅁ(211.36) 18.09.07 219 0
438509 칰 걸었는데 ㅠㅠ 김.굽.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46 0
438508 스냅 600대 박아주는건 샤오미밖에 없지? [4] ㅇㅇ(223.33) 18.09.07 238 0
438507 13일에 만난다 센버(121.131) 18.09.07 79 0
438505 스냅835 패드면 노트북으로 어느정도됨? ㅇㅇ(223.33) 18.09.07 96 0
438504 저렴하고 화면큰 태블릿 추천좀 [1] ㅇㅇ(58.140) 18.09.07 152 0
438502 야 근데 안드검사는 45fps고 아이폰은 60fps지? ㅇㅇ(14.39) 18.09.07 86 0
438501 안탭에 스냅 800대 박아주는건 삼성이 유일하냐? [2] ㅇㅇ(223.33) 18.09.07 203 0
438499 똥칰 어제랑 정 반대넼ㅋㅋㅋㅋㅋㅋㅋ 뭐하노 [1] 드렁큰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58 0
438494 9월에 프로3세대 안나오네 [1] ㅇㅇ(222.119) 18.09.07 222 0
438493 한국 여자들은 드라마작가들이 다 조졌지 [1] 행펀나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96 0
438492 갤탭4 벤치점수 너무한거 아니냐 [4] 행펀나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236 0
438491 5820 3년정도 써가는데 몇년더쓰려나 [2] 꼴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28 0
438490 갤탭4 ufs 아니엿으면 안삿음 [1] ㅇㅇ(223.39) 18.09.07 100 0
438489 개좆씹플워치 이번엔 lte 나옴? [1] ㅇㅇ(175.223) 18.09.07 60 0
438488 혼술 가즈아 [1] ㅇㅇ(175.223) 18.09.07 97 0
438487 80년대 출생한 여자들 가치관을 정립시킨 드라마 [2] ㅇㅇ(223.62) 18.09.07 196 0
438486 아마존이 또 폰 만든다는데 크로스로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96 0
438483 전자기기 갓성비라는 중소기업꺼나 중국제 안쓰는 이유 [1] ㅇㅇ(223.33) 18.09.07 110 0
438482 놋3 4년넘게 썼는데 번인 잘모르겠는데 ㅇㅇ(223.39) 18.09.07 74 0
438480 인텔이 망해가는 이유는 PC충 때문 야옹쿠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47 0
438479 근데 폰게임 할거 있긴하냐 [2] ㅇㅇ(1.226) 18.09.07 166 0
438478 스벅인데 [1] 드렁큰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21 0
438477 무명 걸그룹 몸매 수준ㅋㅋㅋㅋㅋㅋ.jpg 드렁큰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425 2
438476 미패드4 드뎌 eu롬 나왔네 [2] 12(39.7) 18.09.07 2098 0
438474 걍 6세대살까? 필기감 많이 안좋음? [6] 겨울꽃샘(211.36) 18.09.07 310 0
438473 요즘 게임패드 잘 나오누 [1] 김.굽.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236 0
438470 왜못찾노 시발련ㄴ아 P나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15 0
438469 이베이에서 아이패드 10.5 사려는데 겨울꽃샘(211.36) 18.09.07 117 0
438468 아이패드 10.5 파는사람 있냥? ㅇㅇ(218.159) 18.09.07 60 0
438467 파이어10 동 가격대 젤루 좋은 태블릿 아니냐 갓갓인듯 [2]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211 0
438466 아이폰 번인막는법ㅋㅋㅋ [5] ㅇㅇ(223.62) 18.09.07 288 0
438465 노9 산지 일쥬일쯤 되니까 슬슬 번인걱정이 몰려와서... [3] ㅇㅇ(223.62) 18.09.07 175 0
438464 프로 거치 가능 하겠누 [2] 김.굽.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59 0
438463 파이어hd8 신작.gisa [2] 12(39.7) 18.09.07 227 0
438462 코믹글라스 만화책 사서 보는거냐? 다운받는거냐? [2] ㅇㅇ(121.152) 18.09.07 137 0
438460 아이패드 만화책 두장 이어진거 볼때마다 [2] ㅇㅇ(112.186) 18.09.07 265 0
438459 명시적동의 없으면 강간으로 처벌법 발의! ㅇㅇ(39.7) 18.09.07 83 0
438458 Cytus II 무료 드렁큰울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99 0
438457 한국 군대는 6사단 처럼 전군동기제 하는게 맞다고본다 [6] 야옹쿠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435 6
438456 속보! 자유한국당 나경원의원! 명시적 동의 없으면 강간으로 처벌법 발의! [2] 그구이성애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9.07 155 1
438455 않이; 도대체 갤탭S3가격은 왜 오르는건데;; [4] ㅇㅇ(175.214) 18.09.07 41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